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3
메뉴닫기 메뉴열기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3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3]
그제 如來 有相 주001)
유상(有相):
① 형상이나 모습이 있음. ② 인연으로 인하여 생멸하는 모든 일.
三昧 주002)
삼매(三昧):
불교 수행의 한 방법으로 심일경성(心一境性)이라 하여,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정신력. 삼마지(三摩地)·삼마제(三摩提)·삼매지(三昧地) 등과 같이 산스크리트 사마디의 음역이다. 마음을 한곳에 모아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정(定)으로, 또 마음을 평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등지(等持), 또 정수(正受)·정심행처(正心行處) 등으로 의역한다.
예 드르시니 三昧力으로 그 주003)
금(琴):
아악기에 속하는 현악기의 하나. 현의 수에 따라 일현금·삼현금·오현금·칠현금·구현금 등으로 이름이 붙여진다. 줄을 괴는 기러기발이 없어 그 소리가 맑으나 미약하다.
ㅅ 소리 三千大千世界예 들이게 시니 그 소리 苦空 無常 不淨 無我 초 주004)
초:
‘갖추’의 옛말. 고루 있는 대로.
불어 니르니 放逸 주005)
방일(放逸):
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놂.
衆生이【放 노씨오 逸 便安씨니 제 便安 야

월인석보 21 하:208ㄱ

로  주006)
:
‘마음껏’의 옛말.
펴 노하 조심 아니씨라】
이 微妙 소리 듣고 초 불어 닐오 如來 恩惠 아샤 恩惠 가샤 無量 阿僧祇劫에 父母 孝養시닷다 고 一切 衆生이 다 소리조차 閻浮提 주007)
염부제(閻浮提):
수미산 남쪽에 있다고 하는 땅. 북쪽은 넓고 남쪽은 좁은 세모꼴인데, 염부나무가 무성하며, 오직 이 땅에서만 부처가 출현한다고 한다. 뒤에는 인간 세계 또는 현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 되었다. 남섬부주·남염부제·남염부주·염부(閻浮)·염부주·첨부(瞻部).
예 와 부텨 머리 조 禮數

월인석보 21 하:208ㄴ

고 녀긔 안니 그 大衆이 如來울워 주008)
울워:
기본형은 ‘울월다’. 울월++아. ‘우러르다’의 옛말. 우러러.
누늘 다  아니 가져갯더니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3]
그때에 여래가 유상 삼매에 들으시니 삼매력으로 그 악기의 소리가 삼천대천세계에 들리게 하시니 소리 고공 무상 부정 무아를 갖추어 불러 이르니 방일한 중생이【방은 놓는 것이고, 일은 편안한 것이니 제 스스로 편안할 양으로 마음껏 펴 놓아 조심 아니할 것이다.】 이 미묘한 소리 듣고 갖추어 불러 이르되, 여래 은혜를 아셔 은혜를 갚으시어 무량 아승기겁에 부모 효양하시는구나 하고, 모든 중생이 다 소리를 좇아 염부제에 와서 부처께 머리를 조아리며 예수하고 한쪽에 앉으니 그때 대승이 여래를 우러러 눈을 다른 데 아니 가져갔더니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유상(有相):① 형상이나 모습이 있음. ② 인연으로 인하여 생멸하는 모든 일.
주002)
삼매(三昧):불교 수행의 한 방법으로 심일경성(心一境性)이라 하여, 마음을 하나의 대상에 집중하는 정신력. 삼마지(三摩地)·삼마제(三摩提)·삼매지(三昧地) 등과 같이 산스크리트 사마디의 음역이다. 마음을 한곳에 모아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정(定)으로, 또 마음을 평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등지(等持), 또 정수(正受)·정심행처(正心行處) 등으로 의역한다.
주003)
금(琴):아악기에 속하는 현악기의 하나. 현의 수에 따라 일현금·삼현금·오현금·칠현금·구현금 등으로 이름이 붙여진다. 줄을 괴는 기러기발이 없어 그 소리가 맑으나 미약하다.
주004)
초:‘갖추’의 옛말. 고루 있는 대로.
주005)
방일(放逸):제멋대로 거리낌 없이 방탕하게 놂.
주006)
:‘마음껏’의 옛말.
주007)
염부제(閻浮提):수미산 남쪽에 있다고 하는 땅. 북쪽은 넓고 남쪽은 좁은 세모꼴인데, 염부나무가 무성하며, 오직 이 땅에서만 부처가 출현한다고 한다. 뒤에는 인간 세계 또는 현세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 되었다. 남섬부주·남염부제·남염부주·염부(閻浮)·염부주·첨부(瞻部).
주008)
울워:기본형은 ‘울월다’. 울월++아. ‘우러르다’의 옛말. 우러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