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④-1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④-1


[지장경 ④-1]
이 말 니 제 會中 주001)
회중(會中):
설법을 하는 도중.
에  鬼王 이루미

월인석보 21 하:123ㄴ

주002)
주명(主命):
천마(天魔)의 왕 가운데 하나의 이름. 정법(正法)을 해치고 중생이 불도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귀신이다.
이러니 부텻긔  世尊 주003)
내:
인칭대명사에서 ‘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으로 나타나고, 속격형은 평성으로 나타난다. 여기서는 거성으로 나타나 주격인 ‘내가’로 해석된다.
本來 주004)
본래(本來):
사물이나 사실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
業緣 주005)
업연(業緣):
업보의 인연.
으로 閻浮提ㅅ 사 목수믈 알며 주006)
알며:
기본형은 ‘알다’. 가말다. 주관하다. 주관하며.
生時 死時 내 다 아랫노니 주007)
아랫노니:
알+아+잇++오+니.
주008)
내:
인칭대명사에서 ‘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으로 나타나고, 속격형은 평성으로 나타난다. 여기서는 평성으로 나타나 속격인 ‘나의’로 해석된다.
本願 주009)
본원(本願):
본디부터 가진 큰 소원. 부처가 되기 이전, 즉 보살로서 수행할 때에 세운 서원.
甚히 주010)
심(甚)히:
정도가 지나치게.
크게 利益건마 주011)
이익(利益)건마:
‘利益건마’에서 ‘’가 탈락한 형태. 어근의 말음이 ‘ㄱ, ㄷ’과 같은 폐쇄음일 경우에는 ‘’의 축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탈락한다. ‘-건마’은 양보를 나타낸 어미. 양보를 나타낸 어미로는 ‘-나’, ‘-’가 대표적이었으나, ‘-ㄴ’, ‘-거니와’, ‘-ㄹ뎡’, ‘-ㄹ션뎡’ 등도 양보를 나타내었다. 이익(利益)하건마는.
衆生이 내 들 몰라 生死애 다 便安 주012)
편안(便安):
편하고 걱정 없이 좋음.
몯게 주013)
몯게:
‘몯게’에서 ‘’가 탈락한 형태. 어근의 말음이 ‘ㄱ, ㄷ’과 같은 폐쇄음일 경우에는 ‘’의 축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탈락한다. 못하게.


월인석보 21 하:124ㄱ

엇뎨 주014)
엇뎨:
‘어찌’의 옛말.
어뇨 주015)
어뇨:
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나 ‘이다’의 어간 뒤에 붙어, 의문사와 함께 쓰여, ‘라’할 자리에 쓰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란 주016)
엇뎨어뇨란:
직역하면 “어째서인가 하니까” 정도가 되나 문맥상 “어째서냐 하면”이나 “왜냐하면”으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해서 그 경우의 어미 ‘-란’가 가정이나 조건의 의미를 가진다고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표현은 월인석보나 석보상절에 주로 나온다. 다른 불경 언해에는 그 자리에 ‘엇뎨어뇨’로 나오는 것이다.
閻浮提ㅅ 사미 처 주017)
처:
‘처음’의 옛말.
 제 男女 묻디 말오 마 주018)
마:
‘이미, 벌써 / 이제 곧, 머지않아 / 하마터면’의 옛말.
 제 오직 善事 야 舍宅 주019)
사택(舍宅):
‘집’을 높여 이르는 말.
增益 주020)
증익(增益):
더하여져 늚. 또는 더하여 늘게 함. 밀교에서, 세간의 즐거움이나 벼슬·장수·건강 따위의 복덕이 더하기를 남방 보부(寶部)의 여러 부처에게 기원하는 수법(修法).
게 면 土地 그지업시 주021)
그지업시:
그지없이. 끝이나 한량이 없이.
歡喜야 子母 擁護야 큰 安樂 得야 眷屬 利益게 리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④-1]
이 말을 이르실 때 회중에 한 귀왕이 이름이 주명이더니, 부처께 아뢰되 세존이시여! 내가 본래의 업연으로 염부제의 사람의 목숨을 주관하며 생시와 사시를 내가 모두 주관하였으니 나의 본원에는 심히 크게 이익하건마는 중생이 내 뜻을 몰라 생사에 있어 모두 편안하지 못하게 하니, 어째서냐 하면 염부제의 사람이 처음 날 때 남녀 묻지 말고 이미 태어났을 때 오직 선한 일을 하여 집을 증익하게 하면 토지가 끝이 없이 환희하여 자모를 옹호하여 큰 안락을 얻어 권속을 이익하게 할 것이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회중(會中):설법을 하는 도중.
주002)
주명(主命):천마(天魔)의 왕 가운데 하나의 이름. 정법(正法)을 해치고 중생이 불도에 들어가는 것을 방해하는 귀신이다.
주003)
내:인칭대명사에서 ‘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으로 나타나고, 속격형은 평성으로 나타난다. 여기서는 거성으로 나타나 주격인 ‘내가’로 해석된다.
주004)
본래(本來):사물이나 사실이 전하여 내려온 그 처음.
주005)
업연(業緣):업보의 인연.
주006)
알며:기본형은 ‘알다’. 가말다. 주관하다. 주관하며.
주007)
아랫노니:알+아+잇++오+니.
주008)
내:인칭대명사에서 ‘나’(1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내’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다. 주격형은 거성으로 나타나고, 속격형은 평성으로 나타난다. 여기서는 평성으로 나타나 속격인 ‘나의’로 해석된다.
주009)
본원(本願):본디부터 가진 큰 소원. 부처가 되기 이전, 즉 보살로서 수행할 때에 세운 서원.
주010)
심(甚)히:정도가 지나치게.
주011)
이익(利益)건마:‘利益건마’에서 ‘’가 탈락한 형태. 어근의 말음이 ‘ㄱ, ㄷ’과 같은 폐쇄음일 경우에는 ‘’의 축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탈락한다. ‘-건마’은 양보를 나타낸 어미. 양보를 나타낸 어미로는 ‘-나’, ‘-’가 대표적이었으나, ‘-ㄴ’, ‘-거니와’, ‘-ㄹ뎡’, ‘-ㄹ션뎡’ 등도 양보를 나타내었다. 이익(利益)하건마는.
주012)
편안(便安):편하고 걱정 없이 좋음.
주013)
몯게:‘몯게’에서 ‘’가 탈락한 형태. 어근의 말음이 ‘ㄱ, ㄷ’과 같은 폐쇄음일 경우에는 ‘’의 축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탈락한다. 못하게.
주014)
엇뎨:‘어찌’의 옛말.
주015)
어뇨:동사나 형용사 어간 뒤나 ‘이다’의 어간 뒤에 붙어, 의문사와 함께 쓰여, ‘라’할 자리에 쓰여, 물음을 나타내는 종결어미.
주016)
엇뎨어뇨란:직역하면 “어째서인가 하니까” 정도가 되나 문맥상 “어째서냐 하면”이나 “왜냐하면”으로 번역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고 해서 그 경우의 어미 ‘-란’가 가정이나 조건의 의미를 가진다고 파악되어서는 안 된다. 이와 같은 표현은 월인석보나 석보상절에 주로 나온다. 다른 불경 언해에는 그 자리에 ‘엇뎨어뇨’로 나오는 것이다.
주017)
처:‘처음’의 옛말.
주018)
마:‘이미, 벌써 / 이제 곧, 머지않아 / 하마터면’의 옛말.
주019)
사택(舍宅):‘집’을 높여 이르는 말.
주020)
증익(增益):더하여져 늚. 또는 더하여 늘게 함. 밀교에서, 세간의 즐거움이나 벼슬·장수·건강 따위의 복덕이 더하기를 남방 보부(寶部)의 여러 부처에게 기원하는 수법(修法).
주021)
그지업시:그지없이. 끝이나 한량이 없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