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⑪-5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⑪-5


[지장경 ⑪-5]
곧 夢 中에 無邊을 보아 야 곧 利根 주001)
이근(利根):
총명한 근기(根機). 근기는 교법(敎法)을 받을 수 있는 중생의 능력을 뜻한다.

월인석보 21 하:175ㄴ

 得야 經敎 주002)
경교(經敎):
경문(經文)에 나타난 교리.
ㅣ 耳根에 디나면 千萬生 中에 기리 닛디 주003)
닛디:
기본형은 ‘닛다’. ‘잇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잇지.
아니리니 이 大士 不思議로 能히 이 사미 이런 慧 얻니라 貧窮 주004)
빈궁(貧窮):
가난하고 궁색함.
衆生과 病니와 지비 凶衰며 眷屬이 여희며 夢 中이 다 便安

월인석보 21 하:176ㄱ

티 아니며 求논 이리 주005)
이리:
일이.
어긔여 주006)
어긔여:
기본형은 ‘어긔다’. 어기여.
이논 주007)
이논:
일++오+ㄴ. 이룬.
이리 업거든 至極 로 地藏ㅅ 像 瞻禮면 一切 머즌 주008)
머즌:
멎-+-은. ‘멎-’은 말로 ‘궂거나 흉하다’는 뜻을 지녔다.
이리 다 消滅야 夢 中에 니르리 다 便安며 衣食 주009)
의식(衣食):
의복과 음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만며 주010)
만며:
만+며. ‘만’은 많은 뜻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수사·관형사로서 쓰일 때 가지는 뜻, ‘천의 열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를 선택하여 해석해 본다. 앞에 연결되어 있는 ‘의식’의 뜻을 생각해 볼 때, 그것이 풍족하다는 뜻을 가지기 때문이다.
神鬼 주011)
신귀(神鬼):
귀신.
擁護 주012)
옹호(擁護):
두둔하고 편들어 지키다.
리라 주013)
리라:
이 경우에는 평서법의 어미 ‘-다’가 ‘-라’로 교체된 경우이다. 이는 ‘-리-’ 선어말 어미가 왔기 때문이다. 이 ‘-리-’는 미래를 나타내는 시상의 선어말 어미였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⑪-5]
곧 꿈속에 무변을 보아 깨어 곧 이근의 귀를 얻어 경교가 이근에 지나가면 천만생 중에 길이 잇지 아니할 것이니 이 대사의 불사의로 능히 이 사람이 이런 지혜를 얻는 것이다. 빈궁한 중생과 아픈 이와 집이 흉쇠하며 권속이 헤어지며 꿈 속이 모두 편안하지 아니하며 구하는 일이 어기어 이룬 일이 없거든 지극한 마음으로 지장보살의 상에 첨례하면 일체 흉한 일이 모두 소멸하여 꿈 중에 이르도록 모두 편안하며 의식이 풍족하며 귀신이 옹호할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이근(利根):총명한 근기(根機). 근기는 교법(敎法)을 받을 수 있는 중생의 능력을 뜻한다.
주002)
경교(經敎):경문(經文)에 나타난 교리.
주003)
닛디:기본형은 ‘닛다’. ‘잇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으로 나타난다. 잇지.
주004)
빈궁(貧窮):가난하고 궁색함.
주005)
이리:일이.
주006)
어긔여:기본형은 ‘어긔다’. 어기여.
주007)
이논:일++오+ㄴ. 이룬.
주008)
머즌:멎-+-은. ‘멎-’은 말로 ‘궂거나 흉하다’는 뜻을 지녔다.
주009)
의식(衣食):의복과 음식을 아울러 이르는 말.
주010)
만며:만+며. ‘만’은 많은 뜻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수사·관형사로서 쓰일 때 가지는 뜻, ‘천의 열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를 선택하여 해석해 본다. 앞에 연결되어 있는 ‘의식’의 뜻을 생각해 볼 때, 그것이 풍족하다는 뜻을 가지기 때문이다.
주011)
신귀(神鬼):귀신.
주012)
옹호(擁護):두둔하고 편들어 지키다.
주013)
리라:이 경우에는 평서법의 어미 ‘-다’가 ‘-라’로 교체된 경우이다. 이는 ‘-리-’ 선어말 어미가 왔기 때문이다. 이 ‘-리-’는 미래를 나타내는 시상의 선어말 어미였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