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③-1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③-1


[지장경 ③-1]
그 주001)
그:
그때. 장면전환부사. 이제 기록할 ‘이야기 속의 때’를 이른다. ‘그때’를 의미하는 다른 표현으로 쓰인 ‘그제’가 보다 구체적인 시간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惡毒 주002)
악독(惡毒):
마음이 흉악하고 독함.
鬼王 주003)
귀왕(鬼王):
마왕(魔王). 마귀의 우두머리.
合掌 주004)
합장(合掌):
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냄. 또는 그런 예법. 본디 인도의 예법으로, 보통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한다. 합수(合手).
恭敬 주005)
공경(恭敬):
공손히 받들어 모심. 경공(敬恭)·경지.
야 부텨  世尊 주006)
하:
존칭 체언류에 붙어, 시여. 이시여.
우리 鬼王히 그 數ㅣ 그지 업서 주007)
그지업시:
기본형은 ‘그지없다’. ① 끝이나 한량이 없다. ②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여기서는 파생부사로 ‘그지없이’.
閻浮提 주008)
염부제(閻浮提):
섬부주. 사주(四洲,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사방의 세계. 남쪽의 섬부주(贍部洲), 동쪽의 승신주(勝神洲), 서쪽의 우화주(牛貨洲),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이다.)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예 이셔 시혹 사 利益 주009)
이익(利益):
부처의 가르침을 받음으로써 얻는 은혜나 행복.

월인석보 21 하:121ㄴ

며 시혹 사 損害 주010)
손해(損害):
①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밑짐. ② 해를 입음.
야 各各 디 아니니 그러나 주011)
그러나:
1)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이 상반될 때 쓰는 접속 부사. 2)① ‘그리하나’가 줄어든 말. ② ‘그러하나’가 줄어든 말.
業報 주012)
업보(業報):
① 선악의 행업으로 말미암은 과보(果報). 업과. ② 업(業)과 과보를 아울러 이르는 말.
 우리 眷屬 주013)
권속(眷屬):
파니박라 음역. 권고하는 예속(隷屬)이란 뜻. 곧 따라서 친히 예속하는 것을 말함. 처자·도제(徒弟)·노복(奴僕) 또는 불·보살을 모시고 수종하는 제존(諸尊) 등을 말한다. 권솔. 한집에 거느리고 사는 식구.
이 世界예 노녀 주014)
노녀:
기본형은 ‘노니다’. ‘노닐다’의 옛말. 노닐어.
녀 주015)
녀:
기본형은 ‘니다’. ‘다니다’의 옛말. 다녀.
모딘 이리 만코 善 이리 져거 사 집히어나 주016)
집히어나:
집뜰이거나. 어미 ‘-이어나’는 받침 있는 체언류 뒤에 붙어, ‘-이거나’.
시혹 城邑 주017)
성읍(城邑):
고을.
聚落 주018)
취락(聚落):
인간의 생활 근거지인 가옥의 집합체. 넓은 의미로는 가옥을 중심으로 한 인간의 거주 형태 전반을 이르기도 한다. 인구 집단의 크기, 주민의 사회적 또는 경제적 기능, 경관 따위에 따라 촌락과 도시의 2대 유형으로 나눈다. 마을.
莊園 주019)
장원(莊園):
① 중국에서, 한나라 이후 근대까지 존속한 궁정·귀족·관료의 사유지. 한나라 때부터 진·남북조 때까지의 장원은 주로 별장지의 성격이 강하였는데 당나라 이후로는 경제적 성격을 띠게 되어 농민에게 경작하게 하고 관리인을 두어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② 유럽의 중세기에 귀족이나 사원에 딸린 넓은 토지. 봉건 제도에서의 토지 소유의 한 형태이다. ③ 일본에서 10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초엽까지 존속하였던 토지 소유의 한 형태. 사원이나 신사 또는 귀족들의 보호 아래 공령의 범위를 벗어나 조직적으로 토지를 사유하였다.
房舍 주020)
방사(房舍):
① ‘방(房)’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② 방만 있는 건물.
ㅣ어나 디나뇨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③-1]
그때 악독 귀왕이 합장 공경하여 부처께 아뢰되 세존이시여! 우리 귀왕들이 그 수가 끝이 없어 염부제에 있어 혹시 사람을 이익하며, 혹시 사람을 손해하여 각각 같지 아니하니 그러나 이 업보이기에 우리 권속이 세계에 놀러 다녀 모진 일이 많고 선한 일이 적어 사람의 집뜰이거나 혹시 성읍취락의 장원 방사이거나 지나다니되,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그:그때. 장면전환부사. 이제 기록할 ‘이야기 속의 때’를 이른다. ‘그때’를 의미하는 다른 표현으로 쓰인 ‘그제’가 보다 구체적인 시간을 가리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주002)
악독(惡毒):마음이 흉악하고 독함.
주003)
귀왕(鬼王):마왕(魔王). 마귀의 우두머리.
주004)
합장(合掌):두 손바닥을 합하여 마음이 한결같음을 나타냄. 또는 그런 예법. 본디 인도의 예법으로, 보통 두 손바닥과 열 손가락을 합한다. 합수(合手).
주005)
공경(恭敬):공손히 받들어 모심. 경공(敬恭)·경지.
주006)
하:존칭 체언류에 붙어, 시여. 이시여.
주007)
그지업시:기본형은 ‘그지없다’. ① 끝이나 한량이 없다. ② 이루 다 말할 수 없다. 여기서는 파생부사로 ‘그지없이’.
주008)
염부제(閻浮提):섬부주. 사주(四洲, 수미산을 중심으로 한 사방의 세계. 남쪽의 섬부주(贍部洲), 동쪽의 승신주(勝神洲), 서쪽의 우화주(牛貨洲), 북쪽의 구로주(俱盧洲)이다.)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주009)
이익(利益):부처의 가르침을 받음으로써 얻는 은혜나 행복.
주010)
손해(損害):①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밑짐. ② 해를 입음.
주011)
그러나:1) 앞의 내용과 뒤의 내용이 상반될 때 쓰는 접속 부사. 2)① ‘그리하나’가 줄어든 말. ② ‘그러하나’가 줄어든 말.
주012)
업보(業報):① 선악의 행업으로 말미암은 과보(果報). 업과. ② 업(業)과 과보를 아울러 이르는 말.
주013)
권속(眷屬):파니박라 음역. 권고하는 예속(隷屬)이란 뜻. 곧 따라서 친히 예속하는 것을 말함. 처자·도제(徒弟)·노복(奴僕) 또는 불·보살을 모시고 수종하는 제존(諸尊) 등을 말한다. 권솔. 한집에 거느리고 사는 식구.
주014)
노녀:기본형은 ‘노니다’. ‘노닐다’의 옛말. 노닐어.
주015)
녀:기본형은 ‘니다’. ‘다니다’의 옛말. 다녀.
주016)
집히어나:집뜰이거나. 어미 ‘-이어나’는 받침 있는 체언류 뒤에 붙어, ‘-이거나’.
주017)
성읍(城邑):고을.
주018)
취락(聚落):인간의 생활 근거지인 가옥의 집합체. 넓은 의미로는 가옥을 중심으로 한 인간의 거주 형태 전반을 이르기도 한다. 인구 집단의 크기, 주민의 사회적 또는 경제적 기능, 경관 따위에 따라 촌락과 도시의 2대 유형으로 나눈다. 마을.
주019)
장원(莊園):① 중국에서, 한나라 이후 근대까지 존속한 궁정·귀족·관료의 사유지. 한나라 때부터 진·남북조 때까지의 장원은 주로 별장지의 성격이 강하였는데 당나라 이후로는 경제적 성격을 띠게 되어 농민에게 경작하게 하고 관리인을 두어 세금을 거두어들였다. ② 유럽의 중세기에 귀족이나 사원에 딸린 넓은 토지. 봉건 제도에서의 토지 소유의 한 형태이다. ③ 일본에서 10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초엽까지 존속하였던 토지 소유의 한 형태. 사원이나 신사 또는 귀족들의 보호 아래 공령의 범위를 벗어나 조직적으로 토지를 사유하였다.
주020)
방사(房舍):① ‘방(房)’을 전문적으로 이르는 말. ② 방만 있는 건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