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④ 사마타-선나-삼마발제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④ 사마타-선나-삼마발제 4


【경】 此菩薩者 名이 先修奢摩他고 中修禪那고 後修三摩鉢提라

이 菩뽕薩은 일후미 奢샹摩망他탕 몬져 닷고 禪쎤那낭 가온 닷고 三삼摩망鉢提똉 後에 닷고미라

이 보살은 이름이 사마타를 먼저 닦고 선나를 중간에 닦고 삼마발제를 나중에 닦는다고 하느니라.

【종밀주석】 結名시니라 五 品ㅂ字單雙觀이니 上單은 靜觀

원각경언해 하2의2:20ㄴ

이니 如上一口고 後雙明寂幻은 如下兩口故로 云單雙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2:20ㄱ

일후믈 結시니라

원각경언해 하2의2:20ㄴ

다 品픔ㅂ字 주001)
품자(品ㅂ字):
품(品)이라는 글자. ‘사마타’는 홑으로 닦고, 나중에 ‘선나·삼마발제’는 합쳐 닦는 것이 ‘品’ 자의 ‘口’ 자가 배열된 것과 같다고 표현한 것이다. “品ㅂ字”의 발음은 [pɨmʦ’a]로서, 여기 사이시옷 ‘ㅂ’은 선행어 말음 ‘ㅁ’을 폐쇄음화하고, 이로 인해 후행 초성 ‘字’[]가 경음으로 발음된다. 훈민정음언해(1447-59)에 사용된 사이시옷 표기 방식과 같다. ¶ㅊ 니쏘리니 侵침ㅂ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훈언7ㄱ).
單단과 雙 주002)
쌍(雙):
둘씩 짝을 이룬 것. 둘을 하나로 묶어 세는 단위.
괏 觀관이니 웃 單단 靜觀관이니 웃 一口 주003)
일구(一口):
구(口) 자 하나. 한자 ‘品’ 자에서 위에 놓인 ‘口’ 자 하나. 문맥상 ‘사마타’를 가리킴.
고 後에 寂쪅과 幻과 둘흘 기샤 아랫 兩口 주004)
양구(兩口):
구(口) 자 두 개. 한자 ‘品’ 자에서 아래에 놓인 2개의 ‘口’ 자. 문맥상 ‘선나와 삼마발제’를 가리킨다.
 닐오 單단雙이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위의 말씀은〉 이름을 결정하신 것이다. 〈사마타를 머리로 하여 닦는 칠륜 가운데〉 다섯 번째는 품자(品字) 단(單
)과 쌍(雙
)의 관문(觀門)이니, 위의 단(單)은 정관(靜觀)인데 위의 일구(一口)와 같고, 뒤에 적(寂)과 환(幻)의 두 가지를 밝히신 것은 아래의 양구(兩口)와 같으므로 단쌍(單雙)이라고 말한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품자(品ㅂ字):품(品)이라는 글자. ‘사마타’는 홑으로 닦고, 나중에 ‘선나·삼마발제’는 합쳐 닦는 것이 ‘品’ 자의 ‘口’ 자가 배열된 것과 같다고 표현한 것이다. “品ㅂ字”의 발음은 [pɨmʦ’a]로서, 여기 사이시옷 ‘ㅂ’은 선행어 말음 ‘ㅁ’을 폐쇄음화하고, 이로 인해 후행 초성 ‘字’[]가 경음으로 발음된다. 훈민정음언해(1447-59)에 사용된 사이시옷 표기 방식과 같다. ¶ㅊ 니쏘리니 侵침ㅂ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훈언7ㄱ).
주002)
쌍(雙):둘씩 짝을 이룬 것. 둘을 하나로 묶어 세는 단위.
주003)
일구(一口):구(口) 자 하나. 한자 ‘品’ 자에서 위에 놓인 ‘口’ 자 하나. 문맥상 ‘사마타’를 가리킴.
주004)
양구(兩口):구(口) 자 두 개. 한자 ‘品’ 자에서 아래에 놓인 2개의 ‘口’ 자. 문맥상 ‘선나와 삼마발제’를 가리킨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