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다) 선나 : 일체를 초월하여 원각성과 하나 되는 관찰 수행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다) 선나 : 일체를 초월하여 원각성과 하나 되는 관찰 수행 5


【경】 了知와 身心괘 皆爲罣礙야

아롬과 身신心심괘 다 료미 외요 取츙티 아니야

앎과 신심(身心)이 모두 걸림이 되는 것을 취하지 아니하여[=않으면]
※ 참고 : 경 본문 구결은 “若諸菩薩이…皆爲罣礙야”로 되어 있지만, 오늘날 주해서들은 한결같이 “若諸菩薩이…皆爲罣礙하면”으로 구결을 달았다. 문맥상 간경도감본의 잘못으로 판단된다.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1:35ㄴ

有身有心이 悉皆是妄이니 了知 是能이오 身心은 是所ㅣ니 託所起能故로 二皆礙니라 此下 明其所用시니 於中에 又三이니 謂法과喩와 合괘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몸 이시며  이쇼미 다 이 妄 주001)
망(妄):
그릇된 분별심. 망령되이 분별하는 마음.
이니 아로 이 能 주002)
능(能):
능동적으로 인식하는 주체. 동작의 주체가 되는 것.
이오 身신心심은 이 所송 주003)
소(所):
피동적으로 인식되는 대상. 동작의 객체(목적)가 되는 것.
ㅣ니 所송 브터 能을 니르와 둘히 다 리니라 이 아랜 그 用 기시니 그 中에  세히니 닐오 法법과 가뵴과 마촘괘라 주004)
마촘괘라:
맞춤이다. 합친 것이다. ‘合’의 대역. 중세국어에서는 체언을 나열할 때 그 뒤에 공동격조사 ‘와/과’로 마지막 체언까지 연결한 다음에 다시 적절한 격조사를 연결하였다. 즉 “N1과/와 N2과/와+(조사)”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 곡용의 질서였다. ¶一切 믜 相이 업서 입시울와 혀와 엄과 니왜 다 됴며 고히 길오(석상19:7ㄴ).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몸이 있으며 마음이 있다고 하는 것이 모두 망(妄)이니, 아는 것 이것이 능(能)이고, 몸과 마음[身心] 이것이 소(所)이니, 소에 의탁하여 능을 일으키므로 둘이 모두 걸리는 것이다. 이 아래는 그 용(用=작용)을 밝히신 것이니 그것이 셋인데 이르되 법(法=진리)과 비유(比喩)와 합침[合]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망(妄):그릇된 분별심. 망령되이 분별하는 마음.
주002)
능(能):능동적으로 인식하는 주체. 동작의 주체가 되는 것.
주003)
소(所):피동적으로 인식되는 대상. 동작의 객체(목적)가 되는 것.
주004)
마촘괘라:맞춤이다. 합친 것이다. ‘合’의 대역. 중세국어에서는 체언을 나열할 때 그 뒤에 공동격조사 ‘와/과’로 마지막 체언까지 연결한 다음에 다시 적절한 격조사를 연결하였다. 즉 “N1과/와 N2과/와+(조사)”와 같은 형식으로 표현하는 것이 당시 곡용의 질서였다. ¶一切 믜 相이 업서 입시울와 혀와 엄과 니왜 다 됴며 고히 길오(석상19:7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