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⑪-4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⑪-4


[지장경 ⑪-4]
아모 사미나 發心야 經典을 念야 여러 迷惑 度脫야 뎌  건나고져 야 비록 이 願 不思議 셰

월인석보 21 하:174ㄴ

여도 닐그며 미조차 니저 廢失이 만니【廢는 노하 릴씨오 失은 일흘씨라】 이 사미 業障惑 주001)
업장혹(業障惑):
업장에 대한 미혹. 업장(業障)은 3장(障)의 하나. 악업의 장애. 언어·동작 또는 마음으로 악업을 지어 정도(正道)를 방해하는 장애. 혹(惑)은 깨달음을 장애하는 체(體)로, 증오(證悟)와 반대되는 것. 곧 번뇌를 말하며, 번뇌는 우리의 마음을 의혹하는 것이므로 혹이라 한다.
이 잇논 젼로 大乘經 주002)
대승경(大乘經):
성불하는 큰 이상에 이르는 도법을 밝힌 경전의 총칭. 『화엄경』·『법화경』·『반야경』·『무량수경』 등을 말함.
을 能히 매 가지디 몯니 香華 衣服 飮食 玩具로 地藏 供養고 조 믈로 大士ㅅ 알 노하

월인석보 21 하:175ㄱ

一日 一夜애 먹고져 야 殷重  發야 五辛 주003)
오신(五辛):
오훈(五葷). 훈(葷)은 맵고 냄새가 강한 식물. 고기와 같이 불제자가 먹지 않아야 할 매운 채소의 5종. 마늘·부추·파·달래·흥거(興渠). 흥거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는 없으며, 우전국에 나는데, 뿌리는 세만청(細蔓菁)과 같으며 희고 냄새가 마늘과 같다.
과 酒肉 邪婬 妄語 삼가며 三七日 內예 殺害 아니야 至極 로 大士ㅅ 일후믈 念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⑪-4]
아무 사람이나 발심하여 경전을 염하여 여러 미혹을 도탈하여 저 가장자리에 건너고자 하여 비록 이 바람이 불사의를 세워도 읽으며 뒤미처 쫒아 잊어 폐실이 많은 이는【폐는 놓아 버리는 것이고 실은 잃는 것이다.】 이 사람이 업장혹이 있는 까닭으로 대승경을 능히 마음에 가지지 못하니 향화와 의복과 음식과 완구로 지장을 공양하고 깨끗한 물로 대사의 앞에 놓아 일일 일야에 먹고자 하여 은중한 마음을 발하여 오신과 주육 사음과 망어를 삼가며, 삼칠일 내에 살해 아니 하여 지극한 마음으로 대사의 이름을 생각하면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업장혹(業障惑):업장에 대한 미혹. 업장(業障)은 3장(障)의 하나. 악업의 장애. 언어·동작 또는 마음으로 악업을 지어 정도(正道)를 방해하는 장애. 혹(惑)은 깨달음을 장애하는 체(體)로, 증오(證悟)와 반대되는 것. 곧 번뇌를 말하며, 번뇌는 우리의 마음을 의혹하는 것이므로 혹이라 한다.
주002)
대승경(大乘經):성불하는 큰 이상에 이르는 도법을 밝힌 경전의 총칭. 『화엄경』·『법화경』·『반야경』·『무량수경』 등을 말함.
주003)
오신(五辛):오훈(五葷). 훈(葷)은 맵고 냄새가 강한 식물. 고기와 같이 불제자가 먹지 않아야 할 매운 채소의 5종. 마늘·부추·파·달래·흥거(興渠). 흥거는 중국이나 우리나라에는 없으며, 우전국에 나는데, 뿌리는 세만청(細蔓菁)과 같으며 희고 냄새가 마늘과 같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