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6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6


【경】 於二十五輪에 各安標記고

二十씹五輪륜에 各각各각 보라 주001)
보라:
보람을. 표시를. ‘보람’은 약간 드러나 보이는 표적이나 다른 물건과 구별하거나 잊지 않으려고 표를 해 둠. 또는 그런 표적. 안표(眼標). ¶嚴 밀씨오 幟 보라미니(월석21:218ㄱ). 오늘날에는 앞의 뜻으로는 빈도가 적고, “어떤 일을 한 뒤에 얻어지는 좋은 결과나 만족감. 또는 자랑스러움이나 자부심을 갖게 해 주는 일의 가치”를 뜻하는 말로 거의 바뀌어감.
두고

이십오륜(二十五輪)에 각각 보람[=표적(表迹)]을 해 두고

【종밀주석】
書此二十五輪名字文句야 安置道場之中고 禮念虔誠야 精祈一行호리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이 二十씹五輪륜ㅅ 名字 주002)
명자(名字):
널리 알려진 이름. 세상에서 소문난 평판.
文문句궁를 주003)
서:
써. 기록하여. 스-[書]+어(어미). 정음 창제 초기문헌에서는 어간을 ‘쓰-’로 표기했으나, 원각경언해(1465)부터 고유어를 표기할 때 각자병서를 폐지함으로써 ‘쓰-⇒스-’로 쓸 수밖에 없게 되었다. 15세기 문헌에서 ‘-’는 “사용하다[用]·(맛이) 쓰다[苦]”, ‘쓰-’는 “(글을) 쓰다[書]·(갓을) 쓰다[冠]”로 엄격히 구분되었다.
道場ㅅ 中에 두고 精誠으로 禮롕며 念념야 一行으로 주004)
일행(一行)으로:
한 가지 마음으로.
精히 비로리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 이십오륜(二十五輪)의 명자(名字) 문구(文句)를 써서 도량(道場) 가운데에 두고 정성으로 예배(禮拜)하며 염(念)하여 일행(一行)으로 정(精)히[=정성스럽게] 빌어야 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보라:보람을. 표시를. ‘보람’은 약간 드러나 보이는 표적이나 다른 물건과 구별하거나 잊지 않으려고 표를 해 둠. 또는 그런 표적. 안표(眼標). ¶嚴 밀씨오 幟 보라미니(월석21:218ㄱ). 오늘날에는 앞의 뜻으로는 빈도가 적고, “어떤 일을 한 뒤에 얻어지는 좋은 결과나 만족감. 또는 자랑스러움이나 자부심을 갖게 해 주는 일의 가치”를 뜻하는 말로 거의 바뀌어감.
주002)
명자(名字):널리 알려진 이름. 세상에서 소문난 평판.
주003)
서:써. 기록하여. 스-[書]+어(어미). 정음 창제 초기문헌에서는 어간을 ‘쓰-’로 표기했으나, 원각경언해(1465)부터 고유어를 표기할 때 각자병서를 폐지함으로써 ‘쓰-⇒스-’로 쓸 수밖에 없게 되었다. 15세기 문헌에서 ‘-’는 “사용하다[用]·(맛이) 쓰다[苦]”, ‘쓰-’는 “(글을) 쓰다[書]·(갓을) 쓰다[冠]”로 엄격히 구분되었다.
주004)
일행(一行)으로:한 가지 마음으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