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⑨-2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⑨-2


[지장경 ⑨-2]
世尊하 내 보 未來와 現在

월인석보 21 하:149ㄴ

衆生 주001)
중생(衆生):
불교에서 인간을 위시하여 생명을 가진 모든 생물을 가리키는 말.
이 住 고대 주002)
고대:
곧+애. 곳에.
南方 주003)
남방(南方):
남쪽. 남녘. 남쪽 지방(地方).
조 주004)
조:
좋+. 기본형은 ‘좋다’. 깨끗하다. 깨끗한.
해 주005)
해:
+애. ‘[地]’은 땅을 뜻한다. ‘-애’는 처격조사로서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났다.
土石竹木로 龕室 주006)
감실(龕室):
불교·유교·가톨릭 등 종교에서 신위(神位) 및 작은 불상·초상, 또는 성체(聖體) 등을 모셔둔 곳을 말한다.
오 주007)
오:
+고. 어미 ‘-고’의 ‘ㄱ’은 어간의 모음 ‘ㅣ’나 자음 ‘ㄹ’ 아래에서 탈락한다. ‘다’는 ‘만들다’의 의미이다. 만들고. ‘*로’와 같이 연철이 되지 않는 것은 ‘ㄱ’이 탈락한 자리의 ‘ㅇ’이 음가는 가지지 않으나 자음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가온 주008)
가온:
가운데.
塑畵 주009)
소화(塑畵):
흙으로 빚어 만들거나 그림으로 그림.
커나 金銀銅鐵로 地藏 주010)
지장(地藏):
지장보살. 지지(持地)·묘당(妙幢)·무변심(無邊心)이라고도 함. 도리천에서 석가여래의 부촉을 받고 매일 아침 선정(禪定)에 들어 중생의 근기를 관찰. 석존이 입멸한 뒤부터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몸을 6도(道)에 나타내어 천상에서 지옥까지의 일체 중생을 교화하는 대자 대비한 보살. 밀호(密號)는 비원 금강(悲願金剛, 與願金剛). 천관을 쓰고 가사를 입고, 왼손에는 연꽃을 들고, 오른손으로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취하거나 혹은 왼손에 연꽃을 쥐고, 오른손에 보주를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 모습이 차츰 변하여 후세에 위경(僞經)인 『연명지장경』이 나오면서부터 석장(錫杖)을 짚은 사문 모습의 형상이 생기고, 또 그 뒤에는 동자를 안은 지장·육지장(六地藏)·승군지장(勝軍地藏) 등의 형상이 생김.
ㅅ 像 고 주011)
고:
기본형은 ‘다’. 만들다. 만들고.
香ㄱ 주012)
향(香)ㄱ:
여기에 보이는 ‘ㄱ’의 정체는 분명하지 않다. 용비어천가와 훈민정음언해에서 사이시옷 대신에 ‘ㄱ’ 등이 쓰이기도 하였으나 지금 이 자리는 사이시옷이 올 자리도 아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의 모든 문자는 그 음가대로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 원칙에 대한 유일한 예외가 소위 “사이시옷”으로 사용되었던 ‘ㅅ’이었다. 속격 어미로서 그 음운론적 특징은 선행어의 말음을 내파화하고 후행어의 두음을 된소리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용비어천가와 훈민정음언해에서는 주로 한자어의 경우이기는 하나 선행어의 말음이 불청불탁자인 경우 그것과 같은 위치(牙, 舌, 唇, 喉)의 전청자로써 사이시옷의 자리를 표기하였다. 이를 테면 ‘穰ㄱ字, 君군ㄷ字, 侵침ㅂ字, 慈ㆆ字’ 등에 보이는 ‘ㄱ ㄷ ㅂ ㆆ’이 그것이다.
퓌우고 주013)
퓌우고:
무량굴판에는 ‘픠우고’로 표기되어 있다.
供養 주014)
공양(供養):
공경하는 마음으로 삼보(三寶)·사장(師長)·조상 등에게 향화(香華)·등명(燈明)·음식·재물 등을 바치는 일.
야 보 주015)
보:
보++아. 뵈어.
禮數고 讚歎 주016)
찬탄(讚歎):
어떠한 대상(對象)을 대단하다고 여겨 감탄(感歎)함.
면 이 사 사 해 즉재 열 가

월인석보 21 하:150ㄱ

利益 주017)
이익(利益):
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보탬이 되는 것.
 得리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⑨-2]
세존이시여! 내가 보되 미래와 현재의 중생이 머무른 곳에 남방 깨끗한 땅에 토석죽목으로 감실을 만들고 그 가운데 소화하거나 금은동철로 지장의 모습을 만들고 향을 피우고 공양하여 뵈어 예수하고 찬탄하면 이 사람이 사는 땅에 즉시 열 가지의 이익을 얻을 것이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중생(衆生):불교에서 인간을 위시하여 생명을 가진 모든 생물을 가리키는 말.
주002)
고대:곧+애. 곳에.
주003)
남방(南方):남쪽. 남녘. 남쪽 지방(地方).
주004)
조:좋+. 기본형은 ‘좋다’. 깨끗하다. 깨끗한.
주005)
해:+애. ‘[地]’은 땅을 뜻한다. ‘-애’는 처격조사로서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났다.
주006)
감실(龕室):불교·유교·가톨릭 등 종교에서 신위(神位) 및 작은 불상·초상, 또는 성체(聖體) 등을 모셔둔 곳을 말한다.
주007)
오:+고. 어미 ‘-고’의 ‘ㄱ’은 어간의 모음 ‘ㅣ’나 자음 ‘ㄹ’ 아래에서 탈락한다. ‘다’는 ‘만들다’의 의미이다. 만들고. ‘*로’와 같이 연철이 되지 않는 것은 ‘ㄱ’이 탈락한 자리의 ‘ㅇ’이 음가는 가지지 않으나 자음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008)
가온:가운데.
주009)
소화(塑畵):흙으로 빚어 만들거나 그림으로 그림.
주010)
지장(地藏):지장보살. 지지(持地)·묘당(妙幢)·무변심(無邊心)이라고도 함. 도리천에서 석가여래의 부촉을 받고 매일 아침 선정(禪定)에 들어 중생의 근기를 관찰. 석존이 입멸한 뒤부터 미륵불이 출현할 때까지 몸을 6도(道)에 나타내어 천상에서 지옥까지의 일체 중생을 교화하는 대자 대비한 보살. 밀호(密號)는 비원 금강(悲願金剛, 與願金剛). 천관을 쓰고 가사를 입고, 왼손에는 연꽃을 들고, 오른손으로 시무외인(施無畏印)을 취하거나 혹은 왼손에 연꽃을 쥐고, 오른손에 보주를 들고 있는 모습을 하고 있으며 이 모습이 차츰 변하여 후세에 위경(僞經)인 『연명지장경』이 나오면서부터 석장(錫杖)을 짚은 사문 모습의 형상이 생기고, 또 그 뒤에는 동자를 안은 지장·육지장(六地藏)·승군지장(勝軍地藏) 등의 형상이 생김.
주011)
고:기본형은 ‘다’. 만들다. 만들고.
주012)
향(香)ㄱ:여기에 보이는 ‘ㄱ’의 정체는 분명하지 않다. 용비어천가와 훈민정음언해에서 사이시옷 대신에 ‘ㄱ’ 등이 쓰이기도 하였으나 지금 이 자리는 사이시옷이 올 자리도 아니기 때문이다. 훈민정음의 모든 문자는 그 음가대로 사용되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 원칙에 대한 유일한 예외가 소위 “사이시옷”으로 사용되었던 ‘ㅅ’이었다. 속격 어미로서 그 음운론적 특징은 선행어의 말음을 내파화하고 후행어의 두음을 된소리화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용비어천가와 훈민정음언해에서는 주로 한자어의 경우이기는 하나 선행어의 말음이 불청불탁자인 경우 그것과 같은 위치(牙, 舌, 唇, 喉)의 전청자로써 사이시옷의 자리를 표기하였다. 이를 테면 ‘穰ㄱ字, 君군ㄷ字, 侵침ㅂ字, 慈ㆆ字’ 등에 보이는 ‘ㄱ ㄷ ㅂ ㆆ’이 그것이다.
주013)
퓌우고:무량굴판에는 ‘픠우고’로 표기되어 있다.
주014)
공양(供養):공경하는 마음으로 삼보(三寶)·사장(師長)·조상 등에게 향화(香華)·등명(燈明)·음식·재물 등을 바치는 일.
주015)
보:보++아. 뵈어.
주016)
찬탄(讚歎):어떠한 대상(對象)을 대단하다고 여겨 감탄(感歎)함.
주017)
이익(利益):물질적으로나 정신적으로 보탬이 되는 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