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1
메뉴닫기 메뉴열기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1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1]
그 주001)
그:
그때. 장면전환부사. 이제 기록할 ‘이야기 속의 때’를 이른다. ‘그때’를 의미하는 다른 표현으로 쓰인 ‘그제’가 보다 구체적인 시간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優塡 王六師 주002)
육사(六師):
육사외도(六師外道). 석존 당시에 중인도에서 가장 세력이 크던 6인의 철학자. 종교가의 교파(敎派). ① 부란나가섭(富蘭那迦葉). 선악 행위와 그 보응(報應)을 부정하는 외도. ② 말가리구사리자(末伽梨拘賜梨子). 운명론, 불교에서는 사명외도(邪命外道)라고 함. ③ 산사야비라지자(刪闍耶毘羅胝子). 궤변론(詭辯論), 회의설(懷疑說). ④ 아기다시사흠바라(阿耆多翅舍欽婆羅). 유물론, 쾌락설. ⑤ 가라구타가전연(迦羅鳩馱迦旃延). 유물론적인 주장. ⑥ 니건타야제자(尼犍陀若提子). 기나교(耆那敎).
 블러 무로 如來 어듸 겨시뇨 六師ㅣ 즉재  大王하 아쇼셔 瞿曇 주003)
구담(瞿曇):
구답마(瞿答摩)·교답마(驕答摩)·구담(具譚). 번역하여 지최승(地最勝)·이토(泥土)·지종(地種)·암우(暗牛)·우분종(牛糞種)·멸악(滅惡). (1) 사라드바트라고도 하는 옛적 선인(仙人)의 이름으로 석가족의 조상. (2) 교답마선인의 후예, 곧 석가종족의 성. (3) 특히 석존을 가리키는 말.
沙門 주004)
사문(沙門):
상문(桑門·喪門)·사문나(沙門那)·사라마나라고도 쓰며, 식심(息心)·공로(功勞)·근식(勤息)이라 번역.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 이란 뜻. 외도·불교도를 불문하고, 처자 권속을 버리고 수도 생활을 하는 이를 총칭함. 후세에는 오로지 불문에서 출가한 이를 말한다. 비구와 같은 뜻으로 씀.
이 正히 幻術 주005)
환술(幻術):
사람의 눈을 어리어 속이는 기술(技術).
의 욀 미니 幻化 주006)
환화(幻化):
실체가 없는 것을, 현재에 있는 것같이 환술로 만들어 내는 것.
의 法은 眞實 주007)
진실(眞實):
(1) 교법에서 진에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베푼 방편이 아닌, 영구 불변하는 실의(實義)를 말한 것. (2) 실제로 수행하는데 있어 몸과 입이 일치하지 않고 생각과 말이 위반되지 않고 뜻과 말과 행동이 서로 일치하여 거짓이 없음.
주008)
체(體):
법의 본질. 만물의 일정 불변(一定不變)하는 본모양. 일체 차별 현상의 근본. 곧 본체. (2) 체신(體信)·체달(體達)·체회(體會) 등의 숙어가 됨. 이치를 통달함.

월인석보 21 하:193ㄴ

업스니 大王하 아쇼셔 우리 그레 네 圍陀典 주009)
위타전(圍陀典):
인도 고대의 경전 이름.
에 닐오【韋陀 智論 주010)
지론(智論):
대지도론(大智度論). 100권. 후진(後秦)시대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402년 여름에 번역을 시작하여 406년 2월에 소요원(逍遙園)에서 완성하였다. 줄여서 『대론』·『지도론』·『지론』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대지도경론』·『대혜도경집요(大慧度經集要)』·『마하반야바라밀경석론(摩訶般若波羅蜜經釋論)』·『마하반야석론』·『석론』이라고도 한다. 『대품반야경』의 주석서이다. 용수(龍樹)보살이 저술하였으며, 그 해석이 여러 학설이나 사상, 전설·역사·지리·승가 등에 미칠 정도로 매우 상세하고 방대하여 백과사전적인 성격을 지닌다. 여기에 인용된 경전이나 논서도 다양하여 초기경전이나 그 논서 및 대승경전인 『법화경』·『화엄경』 등에 이르고, 바이셰쉬카 및 기타 인도의 일반 사상도 거론하고 있다. 이 책은 일반적으로 용수보살이 지은 것으로 간주되지만, 책머리에 있는 승예(僧叡)의 서문이나 이 논서가 한역으로만 존재하는 점 등 여러 이유를 고려해볼 때 현존하는 내용 전부가 다 용수의 저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제1권에서는 귀경게와 저술의 취지를 겸하여 게송을 설한 다음, 부처님이 반야바라밀을 설하시는 20여 가지 인연을 밝힌다. 그리고 제1권 후반부터 제34권까지는 『대품반야경』의 제1 ‘초품(初品)’을 해석한다. 여기에서는 연기(緣起)·공(空)·열반(涅槃)·4무소외(無所畏) 등 『대품반야경』에 나오는 중요한 용어나 불교의 기본 개념들을 설명한다. 제35권에서 제100권까지는 『대품반야경』의 각 품에 대한 설명으로, 제2 ‘보응품(報應品)’에서 제90 ‘촉루품’을 해설한 것이다. 그리고 각 품의 해석은 단(段)을 나누어 간략히 설명한다. 이 논서는 사상적인 면에서 『중론(中論)』이나 『십이문론(十二門論)』과 달리 부처님 법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주로 대승의 보살도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대승의 보살사상이나 6바라밀 등의 종교적 실천을 드러내는 데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대승과 소승의 교류와 사상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논서라고 하겠다.
이라 흔 마리니 처믜 주011)
처믜:
처+의. 처음에.
梵天 주012)
범천(梵天):
바라하마천(婆羅賀摩天)이라고도 쓴다. 색계 초선천. 범은 맑고 깨끗하단 뜻. 이 하늘은 욕계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조용하므로 범천이라 한다. 여기에 세 하늘이 있으니 범중천·범보천·대범천. 범천이라 통칭. 범천이라 할 때는 초선천의 주(主)인 범천왕을 가리킴. (2) 범토 천축이란 뜻. 인도를 가리키는 말. (3) 수험도(修驗道)에서 묘소(墓所)를 일컫는 말. 범천이 내려와서 성령(聖靈)을 수호한다는 뜻.
이  韋陀 라 버거 白淨이라  仙人이 나 고텨 네헤 니  일후믄 讀誦 주013)
독송(讀誦):
독(讀)은 글자를 보면서 읽는 것, 송(誦)은 글자를 보지 않고 외우는 것.
이오 두 일후믄 祭祀ㅣ오 세 일후믄 歌詠 주014)
가영(歌詠):
시가(詩歌)를 읊음.
이오 네 일후믄 禳灾라 歌詠 놀애오 禳灾 주015)
양재(禳灾):
신령이나 귀신에게 빌어서 재앙을 물리침.
灾變 주016)
재변(灾變):
재앙으로 인하여 생긴 변고.
方禳 주017)
방양(方禳):
푸닥거리하여 물리침.
씨라】
千年 二千年에 다 

월인석보 21 하:194ㄱ

주018)
환인(幻人):
남의 눈을 속이는 기술을 가진 이.
이 世間애 나리라 얫니 瞿曇沙門이 正히 그 사미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1]
◯ 그때 우전왕이 육사들을 불러 묻되 여래가 어디에 계시는가? 육사가 즉시 아뢰되 대왕이시여! 아십시오. 구담사문이 정히 환술이 될 뿐이니 환화의 법은 진실한 체가 없으니 대왕이시여! 아십시오. 우리 글에 네 위타전에 이르되【위타는 지론이라는 말이니 처음에 범천이 한 위타를 만들거늘 다음으로 백정이라고 할 선인이 하나를 고쳐 넷에 만드니, 한 이름은 독송이고, 두 이름은 제사이고, 세 이름은 가영이고, 네 이름은 양재다. 가영은 노래하는 것이고 양재는 재변을 방양하는 것이다.】 천년 이천년에 마땅히 한 환인이 세간에 날 것이라고 하였으니 구담사문이 정히 그 사람입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 장면전환부사. 이제 기록할 ‘이야기 속의 때’를 이른다. ‘그때’를 의미하는 다른 표현으로 쓰인 ‘그제’가 보다 구체적인 시간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주002)
육사(六師):육사외도(六師外道). 석존 당시에 중인도에서 가장 세력이 크던 6인의 철학자. 종교가의 교파(敎派). ① 부란나가섭(富蘭那迦葉). 선악 행위와 그 보응(報應)을 부정하는 외도. ② 말가리구사리자(末伽梨拘賜梨子). 운명론, 불교에서는 사명외도(邪命外道)라고 함. ③ 산사야비라지자(刪闍耶毘羅胝子). 궤변론(詭辯論), 회의설(懷疑說). ④ 아기다시사흠바라(阿耆多翅舍欽婆羅). 유물론, 쾌락설. ⑤ 가라구타가전연(迦羅鳩馱迦旃延). 유물론적인 주장. ⑥ 니건타야제자(尼犍陀若提子). 기나교(耆那敎).
주003)
구담(瞿曇):구답마(瞿答摩)·교답마(驕答摩)·구담(具譚). 번역하여 지최승(地最勝)·이토(泥土)·지종(地種)·암우(暗牛)·우분종(牛糞種)·멸악(滅惡). (1) 사라드바트라고도 하는 옛적 선인(仙人)의 이름으로 석가족의 조상. (2) 교답마선인의 후예, 곧 석가종족의 성. (3) 특히 석존을 가리키는 말.
주004)
사문(沙門):상문(桑門·喪門)·사문나(沙門那)·사라마나라고도 쓰며, 식심(息心)·공로(功勞)·근식(勤息)이라 번역. 부지런히 모든 좋은 일을 닦고, 나쁜 일을 일으키지 않는 이란 뜻. 외도·불교도를 불문하고, 처자 권속을 버리고 수도 생활을 하는 이를 총칭함. 후세에는 오로지 불문에서 출가한 이를 말한다. 비구와 같은 뜻으로 씀.
주005)
환술(幻術):사람의 눈을 어리어 속이는 기술(技術).
주006)
환화(幻化):실체가 없는 것을, 현재에 있는 것같이 환술로 만들어 내는 것.
주007)
진실(眞實):(1) 교법에서 진에 들어가게 하기 위하여 베푼 방편이 아닌, 영구 불변하는 실의(實義)를 말한 것. (2) 실제로 수행하는데 있어 몸과 입이 일치하지 않고 생각과 말이 위반되지 않고 뜻과 말과 행동이 서로 일치하여 거짓이 없음.
주008)
체(體):법의 본질. 만물의 일정 불변(一定不變)하는 본모양. 일체 차별 현상의 근본. 곧 본체. (2) 체신(體信)·체달(體達)·체회(體會) 등의 숙어가 됨. 이치를 통달함.
주009)
위타전(圍陀典):인도 고대의 경전 이름.
주010)
지론(智論):대지도론(大智度論). 100권. 후진(後秦)시대에 구마라집(鳩摩羅什)이 402년 여름에 번역을 시작하여 406년 2월에 소요원(逍遙園)에서 완성하였다. 줄여서 『대론』·『지도론』·『지론』이라고 하며, 별칭으로 『대지도경론』·『대혜도경집요(大慧度經集要)』·『마하반야바라밀경석론(摩訶般若波羅蜜經釋論)』·『마하반야석론』·『석론』이라고도 한다. 『대품반야경』의 주석서이다. 용수(龍樹)보살이 저술하였으며, 그 해석이 여러 학설이나 사상, 전설·역사·지리·승가 등에 미칠 정도로 매우 상세하고 방대하여 백과사전적인 성격을 지닌다. 여기에 인용된 경전이나 논서도 다양하여 초기경전이나 그 논서 및 대승경전인 『법화경』·『화엄경』 등에 이르고, 바이셰쉬카 및 기타 인도의 일반 사상도 거론하고 있다. 이 책은 일반적으로 용수보살이 지은 것으로 간주되지만, 책머리에 있는 승예(僧叡)의 서문이나 이 논서가 한역으로만 존재하는 점 등 여러 이유를 고려해볼 때 현존하는 내용 전부가 다 용수의 저술이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제1권에서는 귀경게와 저술의 취지를 겸하여 게송을 설한 다음, 부처님이 반야바라밀을 설하시는 20여 가지 인연을 밝힌다. 그리고 제1권 후반부터 제34권까지는 『대품반야경』의 제1 ‘초품(初品)’을 해석한다. 여기에서는 연기(緣起)·공(空)·열반(涅槃)·4무소외(無所畏) 등 『대품반야경』에 나오는 중요한 용어나 불교의 기본 개념들을 설명한다. 제35권에서 제100권까지는 『대품반야경』의 각 품에 대한 설명으로, 제2 ‘보응품(報應品)’에서 제90 ‘촉루품’을 해설한 것이다. 그리고 각 품의 해석은 단(段)을 나누어 간략히 설명한다. 이 논서는 사상적인 면에서 『중론(中論)』이나 『십이문론(十二門論)』과 달리 부처님 법에 대한 긍정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주로 대승의 보살도를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으며, 대승의 보살사상이나 6바라밀 등의 종교적 실천을 드러내는 데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대승과 소승의 교류와 사상의 발전을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논서라고 하겠다.
주011)
처믜:처+의. 처음에.
주012)
범천(梵天):바라하마천(婆羅賀摩天)이라고도 쓴다. 색계 초선천. 범은 맑고 깨끗하단 뜻. 이 하늘은 욕계의 음욕을 여의어서 항상 깨끗하고 조용하므로 범천이라 한다. 여기에 세 하늘이 있으니 범중천·범보천·대범천. 범천이라 통칭. 범천이라 할 때는 초선천의 주(主)인 범천왕을 가리킴. (2) 범토 천축이란 뜻. 인도를 가리키는 말. (3) 수험도(修驗道)에서 묘소(墓所)를 일컫는 말. 범천이 내려와서 성령(聖靈)을 수호한다는 뜻.
주013)
독송(讀誦):독(讀)은 글자를 보면서 읽는 것, 송(誦)은 글자를 보지 않고 외우는 것.
주014)
가영(歌詠):시가(詩歌)를 읊음.
주015)
양재(禳灾):신령이나 귀신에게 빌어서 재앙을 물리침.
주016)
재변(灾變):재앙으로 인하여 생긴 변고.
주017)
방양(方禳):푸닥거리하여 물리침.
주018)
환인(幻人):남의 눈을 속이는 기술을 가진 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