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⑪-2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⑪-2


[지장경 ⑪-2]
져머셔 父母ㅅ

월인석보 21 하:173ㄱ

恩愛 일코 魂神이 아모 趣에 잇디 모며 兄弟 姉妹와 녀나 親 란 後에 다 몰라 大士ㅅ 모 塑커나 畵야 슬허 주001)
슬허:
기본형은 ‘슳다’. ‘슬퍼하다’의 옛말. 현대국어에서는 형용사 ‘슬프다’에서 동사 ‘슬퍼하다’가 파생되어 만들어지나, 중세국어에서는 동사 ‘슳다’에서 형용사파생접사 ‘-브-’가 결합하여 ‘슬프다’가 만들어진다. ‘다-기쁘다, 곯다-고프다, 앓다-아프다’ 등이 그러한 예이다.
그려 瞻禮야 간도 리디 아니야 三七日 中에 일후믈 念면 菩薩이 반기 無邊體 現

월인석보 21 하:173ㄴ

야 眷屬의 난  뵈리니 비록 惡趣에 러디여 이셔도 즉재 여희여 나리라 다가 能히 첫  므르디 아니면 즉재 머리 녀 聖記 심교믈 주002)
심교믈:
기본형은 ‘심기다’. 심기+옴+을. ‘주다, 전하다’의 옛말. 전함을.
어드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⑪-2]
젊어서 부모의 은애를 잃고 혼신이 어느 취에 있는지 모르며 형제 자매와 여남은 혈족을 자란 후에 다 몰라서 대사의 몸을 소하거나 화하여 슬퍼하여 그리워 첨례하여 잠깐도 버리지 아니하여 삼칠일 중에 이름을 생각하면 보살이 반드시 무변체를 나타내어 권속의 난 땅을 보이리니 비록 악취에 떨어져 있어도 즉시 떨치어 나올 것이다. 만일 능히 첫 마음을 무르지 아니하면 즉시 머리를 만져 성스러운 기록을 심김을 얻을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슬허:기본형은 ‘슳다’. ‘슬퍼하다’의 옛말. 현대국어에서는 형용사 ‘슬프다’에서 동사 ‘슬퍼하다’가 파생되어 만들어지나, 중세국어에서는 동사 ‘슳다’에서 형용사파생접사 ‘-브-’가 결합하여 ‘슬프다’가 만들어진다. ‘다-기쁘다, 곯다-고프다, 앓다-아프다’ 등이 그러한 예이다.
주002)
심교믈:기본형은 ‘심기다’. 심기+옴+을. ‘주다, 전하다’의 옛말. 전함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