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인욕태자의 효양행[본생담]
  • 인욕태자의 효양행 5
메뉴닫기 메뉴열기

인욕태자의 효양행 5


[인욕태자의 효양행 5]
太子ㅣ 듣고 닐오 내 모미

월인석보 21 하:216ㄱ

즛도다 주001)
즛도다:
기본형은 ‘즛다’. ‘비슷하다’의 옛말. 비슷하구나.
내 난 後로 嗔心 적 업소라 주002)
업소라:
어미 ‘-소라’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노라’. 없노라.
大臣이 닐오 太子ㅣ 그런 사미시면 이 이리  어렵도소다 주003)
어렵도소다:
어렵+도소++다. 여기 보이는 선어말어미 ‘-도소-’는 감탄법을 나타낸다. ‘--’는 ‘하쇼셔’체의 공손법. 어렵습니다.
. 天下애 앗가 주004)
앗가:
기본형은 ‘앗갑다’. ‘아깝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앗가오-’로 나타난다. 아까운.
거시 몸니 업스니다 太子ㅣ 닐오 그듸냇 주005)
그듸냇:
그듸+내+ㅅ. ‘그듸’는 ‘그대’의 옛말. ‘내’는 존칭의 복수접미사. 그대들의.
말디 아니호니 오직 아바 病이 됴실시언 주006)
됴실시언:
둏+시+ㄹ++이+언. ‘’는 형식명사. 어미 ‘-언’은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ㄹ지언정’의 뜻으로 쓰는 연결 어미. 좋으실 것일지언정.
모 百千

월인석보 21 하:216ㄴ

디위 주007)
디위:
‘번’의 옛말.
려도 어렵디 아니니 며 이 더러 모미녀 大臣이 닐오 太子ㅅ 다 주008)
다:
+다. 의존명사 ‘다’는 ‘대로’의 옛말. 뜻대로.
호리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인욕태자의 효양행 5]
태자가 듣고 이르되, 나의 몸이 비슷하구나. 내가 난 후로 성낸 적 없노라. 대신이 이르되, 태자가 그런 사람이시면 이 일이 또 어렵습니다. 천하에 아까운 것이 몸 같은 것이 없습니다. 태자가 이르되, 그대들의 말과 같지 아니하니 오직 아버님의 병이 좋아지실 것일지언정, 몸을 백천번 버려도 어렵지 아니하니, 하물며 이 더러운 몸이랴. 대신이 이르되, 태자의 뜻대로 하겠습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즛도다:기본형은 ‘즛다’. ‘비슷하다’의 옛말. 비슷하구나.
주002)
업소라:어미 ‘-소라’는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에 붙어 ‘-노라’. 없노라.
주003)
어렵도소다:어렵+도소++다. 여기 보이는 선어말어미 ‘-도소-’는 감탄법을 나타낸다. ‘--’는 ‘하쇼셔’체의 공손법. 어렵습니다.
주004)
앗가:기본형은 ‘앗갑다’. ‘아깝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앗가오-’로 나타난다. 아까운.
주005)
그듸냇:그듸+내+ㅅ. ‘그듸’는 ‘그대’의 옛말. ‘내’는 존칭의 복수접미사. 그대들의.
주006)
됴실시언:둏+시+ㄹ++이+언. ‘’는 형식명사. 어미 ‘-언’은 ‘이다’나 ‘아니다’의 어간이나 어미 ‘-으시-’ 뒤에 붙어 ‘-ㄹ지언정’의 뜻으로 쓰는 연결 어미. 좋으실 것일지언정.
주007)
디위:‘번’의 옛말.
주008)
다:+다. 의존명사 ‘다’는 ‘대로’의 옛말. 뜻대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