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6
메뉴닫기 메뉴열기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6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6]
그 如來 주001)
여래(如來):
석가모니(釋迦牟尼)를 성스럽게 일컫는 말.
三昧 주002)
삼매(三昧):
불교(佛敎)에서 마음을 한 가지 일에 집중(集中)시키는 일심불란(一心不亂)의 경지(境地)나 사물(事物)에 열중(熱中)함을 이르는 말.
로셔 나거시 忉利天王天衣 주003)
천의(天衣):
궐수라(厥修羅)라 음역. 비구니가 입는 통치마. 둥구미 비슷하게 만든 옷.
師子座 주004)
사자좌(師子座):
부처님이 앉으시는 상좌(牀座). 부처님은 인간에게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분이므로 사자에 비유. 혹 설법할 때 쓰는 높고 큰 상을 말함.
 주005)
:
++거. 깔거늘.

월인석보 21 하:210ㄴ

즉재 올아 結加趺坐 주006)
결가부좌(結加趺坐):
앉는 법의 한 가지. 먼저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음.
시니 須彌山王이 大海예 잇 시더니 그 彌勒菩薩이 모  疑心 보며 걔도 주007)
걔도:
갸+도. ‘갸’는 3인칭 대명사 ‘자기(自己)’의 높임말. 중국어의 ‘自家’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갸’는 여기에서와 같이 ‘걔’로도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는 궁중어로만 쓰이다가 사라진 어휘이다. 현대국어에서는 ‘당신’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당신도.
모샤 즉재 座애셔 니러 부텻 알 나 드르샤 머리 조 禮數고 合掌야 샤

월인석보 21 하:211ㄱ

世尊하 엇던 因緣으로 이 寶塔 주008)
보탑(寶塔):
① 귀(貴)한 보배로 장식(裝飾)한 탑. ② 미술적(美術的) 가치(價値)가 많은 탑. ③ 절에 있는 탑의 높임말. ④ 다보 여래(如來)를 안치(安置)한 탑.
이 해셔 소사나니고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칠보탑이 땅에서 솟아 나옴 6]
그때 여래가 삼매에서 나시거늘 도리천왕이 천의로 사자좌에 깔거늘 여래 즉시 올라 결가부좌하시니 수미산왕이 대해에 있는 듯하시더니, 그때 미륵보살이 모든 마음의 의심을 보며 당신도 모르시어 즉시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의 앞에 나가 들으시어 머리 조아려 예수하고 합장하여 아뢰시되, 세존이시여! 어떤 인연으로 이 보탑이 땅에서 솟아났습니까?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래(如來):석가모니(釋迦牟尼)를 성스럽게 일컫는 말.
주002)
삼매(三昧):불교(佛敎)에서 마음을 한 가지 일에 집중(集中)시키는 일심불란(一心不亂)의 경지(境地)나 사물(事物)에 열중(熱中)함을 이르는 말.
주003)
천의(天衣):궐수라(厥修羅)라 음역. 비구니가 입는 통치마. 둥구미 비슷하게 만든 옷.
주004)
사자좌(師子座):부처님이 앉으시는 상좌(牀座). 부처님은 인간에게 가장 높은 지위에 있는 분이므로 사자에 비유. 혹 설법할 때 쓰는 높고 큰 상을 말함.
주005)
:++거. 깔거늘.
주006)
결가부좌(結加趺坐):앉는 법의 한 가지. 먼저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앉음.
주007)
걔도:갸+도. ‘갸’는 3인칭 대명사 ‘자기(自己)’의 높임말. 중국어의 ‘自家’에서 온 것으로 보인다. ‘갸’는 여기에서와 같이 ‘걔’로도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는 궁중어로만 쓰이다가 사라진 어휘이다. 현대국어에서는 ‘당신’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당신도.
주008)
보탑(寶塔):① 귀(貴)한 보배로 장식(裝飾)한 탑. ② 미술적(美術的) 가치(價値)가 많은 탑. ③ 절에 있는 탑의 높임말. ④ 다보 여래(如來)를 안치(安置)한 탑.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