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1
메뉴닫기 메뉴열기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1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1]
 무로 一切 智人이 누고 주001)
누고:
누+고. ‘누’는 미지칭 대명사. 주격형은 뉘(거성), 속격형은 뉘(상성), 대격형 눌 또는 누를 등으로 실현되었다. 이 ‘누’에 의문의 添詞 ‘고, 구’가 연결된 것이 ‘누고, 누구’였다. 이 ‘누고, 누구’가 근대국어에 와서는 대명사 어간으로 인식되어 현대국어에 이른다.
對答호 大慈悲父ㅣ시

월인석보 21 하:195ㄴ

니라 네 모던다 주002)
모던다:
기본형은 ‘모다’. 모+더+ㄴ다. ‘-ㄴ다’는 동명사 어미 ‘-ㄴ’에 첨사 ‘다’가 연결된 의문법 어미이다. 이 형태가 사용된 의문문의 주어는 2인칭 대명사 ‘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판정 의문과 설명 의문을 포괄하였다.
白淨王 주003)
백정왕종(白淨王種):
백정왕(白淨王)의 종족. 백정왕은 고대 중인도의 가비라위국의 왕. 슈도다나(Śuddhodana)의 다른 이름으로, 기원전 6세기 무렵 인도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의 왕이다. 석가모니의 아버지이다. 정반왕(淨飯王)이라고도 한다. 사자협왕(師子頰王)의 아들로, 구리성 임금 선각왕의 누이 동생인 마하마야를 왕비로 맞았으나 실달다를 낳고 죽었다. 마야부인의 동생인 마하파사파제를 왕비로 받아들여 실달다를 기르게 하였고, 그 뒤에 난타(難陀)를 낳았다. 만년에 병들어 석존·난타·라후라 등의 간호를 받으면서 나이 79세(일설에는 97세라고도 함)로 세상을 떠났다.
이시니 豪尊이 第一 주004)
제일(第一):
여럿 가운데서 첫째 가는 것.
이시니 劫初 주005)
겁초(劫初):
세상이 이루어지는 처음. 하늘과 땅이 열리고 중생이 생존하게 되는 시초를 이르는 말이다.
브터 주006)
브터:
‘부터’의 옛말. 동사 ‘븥-’[附]에서 온 특수조사이다. 중세국어의 특수조사들은 이렇듯 동사에서 기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를 나타낸 특수조사로 동사 ‘두-’[置]의 부동사형인 ‘두고’라든가 ‘이시-’[有]의 부동사형에서 기원한 ‘셔’, ‘더블-’에서 온 ‘더브러’, ‘좇-’[隨]에서 온 ‘조차’와 ‘조초’, ‘조치-’[兼]에서 온 ‘조쳐’ 등이 그들이다.
아리 주007)
아리:
기본형은 ‘아’. ‘맏아들’의 옛말. 맏아들이.
서르 니 轉輪王이 외시니 요 주008)
요:
‘요사이’의 옛말. 이제까지의 매우 짧은 동안.
주009)
뉘:
‘세상’이나 ‘때’의 옛말.
轉輪王 주010)
전륜왕(轉輪王):
작가라발라저(斫迦邏跋羅底)·자가월라(遮加越羅)라 음역하고, 전륜성왕·전륜성제(轉輪聖帝)라고 번역한다. 줄여서 윤왕, 또는 비행 황제라고도 한다. 수미(須彌) 4주(洲)의 세계를 통솔하는 대왕. 이 왕은 몸에 32상을 갖추었으며 즉위할 때에는 하늘로부터 윤보(輪寶)를 감득(感得)하는데, 이 윤보를 굴리면서 사방을 위엄으로 굴복시키므로 전륜왕이라 불린다. 또한 공중을 날아다니므로 비행황제라고도 불린다. 증겁(增劫)에 인수(人壽) 2만세 이상에 이르면, 이 왕이 세상에 나고, 감겁(減劫)에는 인수 무량세에서 8만세까지의 사이에 나타난다 한다. 윤보에는 금·은·동·철의 네 종류가 있어 이들 윤보의 종류에 따라 왕의 이름이 나뉜다. 즉 금륜왕은 수미 4주를 통치하고, 은륜왕은 동·서·남 3주, 동륜왕은 동·남 2주, 철륜왕은 남섬부주의 1주를 통치한다고 한다.
이 아니 외샤도 閻浮提王이 외시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육사외도의 석존 비방 4-1]
또 묻되, 일체 지인이 누구인가? 대답하되, 대자비한 아버지이시다. 너는 모르던가? 백정왕종이시니 호존이 제일이시니 겁초부터 맏아들이 서로 이어 전륜왕이 되시니 요사이에 두 세상을 전륜왕이 아니 되시어도 염부제왕이 되시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누고:누+고. ‘누’는 미지칭 대명사. 주격형은 뉘(거성), 속격형은 뉘(상성), 대격형 눌 또는 누를 등으로 실현되었다. 이 ‘누’에 의문의 添詞 ‘고, 구’가 연결된 것이 ‘누고, 누구’였다. 이 ‘누고, 누구’가 근대국어에 와서는 대명사 어간으로 인식되어 현대국어에 이른다.
주002)
모던다:기본형은 ‘모다’. 모+더+ㄴ다. ‘-ㄴ다’는 동명사 어미 ‘-ㄴ’에 첨사 ‘다’가 연결된 의문법 어미이다. 이 형태가 사용된 의문문의 주어는 2인칭 대명사 ‘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었다. 그리고 이들은 판정 의문과 설명 의문을 포괄하였다.
주003)
백정왕종(白淨王種):백정왕(白淨王)의 종족. 백정왕은 고대 중인도의 가비라위국의 왕. 슈도다나(Śuddhodana)의 다른 이름으로, 기원전 6세기 무렵 인도 카필라바스투(Kapilavastu)의 왕이다. 석가모니의 아버지이다. 정반왕(淨飯王)이라고도 한다. 사자협왕(師子頰王)의 아들로, 구리성 임금 선각왕의 누이 동생인 마하마야를 왕비로 맞았으나 실달다를 낳고 죽었다. 마야부인의 동생인 마하파사파제를 왕비로 받아들여 실달다를 기르게 하였고, 그 뒤에 난타(難陀)를 낳았다. 만년에 병들어 석존·난타·라후라 등의 간호를 받으면서 나이 79세(일설에는 97세라고도 함)로 세상을 떠났다.
주004)
제일(第一):여럿 가운데서 첫째 가는 것.
주005)
겁초(劫初):세상이 이루어지는 처음. 하늘과 땅이 열리고 중생이 생존하게 되는 시초를 이르는 말이다.
주006)
브터:‘부터’의 옛말. 동사 ‘븥-’[附]에서 온 특수조사이다. 중세국어의 특수조사들은 이렇듯 동사에서 기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를 나타낸 특수조사로 동사 ‘두-’[置]의 부동사형인 ‘두고’라든가 ‘이시-’[有]의 부동사형에서 기원한 ‘셔’, ‘더블-’에서 온 ‘더브러’, ‘좇-’[隨]에서 온 ‘조차’와 ‘조초’, ‘조치-’[兼]에서 온 ‘조쳐’ 등이 그들이다.
주007)
아리:기본형은 ‘아’. ‘맏아들’의 옛말. 맏아들이.
주008)
요:‘요사이’의 옛말. 이제까지의 매우 짧은 동안.
주009)
뉘:‘세상’이나 ‘때’의 옛말.
주010)
전륜왕(轉輪王):작가라발라저(斫迦邏跋羅底)·자가월라(遮加越羅)라 음역하고, 전륜성왕·전륜성제(轉輪聖帝)라고 번역한다. 줄여서 윤왕, 또는 비행 황제라고도 한다. 수미(須彌) 4주(洲)의 세계를 통솔하는 대왕. 이 왕은 몸에 32상을 갖추었으며 즉위할 때에는 하늘로부터 윤보(輪寶)를 감득(感得)하는데, 이 윤보를 굴리면서 사방을 위엄으로 굴복시키므로 전륜왕이라 불린다. 또한 공중을 날아다니므로 비행황제라고도 불린다. 증겁(增劫)에 인수(人壽) 2만세 이상에 이르면, 이 왕이 세상에 나고, 감겁(減劫)에는 인수 무량세에서 8만세까지의 사이에 나타난다 한다. 윤보에는 금·은·동·철의 네 종류가 있어 이들 윤보의 종류에 따라 왕의 이름이 나뉜다. 즉 금륜왕은 수미 4주를 통치하고, 은륜왕은 동·서·남 3주, 동륜왕은 동·남 2주, 철륜왕은 남섬부주의 1주를 통치한다고 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