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석존의 연화색비구니 훈계
  • 석존의 연화색비구니 훈계 2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의 연화색비구니 훈계 2


[석존의 연화색비구니 훈계 2]
世尊이  보시고 구지조샤 주001)
구지조샤:
기본형은 ‘구짖다’. 구짖+오+샤. 꾸짖으시되.
蓮花色比丘尼 네 엇뎨 大僧 건너 날 보다 네 비록 내 色身 주002)
색신(色身):
(1) 빛깔과 형상이 있는 몸. 곧 육신. (2) 불·보살의 상호신(相好身). 빛깔도 형상도 없는 법신에 대하여 빛깔과 형상이 있는 신상(身相)을 말함.

월인석보 21 하:206ㄱ

을 보아도 내 法身 주003)
법신(法身):
① 삼신(三身)의 하나. 불법의 이치와 일치하는 부처의 몸을 이른다. 금강신(金剛身)·법계신·이불(理佛). ② 법체(法體)가 된 중의 몸.
 몯 보니 須菩提 주004)
수보리(須菩提):
‘수부티(Subhūti)’의 음역어. 석가모니의 십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 온갖 법이 공(空)하다는 이치를 처음 깨달은 사람이다. 선현(善現)·선길(善吉)·선업(善業)·공생(空生) 등이라 번역. 순야다(舜若多)라고도 하는데 그가 탄생할 때, 창고·상자·기구(器具) 등이 텅 비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에 전기가 있다.
바횟 주005)
바회:
‘바위’의 옛말.
소배 주006)
소배:
솝+애. 속에.
便安히 안자셔 도 주007)
도:
‘도리어’의 옛말.
내 法身 보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존의 연화색비구니 훈계 2]
세존이 처음 보시고 꾸짖으시되, 연화색비구니 네가 어찌 대승을 건너 날 보는가? 네가 비록 나의 색신을 보아도 나의 법신을 못 보니 수보리 바위의 속에 편안히 앉으셔야 도리어 나의 법신을 볼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구지조샤:기본형은 ‘구짖다’. 구짖+오+샤. 꾸짖으시되.
주002)
색신(色身):(1) 빛깔과 형상이 있는 몸. 곧 육신. (2) 불·보살의 상호신(相好身). 빛깔도 형상도 없는 법신에 대하여 빛깔과 형상이 있는 신상(身相)을 말함.
주003)
법신(法身):① 삼신(三身)의 하나. 불법의 이치와 일치하는 부처의 몸을 이른다. 금강신(金剛身)·법계신·이불(理佛). ② 법체(法體)가 된 중의 몸.
주004)
수보리(須菩提):‘수부티(Subhūti)’의 음역어. 석가모니의 십대 제자 가운데 한 사람. 온갖 법이 공(空)하다는 이치를 처음 깨달은 사람이다. 선현(善現)·선길(善吉)·선업(善業)·공생(空生) 등이라 번역. 순야다(舜若多)라고도 하는데 그가 탄생할 때, 창고·상자·기구(器具) 등이 텅 비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증일아함경(增壹阿含經)』에 전기가 있다.
주005)
바회:‘바위’의 옛말.
주006)
소배:솝+애. 속에.
주007)
도:‘도리어’의 옛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