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2
메뉴닫기 메뉴열기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2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2]
淨飯王 주001)
정반왕(淨飯王):
슈도다나(Śuddhodana)의 다른 이름으로, 기원전 6세기 무렵 인도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의 왕이다. 석가모니의 아버지이다. 수두단(輸頭檀)·수도타나(首圖馱那)·설두(屑頭) 등이라 음역. 백정왕(白淨王)이라고도 한다. 사자협왕(師子頰王)의 아들로, 구리성 임금 선각왕의 누이 동생인 마하마야를 왕비로 맞았으나 실달다를 낳고 죽었다. 마야부인의 동생인 마하파사파제를 왕비로 받아들여 실달다를 기르게 하였고, 그 뒤에 난타(難陀)를 낳았다. 만년에 병들어 석존·난타·라후라 등의 간호를 받으면서 나이 79세(일설에는 97세라고도 함)로 세상을 떠났다.
아님 悉達太子 주002)
실달태자(悉達太子):
‘실달’은 ‘싯다르타’의 음역어. ‘싯다르타’는 석가모니가 출가하기 전 정반왕 태자 때의 이름.

월인석보 21 하:196ㄱ

ㅣ 城 밧긔 주003)
밧긔:
+의. ‘’은 ‘밖’의 옛말. 밖에.
老病死 주004)
노병사(老病死):
늙고 쇠약해서 생긴 병으로 인한 죽음.
보시고 시름샤 人生 슬피 너기샤 貴며 아니 주005)
아니:
압+니. 기본형은 ‘압다’. ‘천(賤)하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나 ‘아오-’로 나타난다. 천하니.
업시 얼굴 주006)
얼굴:
‘모습’, ‘형체’의 옛말.
잇 거시 이 시름 免리 업도다 샤 바 宮城 주007)
궁성(宮城):
궁궐을 둘러 싼 성벽.
나샤 주008)
나샤:
남+시+어. 기본형은 ‘남다’. ‘넘다’의 옛말. 넘으시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2]
정반왕의 맏아드님 실달태자가 성 밖에 나가 늙은 병사를 보시고 시름하시어 인생을 슬피 여기시어 귀하며 천한 이가 없이 모습 있는 것이 이 시름 면할 이가 없다고 하시어 밤에 궁성을 넘으시어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정반왕(淨飯王):슈도다나(Śuddhodana)의 다른 이름으로, 기원전 6세기 무렵 인도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의 왕이다. 석가모니의 아버지이다. 수두단(輸頭檀)·수도타나(首圖馱那)·설두(屑頭) 등이라 음역. 백정왕(白淨王)이라고도 한다. 사자협왕(師子頰王)의 아들로, 구리성 임금 선각왕의 누이 동생인 마하마야를 왕비로 맞았으나 실달다를 낳고 죽었다. 마야부인의 동생인 마하파사파제를 왕비로 받아들여 실달다를 기르게 하였고, 그 뒤에 난타(難陀)를 낳았다. 만년에 병들어 석존·난타·라후라 등의 간호를 받으면서 나이 79세(일설에는 97세라고도 함)로 세상을 떠났다.
주002)
실달태자(悉達太子):‘실달’은 ‘싯다르타’의 음역어. ‘싯다르타’는 석가모니가 출가하기 전 정반왕 태자 때의 이름.
주003)
밧긔:+의. ‘’은 ‘밖’의 옛말. 밖에.
주004)
노병사(老病死):늙고 쇠약해서 생긴 병으로 인한 죽음.
주005)
아니:압+니. 기본형은 ‘압다’. ‘천(賤)하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나 ‘아오-’로 나타난다. 천하니.
주006)
얼굴:‘모습’, ‘형체’의 옛말.
주007)
궁성(宮城):궁궐을 둘러 싼 성벽.
주008)
나샤:남+시+어. 기본형은 ‘남다’. ‘넘다’의 옛말. 넘으시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