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②-7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②-7


[지장경 ②-7]
다가 주001)
다가:
‘만약’의 옛말.
다시  주002)
:
기본형은 ‘다’. ‘밟다’의 옛말. 밟아.
 주003)
:
아직. 오히려.
迷惑야 아 주004)
아:
‘아’는 ‘예전’의 옛말. 예전에.
드렛던 險道 아디 몯야 시혹 목수믈 일흐면 惡趣 주005)
악취(惡趣):
① 악도 -악업(惡業)을 지어서 죽은 뒤에 가야 하는 괴로움의 세계.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 수라도의 네 가지가 있다. 아파야가저·악처·악취.
주006)
예:
‘예’는 처격조사. 중세국어의 처격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세국어의 모음조화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과 조사나 어미의 경우에 그것의 적용에 차이를 보인다.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에서는 모음조화의 일반적인 규칙인 양모음이나 음모음 끼리의 조화가 그대로 적용되었지만, 조사나 어미에는 특수한 제약 규칙이 적용되었다.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는 모음조화의 일반 규칙을 따랐지만, 자음으로 시작된 것들은 모음조화의 일반 규칙에 따르지 않았던 것이다. 이를 테면 부동사 어미 ‘-고’, ‘-긔’는 어간의 모음이 양모음이거나 음모음이거나 모음들 사이의 조화를 보이지 않는다.
러딘 衆生 地藏菩薩方便力 주007)
방편력(方便力):
방편의 힘. ① 그때그때의 경우에 따라 편하고 쉽게 이용하는 수단과 방법. ② 십바라밀(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열 가지 덕목.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방편, 원바라밀, 역바라밀, 지바라밀을 이른다.)의 하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쓰는 묘한 수단과 방법이다.
으로 벗게 야 人天 주008)
인천(人天):
인간계와 천상계의 중생.
中에 나게 야 주009)
야:
하거늘. 어미 ‘-야’은 ‘다’의 어간이나 끝음절의 모음이 ‘ㅣ’인 어간 뒤에 붙어 ‘-거늘’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즉재 주010)
즉재:
곧. 즉시.
도로 주011)
도로:
① 향하던 쪽에서 되돌아서. ② 먼저와 다름없이. 또는 본래의 상태대로.

월인석보 21 하:121ㄱ

시 드니 다가 業 조미 주012)
조미:
기본형은 ‘다’. ‘맺다’의 옛말. 맺음이.
重면 地獄 주013)
지옥(地獄):
죄업을 짓고 매우 심한 괴로움의 세계에 난 중생이나 그런 중생의 세계. 또는 그런 생존. 섬부주의 땅 밑, 철위산의 바깥 변두리 어두운 곳에 있다고 한다. 팔대 지옥, 팔한 지옥 따위의 136종이 있다. 나락(奈落)·나락가·음사(陰司)·이리(泥犁).
애 기리 이셔 버서 時節 주014)
시절(時節):
① 일정한 시기나 때. ② 계절(季節). ③ 철에 따르는 날씨. ④ 세상의 형편.
이 업스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②-7]
만일 다시 밟아 오히려 미혹하여 전에 들었던 험도인 줄 알지 못하여 혹시 목숨을 잃으면 악취에 떨어진 중생을 지장보살이 방편력으로 벗어나게 하여 인천 사이에 나게 하거늘 즉시 도로 다시 들듯 하니 만일 업을 맺음이 무거우면 지옥에 오래 있어 벗어날 시절이 없을 것이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가:‘만약’의 옛말.
주002)
:기본형은 ‘다’. ‘밟다’의 옛말. 밟아.
주003)
:아직. 오히려.
주004)
아:‘아’는 ‘예전’의 옛말. 예전에.
주005)
악취(惡趣):① 악도 -악업(惡業)을 지어서 죽은 뒤에 가야 하는 괴로움의 세계. 지옥도, 아귀도, 축생도, 수라도의 네 가지가 있다. 아파야가저·악처·악취.
주006)
예:‘예’는 처격조사. 중세국어의 처격조사 ‘-애’는 모음조화 규칙에 따라 양모음 어간 뒤에서는 ‘-애’, 음모음 어간 뒤에서는 ‘-에’, i나 y 뒤에서는 ‘-예’로 나타났다. 하지만 중세국어의 모음조화는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과 조사나 어미의 경우에 그것의 적용에 차이를 보인다. 체언이나 용언의 어간에서는 모음조화의 일반적인 규칙인 양모음이나 음모음 끼리의 조화가 그대로 적용되었지만, 조사나 어미에는 특수한 제약 규칙이 적용되었다. 모음으로 시작된 조사나 어미는 모음조화의 일반 규칙을 따랐지만, 자음으로 시작된 것들은 모음조화의 일반 규칙에 따르지 않았던 것이다. 이를 테면 부동사 어미 ‘-고’, ‘-긔’는 어간의 모음이 양모음이거나 음모음이거나 모음들 사이의 조화를 보이지 않는다.
주007)
방편력(方便力):방편의 힘. ① 그때그때의 경우에 따라 편하고 쉽게 이용하는 수단과 방법. ② 십바라밀(보살이 열반에 이르기 위해 실천해야 할 열 가지 덕목. 보시, 지계, 인욕, 정진, 선정, 지혜, 방편, 원바라밀, 역바라밀, 지바라밀을 이른다.)의 하나. 중생을 구제하기 위하여 쓰는 묘한 수단과 방법이다.
주008)
인천(人天):인간계와 천상계의 중생.
주009)
야:하거늘. 어미 ‘-야’은 ‘다’의 어간이나 끝음절의 모음이 ‘ㅣ’인 어간 뒤에 붙어 ‘-거늘’ 정도의 의미를 갖는다.
주010)
즉재:곧. 즉시.
주011)
도로:① 향하던 쪽에서 되돌아서. ② 먼저와 다름없이. 또는 본래의 상태대로.
주012)
조미:기본형은 ‘다’. ‘맺다’의 옛말. 맺음이.
주013)
지옥(地獄):죄업을 짓고 매우 심한 괴로움의 세계에 난 중생이나 그런 중생의 세계. 또는 그런 생존. 섬부주의 땅 밑, 철위산의 바깥 변두리 어두운 곳에 있다고 한다. 팔대 지옥, 팔한 지옥 따위의 136종이 있다. 나락(奈落)·나락가·음사(陰司)·이리(泥犁).
주014)
시절(時節):① 일정한 시기나 때. ② 계절(季節). ③ 철에 따르는 날씨. ④ 세상의 형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