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⑩-4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⑩-4


[지장경 ⑩-4]
부톄 觀世音菩薩려 니샤 未來 現在 諸世界 中에 天人이 天福 주001)
천복(天福):
하늘이 내려 준 복.
이 다아 五衰相 주002)
오쇠상(五衰相):
오쇠의 모습. 오쇠는 천인오쇠(天人五衰). 천인의 복락이 다하여 죽으려 할 때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쇠하여지는 모양. 이 5종에 대하여서는 경론마다 다르다. 『증일아함경』 24에는 ① 화관(花冠)이 저절로 시들고 ② 옷에 때가 묻고 ③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④ 제 자리가 즐겁지 않고 ⑤ 왕녀가 배반한다. 『열반경』 19에는 ① 옷에 때가 묻고 ② 머리의 꽃이 시들고 ③ 몸에서 나쁜 냄새가 나고 ④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⑤ 제 자리가 즐겁지 않다. 또 『구사론』 10에는 모든 천자들이 목숨을 마치려 할 때에는 먼저 5종의 소쇠상(小衰相)이 나타나는데 ① 옷과 장엄구(莊嚴具)들이 언짢은 소리를 내고 ② 자기 몸에서 내던 광명이 흐려지고 ③ 목욕하는 데 물방울이 몸에 묻고 ④ 본성품이 다니기 좋아하던 것이 한 곳에 머물게 되고 ⑤ 눈이 가만 있던 것이 자주 깜박거려진다. 그러나 이 다섯 가지가 나타난다 하여 곧 죽는 것은 아니고, 다시 5종의 대쇠상(大衰相)이 나타나게 되니, ① 옷이 티끌에 더러워지고 ② 꽃다발이 시들고 ③ 양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④ 나쁜 냄새가 몸에서 나고 ⑤ 제 자리가 즐겁지 않게 된다. 이 5종의 쇠하는 모양이 나타나면 반드시 죽는 것이라 한다.
이 現커나 시혹 惡道 주003)
악도(惡道):
악도. 악업(惡業)을 지어서 죽은 뒤에 가야 하는 괴로움의 세계.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 수라도의 네 가지가 있다.
러디리 주004)
러디리:
떨어질 이.
이셔 이 天人이 男이어나 女ㅣ어나 相現 저긔 시

월인석보 21 하:159ㄴ

地藏菩薩形像 주005)
형상(形像):
형상. 사물의 생긴 모양이나 상태. 마음과 감각에 의하여 떠오르는 대상의 모습을 떠올리거나 표현함. 또는 그런 형태.
 보거나 시혹 주006)
시혹:
‘혹시’의 옛말.
地藏菩薩일후믈 주007)
일후믈:
일훔+을. 이름을.
듣거나 一瞻 一禮면【瞻은 볼씨라】 이 天人이 天福이 더어 주008)
더어:
기본형은 ‘더다’. 또는 ‘더으다’. ‘더하다’의 옛말. 더하여.
快樂 주009)
쾌락(快樂):
즐거움. 정신적으로 기쁜 것을 쾌라 하고, 육체적으로 즐거움을 낙이라 함.
 受야 기리 주010)
기리:
‘길이’의 옛말.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三惡道 주011)
삼악도(三惡道):
악인이 죽어서 가는 세 가지의 괴로운 세계.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이다.
報애 주012)
보(報)애:
報+애. 처격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난다.
디나디 아니리니 며 주013)
며:
16세기의 1단계 비어두 음절에서의 ‘·’의 소실로 ‘며〉믈며[況]’가 되었다. 하물며.
菩薩 보며 듣고 여러 가

월인석보 21 하:160ㄱ

香花 주014)
향화(香花):
향과 꽃을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향기로운 꽃.
衣服 飮食 寶貝 주015)
보패(寶貝):
보배의 원형.
瓔珞 주016)
영락(瓔珞):
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
로 布施 주017)
보시[布施]:
단나(檀那)라 음역. (1) 6바라밀의 하나. 자비심으로써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물건을 줌. 이것을 재시(財施). 보시는 재시·법시·무외시(無畏施)의 3종으로 나누며, 또 4종, 5종, 7종, 8종으로 나누기도 한다. (2) 4섭법(攝法)의 하나. 보살이 재시·법시로써 중생을 섭수(攝受)하여 화도(化導)하는 것. (3) 지금은 흔히 신도들이 스님들에게 독경을 청하거나 불사를 행하고 보수로 금전이나 물품을 주는 것을 보시라고 말한다.
供養호미녀 주018)
-녀:
‘이다’의 어간 뒤에 붙어, -뿐이랴.
어둔 주019)
어둔:
얻+우+ㄴ. 얻은.
功德 주020)
공덕(功德):
범어 구나(求那)의 번역. 또는 구낭(懼囊)·우낭이라고도 쓴다. 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을 말하는 것으로, 공덕을 해석하는 데 여러 가지 말이 있다. (1) 복덕과 같은 뜻으로, 복은 복리,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복되게 하므로 복이라 하며, 복의 덕이므로 복덕이라 한다. (2) 공(功)을 공능(功能)이라 해석.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이롭게 하므로 공이라 하고, 공의 덕이란 뜻으로 공덕이라 한다. (3) 공을 베푸는 것을 공이라 하고, 자기에게 돌아옴을 덕이라 함. (4) 악(惡)이 다함을 공, 선이 가득 차는 것을 덕이라 한다. (5) 덕은 얻었다[得]는 것이니, 공을 닦은 뒤에 얻는 것이므로 공덕이라 한다.
福利 주021)
복리(福利):
행복과 이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
無量 無邊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⑩-4]
부처관세음보살더러 이르시되, 미래 현재 여러 세계 중에 천인이 천복이 다하여 오쇠상이 나타나거나 혹시 악도에 떨어질 이 있어 이같은 천인이 남자이거나 여인이거나 상현할 적에 혹시 지장보살의 형상을 보거나 혹시 지장보살의 이름을 듣거나 일첨 일례하면【첨은 보는 것이다.】 이 천인이 천복이 더하여 큰 쾌락을 받아야 길이 삼악도의 업보에 지나지 아니할 것이니, 하물며 보살을 보며 듣고 여러 가지의 향화와 의복과 음식과 보배와 영락으로 보시하고 공양함이랴. 얻은 공덕과 복리는 무량무변할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천복(天福):하늘이 내려 준 복.
주002)
오쇠상(五衰相):오쇠의 모습. 오쇠는 천인오쇠(天人五衰). 천인의 복락이 다하여 죽으려 할 때에 나타나는 다섯 가지 쇠하여지는 모양. 이 5종에 대하여서는 경론마다 다르다. 『증일아함경』 24에는 ① 화관(花冠)이 저절로 시들고 ② 옷에 때가 묻고 ③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④ 제 자리가 즐겁지 않고 ⑤ 왕녀가 배반한다. 『열반경』 19에는 ① 옷에 때가 묻고 ② 머리의 꽃이 시들고 ③ 몸에서 나쁜 냄새가 나고 ④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⑤ 제 자리가 즐겁지 않다. 또 『구사론』 10에는 모든 천자들이 목숨을 마치려 할 때에는 먼저 5종의 소쇠상(小衰相)이 나타나는데 ① 옷과 장엄구(莊嚴具)들이 언짢은 소리를 내고 ② 자기 몸에서 내던 광명이 흐려지고 ③ 목욕하는 데 물방울이 몸에 묻고 ④ 본성품이 다니기 좋아하던 것이 한 곳에 머물게 되고 ⑤ 눈이 가만 있던 것이 자주 깜박거려진다. 그러나 이 다섯 가지가 나타난다 하여 곧 죽는 것은 아니고, 다시 5종의 대쇠상(大衰相)이 나타나게 되니, ① 옷이 티끌에 더러워지고 ② 꽃다발이 시들고 ③ 양 겨드랑이에 땀이 나고 ④ 나쁜 냄새가 몸에서 나고 ⑤ 제 자리가 즐겁지 않게 된다. 이 5종의 쇠하는 모양이 나타나면 반드시 죽는 것이라 한다.
주003)
악도(惡道):악도. 악업(惡業)을 지어서 죽은 뒤에 가야 하는 괴로움의 세계.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 수라도의 네 가지가 있다.
주004)
러디리:떨어질 이.
주005)
형상(形像):형상. 사물의 생긴 모양이나 상태. 마음과 감각에 의하여 떠오르는 대상의 모습을 떠올리거나 표현함. 또는 그런 형태.
주006)
시혹:‘혹시’의 옛말.
주007)
일후믈:일훔+을. 이름을.
주008)
더어:기본형은 ‘더다’. 또는 ‘더으다’. ‘더하다’의 옛말. 더하여.
주009)
쾌락(快樂):즐거움. 정신적으로 기쁜 것을 쾌라 하고, 육체적으로 즐거움을 낙이라 함.
주010)
기리:‘길이’의 옛말. 오랜 세월이 지나도록.
주011)
삼악도(三惡道):악인이 죽어서 가는 세 가지의 괴로운 세계. 지옥도, 축생도, 아귀도이다.
주012)
보(報)애:報+애. 처격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난다.
주013)
며:16세기의 1단계 비어두 음절에서의 ‘·’의 소실로 ‘며〉믈며[況]’가 되었다. 하물며.
주014)
향화(香花):향과 꽃을 아울러 이르는 말. 또는 향기로운 꽃.
주015)
보패(寶貝):보배의 원형.
주016)
영락(瓔珞):구슬을 꿰어 만든 장신구.
주017)
보시[布施]:단나(檀那)라 음역. (1) 6바라밀의 하나. 자비심으로써 다른 이에게 조건 없이 물건을 줌. 이것을 재시(財施). 보시는 재시·법시·무외시(無畏施)의 3종으로 나누며, 또 4종, 5종, 7종, 8종으로 나누기도 한다. (2) 4섭법(攝法)의 하나. 보살이 재시·법시로써 중생을 섭수(攝受)하여 화도(化導)하는 것. (3) 지금은 흔히 신도들이 스님들에게 독경을 청하거나 불사를 행하고 보수로 금전이나 물품을 주는 것을 보시라고 말한다.
주018)
-녀:‘이다’의 어간 뒤에 붙어, -뿐이랴.
주019)
어둔:얻+우+ㄴ. 얻은.
주020)
공덕(功德):범어 구나(求那)의 번역. 또는 구낭(懼囊)·우낭이라고도 쓴다. 좋은 일을 쌓은 공과 불도를 수행한 덕을 말하는 것으로, 공덕을 해석하는 데 여러 가지 말이 있다. (1) 복덕과 같은 뜻으로, 복은 복리,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복되게 하므로 복이라 하며, 복의 덕이므로 복덕이라 한다. (2) 공(功)을 공능(功能)이라 해석. 선(善)을 수행하는 이를 도와 이롭게 하므로 공이라 하고, 공의 덕이란 뜻으로 공덕이라 한다. (3) 공을 베푸는 것을 공이라 하고, 자기에게 돌아옴을 덕이라 함. (4) 악(惡)이 다함을 공, 선이 가득 차는 것을 덕이라 한다. (5) 덕은 얻었다[得]는 것이니, 공을 닦은 뒤에 얻는 것이므로 공덕이라 한다.
주021)
복리(福利):행복과 이익을 아울러 이르는 말.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