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⑪-10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⑪-10


[지장경 ⑪-10]
地藏아 이 南閻浮提 주001)
남염부제(南閻浮提):
사주(四洲)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남섬부주·섬부주(贍部洲)·남염부주·섬부(贍部)·염부(閻浮)·염부제(閻浮提)·염부주·첨부(瞻部).
衆生이 志性이 一定티 아니야 모딘 일 니기리 주002)
니기리:
니기+ㄹ+이. 기본형은 ‘니기다’. ‘이기다’의 옛말. 이길 이가.
만야 주003)
만야:
기본형은 ‘만다’. ① 어떤 대상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타당한 이유를 가질 정도로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 ②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말. 많아.
비록 善心 주004)
선심(善心):
자기 스스로와 남에게 부끄러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
을 發야도 아니 한 더데 주005)
더데:
덛+에. ‘덧’의 옛말. 얼마 안 되는 퍽 짧은 시간.
즉재 주006)
즉재:
곧. 즉시.
므르니 주007)
므르니:
기본형은 ‘므르다’. 물러나다. 물러나니.
다가 惡緣을 맛나면 念念에 더 기니 주008)
기니:
기+니. 기본형은 ‘길다’. ‘자라다’의 옛말, 자라니.

월인석보 21 하:180ㄱ

다로 주009)
다로:
닷+로. 탓으로.
내 이 모 百千億에 分야 根性 주010)
근성(根性):
①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성질. ② 뿌리가 깊게 박힌 성질.
을 조차 度脫 주011)
도탈(度脫):
중생(衆生)을 제도(濟度)하여 번뇌(煩惱)·미망(迷妄)에서 벗어나 오도(悟道)의 경지(境地)에 이르게 함.
노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⑪-10]
지장아! 이 남염부제 중생이 지성이 일정하지 아니하여 모진 일을 이길 이가 많아 비록 선심을 발하여도 많지 않은 사이에 즉시 물러나니, 만약에 악연을 만나면 염념에 더 자라니, 이런 탓으로 내가 이 몸을 백천억에 나누어 근성을 좇아 도탈하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남염부제(南閻浮提):사주(四洲)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남섬부주·섬부주(贍部洲)·남염부주·섬부(贍部)·염부(閻浮)·염부제(閻浮提)·염부주·첨부(瞻部).
주002)
니기리:니기+ㄹ+이. 기본형은 ‘니기다’. ‘이기다’의 옛말. 이길 이가.
주003)
만야:기본형은 ‘만다’. ① 어떤 대상이 앞말이 뜻하는 행동을 할 타당한 이유를 가질 정도로 가치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 ② 앞말이 뜻하는 행동이 가능함을 나타내는 말. 많아.
주004)
선심(善心):자기 스스로와 남에게 부끄러움, 탐욕, 성냄, 어리석음이 없는 마음.
주005)
더데:덛+에. ‘덧’의 옛말. 얼마 안 되는 퍽 짧은 시간.
주006)
즉재:곧. 즉시.
주007)
므르니:기본형은 ‘므르다’. 물러나다. 물러나니.
주008)
기니:기+니. 기본형은 ‘길다’. ‘자라다’의 옛말, 자라니.
주009)
다로:닷+로. 탓으로.
주010)
근성(根性):①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근본적인 성질. ② 뿌리가 깊게 박힌 성질.
주011)
도탈(度脫):중생(衆生)을 제도(濟度)하여 번뇌(煩惱)·미망(迷妄)에서 벗어나 오도(悟道)의 경지(境地)에 이르게 함.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