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7
메뉴닫기 메뉴열기

4-4) 수행할 것을 총체적으로 지시하심 7


【경】 至心求哀야 隨手結取호리니

至징心심 주001)
지심(至心):
더없이 성실한 마음. 지극(至極)한 마음. ‘극(極)에 다다른 마음’ 즉 진공(眞空)과 같은 마음, 진실한 마음. 진심(眞心).
으로 求哀야 소 조차 자바 取츙호리니

지심(至心)으로 애절하게 구하여 손을 따라 잡아서 취해야 할 것이니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2:41ㄴ

若自的樂一門이어든 隨便積習고 若勝劣을 難分이라 不能自決이어든 卽憑聖力야 以卜應修ㅣ니 信手取之오 不宜簡擇이니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다가 주002)
다가:
만약에. 만일. 15세기에서 18세기 문헌까지 ‘다가’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다가, 한자어 ‘만일(萬一), 만약(萬若)’ 등으로 점차 바뀌어간다. “若勝劣을 難分이라”에서 ‘若’은 문맥상 “勝며 劣호미 토” 정도로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지 않은가 생각된다.
제 바  門몬을 즐기거든 便뼌安 조차 니교 뫼호고 다가 勝며 주003)
승(勝)며:
어떤 비교 대상보다 나으며. 우수하며.
劣호 주004)
열(劣)호:
다른 것보다 못하며. 열등함을.
호미 어려운디라 能히 제 決티 몯거든 곧 聖力륵 주005)
성력(聖力):
부처님의 거룩하고 성스러운 힘. 부처님의 뒷받침.
을 브터 반기 닷고 卜복홀디니 주006)
복(卜)홀디니:
점쳐 정해야 할 것이니. 어간 ‘卜-’는 “점을 쳐서…을 가려 정하다”는 뜻. 경 본문에 의하면, 지극한 마음으로 발원한 뒤에 손에 닿는 대로 집어 집힌 표가 보여주는 대로 따르고 망설이지 말라 하였다.
소 미더 取츙고 요미 맛티 아니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만약 스스로 바로 하나의 문(門=수행 방법)을 즐긴다면 편안(便安)함을 좇아 익히기를 모으고[=집중하고], 승(勝)하며 열(劣)함 같은 것을 나누기는[=분간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능히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겠거든 곧 성력(聖力=부처님의 힘)에 의지하여 응당 닦는 것을 복(卜)해야[=점쳐 정해야] 할 것이니, 손을 믿고 취해야지 가려내는 것은 마땅하지 아니하니라.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지심(至心):더없이 성실한 마음. 지극(至極)한 마음. ‘극(極)에 다다른 마음’ 즉 진공(眞空)과 같은 마음, 진실한 마음. 진심(眞心).
주002)
다가:만약에. 만일. 15세기에서 18세기 문헌까지 ‘다가’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다가, 한자어 ‘만일(萬一), 만약(萬若)’ 등으로 점차 바뀌어간다. “若勝劣을 難分이라”에서 ‘若’은 문맥상 “勝며 劣호미 토” 정도로 번역하는 것이 자연스럽지 않은가 생각된다.
주003)
승(勝)며:어떤 비교 대상보다 나으며. 우수하며.
주004)
열(劣)호:다른 것보다 못하며. 열등함을.
주005)
성력(聖力):부처님의 거룩하고 성스러운 힘. 부처님의 뒷받침.
주006)
복(卜)홀디니:점쳐 정해야 할 것이니. 어간 ‘卜-’는 “점을 쳐서…을 가려 정하다”는 뜻. 경 본문에 의하면, 지극한 마음으로 발원한 뒤에 손에 닿는 대로 집어 집힌 표가 보여주는 대로 따르고 망설이지 말라 하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