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인욕태자의 효양행[본생담]
  • 인욕태자의 효양행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인욕태자의 효양행 2


[인욕태자의 효양행 2]
忍辱太子ㅣ 라 布施 즐기며 聰明 주001)
총명(聰明):
① 슬기롭고 도리(道理)에 밝음. ② 눈과 귀가 예민(銳敏)함.
고 衆生 골오 주002)
골오:
고루.
어엿비 너기더니 그 주003)
그:
그때(장면전환부사). 이제 기록할 ‘이야기 속의 때’를 이른다. ‘그때’를 의미하는 다른 표현으로 쓰인 ‘그제’가 보다 구체적인 시간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여슷 大臣

월인석보 21 하:214ㄴ

이 이쇼 性이 모딜오 無道 주004)
무도(無道):
도리(道理)를 어겨 막됨.
 百姓이 싀트시 주005)
싀트시:
시틋이. 싫증이 나게. 마음이 내키지 아니하여 시들하게. 어떤 일에 물리거나 지루해져서 조금 싫증이 난 기색이 있게.
너기더니 여슷 大臣이 뎌기 왼 주006)
왼:
외+ㄴ++ㄹ. 왼 것을. ‘외다’는 ‘그르다’의 옛말. 그른 것을.
제 아라 太子 새와 주007)
새와:
새오+아. 기본형은 ‘새오다’. 시샘하여.
믜여더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인욕태자의 효양행 2]
인욕 태자가 자라, 보시를 즐기며 총명하고 중생을 고루 불쌍히 여기시더니 그때 여섯 대신이 있되 성품이 모질고 무도하기에 백성이 시틋이 여기더니 여섯 대신이 행적이 그른 것을 스스로 알아 태자를 시샘하여 미워하더라.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총명(聰明):① 슬기롭고 도리(道理)에 밝음. ② 눈과 귀가 예민(銳敏)함.
주002)
골오:고루.
주003)
그:그때(장면전환부사). 이제 기록할 ‘이야기 속의 때’를 이른다. ‘그때’를 의미하는 다른 표현으로 쓰인 ‘그제’가 보다 구체적인 시간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주004)
무도(無道):도리(道理)를 어겨 막됨.
주005)
싀트시:시틋이. 싫증이 나게. 마음이 내키지 아니하여 시들하게. 어떤 일에 물리거나 지루해져서 조금 싫증이 난 기색이 있게.
주006)
왼:외+ㄴ++ㄹ. 왼 것을. ‘외다’는 ‘그르다’의 옛말. 그른 것을.
주007)
새와:새오+아. 기본형은 ‘새오다’. 시샘하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