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금상의 불상 부촉
  • 금상의 불상 부촉 6
메뉴닫기 메뉴열기

금상의 불상 부촉 6


[금상의 불상 부촉 6]
그 世尊金像 니샤 네 오 뉘예 佛事 주001)
불사(佛事):
① 부처님의 능사(能事)인 교화를 가리킴. 선림(禪林)에서는 여러 가지 일에 의탁하여 불법을 열어 보이는 것. 개안(開眼)·상당(上堂)·입실(入室)·안좌(安座)·염향(염香)하는 것들이나 절을 짓고 불상을 조성하고, 경전을 쓰는 것을 모두 불사라 함. ② 불교에서 하는 제사·법회 등을 일반으로 불사 또는 법사(法事)라 함.
리니 주002)
리니:
+리+니. ‘다’는 ‘끝까지 다하다’의 옛말. 끝까지 다할 것이니.
滅度 주003)
멸도(滅度):
① 모든 번뇌(煩惱)의 속박(束縛)에서 벗어나고, 진리(眞理)를 깨달아 불생(不生) 불멸(不滅)의 법을 체득(體得)한 경지(境地). 불교(佛敎)의 최고(最高) 이상(理想). 열반(涅槃)을 번역한 말로,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이다. ② 중이 죽음.
 後에 내 弟子 주004)
제자(弟子):
① 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사람 ② 예수의 가르침을 받아 그의 뒤를 따른 사람들. 이 중(中)에서 특(特)히 선택(選擇)을 받아 스승과 생활(生活)을 같이하고, 신(神)의 나라를 위(爲)하여 훈련(訓鍊)을 받고, 전도(傳道)에 파견(派遣)된 사람들이 열두 제자(弟子)임.
 네게 付囑 주005)
부촉(付囑):
다른 이에게 부탁함. 부처님은 설법한 뒤에 청중 가운데서 어떤 이를 가려내어 그 법의 유통(流通)을 촉탁하는 것이 상례(常例). 이것을 부촉·촉루(屬累)·누교(累敎) 등이라 함. 경문 가운데서 부촉하는 일을 말한 부분을 「촉루품(囑累品)」, 또는 부촉단(付屬段)이라 하니, 흔히 경의 맨 끝에 있음. 『법화경』과 같은 것은 예외(例外).
노라 야시 空中엣 化佛이  소리로 니샤 衆生이 부텨 업스신 後에 부텻 像  種種

월인석보 21 하:205ㄱ

供養 주006)
공양(供養):
음식물이나 의복·탕약(湯藥) 등을 불타나 승려에게 바치는 것.
리옷 주007)
리옷:
+이+곳. 할 이곧. 조사 ‘곳’은 주로 명사에 붙어, 예스러운 표현으로 앞말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조사 ‘곳’은 모음 ‘ㅣ’나 ‘ㄹ’ 아래에서 ‘옷’으로 실현된다.
이시면 그 사미 오 뉘예 다 念佛 주008)
염불(念佛):
(1) 10념(念)의 하나. 부처님의 상호를 관찰하면서 그 공덕을 생각함. (2) 입으로 아미타불의 명호를 일컫는 것. 선도(善導) 이후로는 염불이란 말이 이런 의미로 사용.
淸淨 주009)
청정(淸淨):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 자성 청정(自性淸淨)·이구 청정(離垢淸淨)의 2종이 있음.
三昧 주010)
삼매(三昧):
삼마제(三摩提·三摩帝)·삼마지(三摩地)라 음역하고, 정(定)·등지(等持)·정수(正受)·조직정(調直定)·정심행처(正心行處)라 번역한다.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움직이지 않게 하며, 마음을 바르게 하여 망념에서 벗어나는 것.
 得리라 더시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금상의 불상 부촉 6]
그때 세존금상께 이르시되, 네가 오는 세상에 불사를 끝까지 다할 것이니 내가 멸도한 후에 나의 제자들을 너에게 부탁한다 하시거늘 공중에의 화불이 한 소리로 이르시되, 중생이 부처께서 멸도하신 후에 부처의 상 만들어 종종 공양할 이 곧 있으면 그 사람이 오는 세상에 마땅히 염불 청정 삼매를 얻을 것이라고 하시더라.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불사(佛事):① 부처님의 능사(能事)인 교화를 가리킴. 선림(禪林)에서는 여러 가지 일에 의탁하여 불법을 열어 보이는 것. 개안(開眼)·상당(上堂)·입실(入室)·안좌(安座)·염향(염香)하는 것들이나 절을 짓고 불상을 조성하고, 경전을 쓰는 것을 모두 불사라 함. ② 불교에서 하는 제사·법회 등을 일반으로 불사 또는 법사(法事)라 함.
주002)
리니:+리+니. ‘다’는 ‘끝까지 다하다’의 옛말. 끝까지 다할 것이니.
주003)
멸도(滅度):① 모든 번뇌(煩惱)의 속박(束縛)에서 벗어나고, 진리(眞理)를 깨달아 불생(不生) 불멸(不滅)의 법을 체득(體得)한 경지(境地). 불교(佛敎)의 최고(最高) 이상(理想). 열반(涅槃)을 번역한 말로, 나고 죽는 큰 환난을 없애어 번뇌의 바다를 건넜다는 뜻이다. ② 중이 죽음.
주004)
제자(弟子):① 스승으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사람 ② 예수의 가르침을 받아 그의 뒤를 따른 사람들. 이 중(中)에서 특(特)히 선택(選擇)을 받아 스승과 생활(生活)을 같이하고, 신(神)의 나라를 위(爲)하여 훈련(訓鍊)을 받고, 전도(傳道)에 파견(派遣)된 사람들이 열두 제자(弟子)임.
주005)
부촉(付囑):다른 이에게 부탁함. 부처님은 설법한 뒤에 청중 가운데서 어떤 이를 가려내어 그 법의 유통(流通)을 촉탁하는 것이 상례(常例). 이것을 부촉·촉루(屬累)·누교(累敎) 등이라 함. 경문 가운데서 부촉하는 일을 말한 부분을 「촉루품(囑累品)」, 또는 부촉단(付屬段)이라 하니, 흔히 경의 맨 끝에 있음. 『법화경』과 같은 것은 예외(例外).
주006)
공양(供養):음식물이나 의복·탕약(湯藥) 등을 불타나 승려에게 바치는 것.
주007)
리옷:+이+곳. 할 이곧. 조사 ‘곳’은 주로 명사에 붙어, 예스러운 표현으로 앞말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조사 ‘곳’은 모음 ‘ㅣ’나 ‘ㄹ’ 아래에서 ‘옷’으로 실현된다.
주008)
염불(念佛):(1) 10념(念)의 하나. 부처님의 상호를 관찰하면서 그 공덕을 생각함. (2) 입으로 아미타불의 명호를 일컫는 것. 선도(善導) 이후로는 염불이란 말이 이런 의미로 사용.
주009)
청정(淸淨):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 자성 청정(自性淸淨)·이구 청정(離垢淸淨)의 2종이 있음.
주010)
삼매(三昧):삼마제(三摩提·三摩帝)·삼마지(三摩地)라 음역하고, 정(定)·등지(等持)·정수(正受)·조직정(調直定)·정심행처(正心行處)라 번역한다. 산란한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움직이지 않게 하며, 마음을 바르게 하여 망념에서 벗어나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