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⑧-3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⑧-3


[지장경 ⑧-3]
부톄 地藏菩薩려 니샤 南閻浮提 주001)
남염부제(南閻浮提):
사주(四洲)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남섬부주·섬부주(贍部洲)·남염부주·섬부(贍部)·염부(閻浮)·염부제(閻浮提)·염부주·첨부(瞻部).
예 諸國王 宰輔 주002)
재보(宰輔):
① 재상(宰相). ② 주재(主宰)하는 이를 도움.
大臣 주003)
대신(大臣):
의정(議政)의 통칭(通稱). 조선 시대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의 총칭. 정승(政丞). 정신(鼎臣). 조선 고종(高宗) 31년(1894) 갑오경장 이후 궁내부·의정부와 내부(內部) 아문 등 8아문, 그리고 내각(內閣)의 7부의 장관. 아형(阿衡). 의정(議政). 군주 국가에서의 ‘장관’의 칭호.
大長者 주004)
장자(長者):
실례슬타·의력하발저라 음역. 인도에서 좋은 집안에 나서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갖춘 사람을 가리키는 말. 수달장자·월개장자 등이 있음.
大刹利 주005)
찰리(刹利):
인도 4성(姓)의 하나. 토지의 주인[土田主]이라 번역. 전쟁에 종사. 관리가 되어 나라를 다스리는 종족. 또는 왕이 될 수 있으므로 왕족이라고도 함. 찰제리(刹帝利).

월인석보 21 하:139ㄴ

婆羅門 주006)
바라문[婆羅門]:
‘브라만(Brahman)’의 음역어. 인도 4성(姓)의 하나. 정행(淨行)·정지(淨志)·정예(淨裔)·범지(梵志)라 번역. 인도 4성의 최고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 승려의 계급. 바라문교의 전권(專權)을 장악하여 임금보다 윗자리에 있으며, 신(神)의 후예라 자칭하며, 정권의 배심(陪審)을 한다. 사실상의 신의 대표자로서 권위를 떨친다. 만일 이것을 침해하는 이는 신을 침해하는 것과 같다고 하며, 그들의 생활에는 범행(梵行)·가주(家住)·임서(林棲)·유행(遊行)의 네 시기가 있어, 어렸을 때는 부모 밑에 있다가 좀 자라면 집을 떠나 스승을 모시고 베타[吠陀]를 학습, 장년에 이르면 다시 집에 돌아와 결혼하여 살다가, 늙으면 집안 살림을 아들에게 맡기고 산숲에 들어가 고행 수도한 뒤에 나와 사방으로 다니면서 세상의 모든 일을 초탈하여 남들이 주는 시물(施物)로써 생활한다.
等이 주007)
:
가장. 맨.
가 주008)
가:
기본형은 ‘갑다’. ‘낮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나 ‘가오-’로 나타난다. 낮은.
貧窮 주009)
빈궁(貧窮):
가난하고 궁색함.
 사미어나 癃殘며 입 버우며 귀 머그며 눈 멀며 이티 種種 주010)
종종(種種):
① 모양이나 성질이 다른 여러 가지. ② 가끔.
디 주011)
디:
기본형은 ‘다’. 구비하다. 팔종성가족용이 적용되어 ‘다’의 어간이 ‘ㅅ’으로 표기되었다. 가지지.
몯 사 맛나 이 大國王 等이 布施코져  제 能히 큰 慈悲 주012)
자비(慈悲):
불교에서 중생에게 행복을 베풀며, 고뇌를 제거해 주는 것을 가리키는 말.
자  기 주013)
기:
‘나직이’의 옛말.
야 우 머거 손 다 布施

월인석보 21 하:140ㄱ

커나 사 야 주거나 보라 말로 慰勞 주014)
위로(慰勞):
고달픔을 풀도록 따뜻하게 대(對)하여 줌, 괴로움이나 슬픔을 잊게 함.
야 알외면 주015)
알외면:
기본형은 ‘알외다’. 알리다. 효유하다. 아뢰다. 알리면.
이 國王 等의 어둔 福利 주016)
복리(福利):
행복(幸福)과 이익(利益).
百恒河沙 佛 布施혼 功德利 주017)
공덕리(功德利):
이로울 큰 공덕.
리니 엇뎨어뇨 란 이 國王 等이  艱難 주018)
간난(艱難):
괴롭고 고생(苦生)스러움.
 가 사과 디 몯 사게 큰 慈悲心 주019)
자비심(慈悲心):
① 사랑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 ② 중생(衆生)에게 자비를 베푸는 마음.

월인석보 21 하:140ㄴ

주020)
발(發):
쏘다. 일어나다.
 福利 이 報ㅣ 이셔 百千生中에 녜 七寶 주021)
칠보(七寶):
① 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은·유리·파리·마노·거거·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은·마노·유리·거거·진주·매괴를 이른다. 칠진(七珍). ② 전륜성왕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보배. 윤보, 상보(象寶), 마보(馬寶), 여의주보, 여보(女寶), 장보(將寶), 주장신보를 이른다.
리니 주022)
리니:
갖추어지리니.
며 衣食 주023)
의식(衣食):
의복(衣服)과 음식(飮食). 옷밥.
受用 주024)
수용(受用):
받아씀.
호미녀 주025)
-녀:
‘이다’의 어간 뒤에 붙어, -이랴.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⑧-3]
부처지장보살더러 이르시되 남염부제에 여러 국왕 재보 대신 대장자 대찰리 대바라문 등이 가장 낮은 빈궁한 사람이거나 융잔하며 입 다물며 귀 먹으며 눈 멀며 이같이 가지가지 가지지 못한 사람을 만나 이 대국왕들이 보시하고자 할 때 능히 큰 자비를 가져 마음을 나직이 하여 웃음 머금어 손수 모두 보시하거나 사람으로 하여금 주거나 부드러운 말로 위로하여 알리면 이 국왕들의 얻은 복리가 백항하사 불께 보시한 공덕리 같을 것이니 어째서냐 하면 이 국왕 등이 가장 가난한 낮은 사람과 가지지 못한 사람에게 큰 자비심을 발하기에 복리와 이 같은 보가 있어 백천생 중에 늘 칠보가 갖추어지리니 하물며 의식을 수용함이랴.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남염부제(南閻浮提):사주(四洲)의 하나. 수미산 남쪽에 있다는 대륙으로, 인간들이 사는 곳이며, 여러 부처가 나타나는 곳은 사주(四洲) 가운데 이곳뿐이라고 한다. 남섬부주·섬부주(贍部洲)·남염부주·섬부(贍部)·염부(閻浮)·염부제(閻浮提)·염부주·첨부(瞻部).
주002)
재보(宰輔):① 재상(宰相). ② 주재(主宰)하는 이를 도움.
주003)
대신(大臣):의정(議政)의 통칭(通稱). 조선 시대 영의정·좌의정·우의정의 총칭. 정승(政丞). 정신(鼎臣). 조선 고종(高宗) 31년(1894) 갑오경장 이후 궁내부·의정부와 내부(內部) 아문 등 8아문, 그리고 내각(內閣)의 7부의 장관. 아형(阿衡). 의정(議政). 군주 국가에서의 ‘장관’의 칭호.
주004)
장자(長者):실례슬타·의력하발저라 음역. 인도에서 좋은 집안에 나서 많은 재산을 가지고 덕을 갖춘 사람을 가리키는 말. 수달장자·월개장자 등이 있음.
주005)
찰리(刹利):인도 4성(姓)의 하나. 토지의 주인[土田主]이라 번역. 전쟁에 종사. 관리가 되어 나라를 다스리는 종족. 또는 왕이 될 수 있으므로 왕족이라고도 함. 찰제리(刹帝利).
주006)
바라문[婆羅門]:‘브라만(Brahman)’의 음역어. 인도 4성(姓)의 하나. 정행(淨行)·정지(淨志)·정예(淨裔)·범지(梵志)라 번역. 인도 4성의 최고 지위에 있는 종족으로 승려의 계급. 바라문교의 전권(專權)을 장악하여 임금보다 윗자리에 있으며, 신(神)의 후예라 자칭하며, 정권의 배심(陪審)을 한다. 사실상의 신의 대표자로서 권위를 떨친다. 만일 이것을 침해하는 이는 신을 침해하는 것과 같다고 하며, 그들의 생활에는 범행(梵行)·가주(家住)·임서(林棲)·유행(遊行)의 네 시기가 있어, 어렸을 때는 부모 밑에 있다가 좀 자라면 집을 떠나 스승을 모시고 베타[吠陀]를 학습, 장년에 이르면 다시 집에 돌아와 결혼하여 살다가, 늙으면 집안 살림을 아들에게 맡기고 산숲에 들어가 고행 수도한 뒤에 나와 사방으로 다니면서 세상의 모든 일을 초탈하여 남들이 주는 시물(施物)로써 생활한다.
주007)
:가장. 맨.
주008)
가:기본형은 ‘갑다’. ‘낮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이나 ‘가오-’로 나타난다. 낮은.
주009)
빈궁(貧窮):가난하고 궁색함.
주010)
종종(種種):① 모양이나 성질이 다른 여러 가지. ② 가끔.
주011)
디:기본형은 ‘다’. 구비하다. 팔종성가족용이 적용되어 ‘다’의 어간이 ‘ㅅ’으로 표기되었다. 가지지.
주012)
자비(慈悲):불교에서 중생에게 행복을 베풀며, 고뇌를 제거해 주는 것을 가리키는 말.
주013)
기:‘나직이’의 옛말.
주014)
위로(慰勞):고달픔을 풀도록 따뜻하게 대(對)하여 줌, 괴로움이나 슬픔을 잊게 함.
주015)
알외면:기본형은 ‘알외다’. 알리다. 효유하다. 아뢰다. 알리면.
주016)
복리(福利):행복(幸福)과 이익(利益).
주017)
공덕리(功德利):이로울 큰 공덕.
주018)
간난(艱難):괴롭고 고생(苦生)스러움.
주019)
자비심(慈悲心):① 사랑하고 가엽게 여기는 마음 ② 중생(衆生)에게 자비를 베푸는 마음.
주020)
발(發):쏘다. 일어나다.
주021)
칠보(七寶):① 일곱 가지 주요 보배. 무량수경에서는 금·은·유리·파리·마노·거거·산호를 이르며, 법화경에서는 금·은·마노·유리·거거·진주·매괴를 이른다. 칠진(七珍). ② 전륜성왕이 가지고 있는 일곱 가지 보배. 윤보, 상보(象寶), 마보(馬寶), 여의주보, 여보(女寶), 장보(將寶), 주장신보를 이른다.
주022)
리니:갖추어지리니.
주023)
의식(衣食):의복(衣服)과 음식(飮食). 옷밥.
주024)
수용(受用):받아씀.
주025)
-녀:‘이다’의 어간 뒤에 붙어, -이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