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⑦-3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⑦-3


[지장경 ⑦-3]
 過去 不可說 주001)
불가설(不可說):
참된 이치는 체득할 수 있을 뿐, 말로는 설명할 수 없음. 말로 이야기할 수 없다는 뜻. 또 대수(大數)의 이름.
不可說 阿僧祇劫 주002)
아승기겁(阿僧祇劫):
끝이 없는 시간. 무량겁(無量劫). 아승기(阿僧祇)는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을 뜻한다. 승기(僧祇)·아증기·아승기야라고도 한다. 달리 항하사(恒河沙)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⁵⁶을 이른다. 예전에는 항하사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¹⁰⁴을 뜻하기도 하였다.
부톄 世間애 냇더시니 號ㅣ 師子吼 주003)
사자후(師子吼):
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如來
러시니 다가 男子 女人이 이 부텻 일훔 듣고  念을 歸依 주004)
귀의(歸依):
부처와 불법(佛法)과 승가(僧伽)로 돌아가 의지하여 구원을 청함. 불교 신앙의 근본이 되는 신조이다.
면

월인석보 21 하:133ㄱ

이 사미 無量諸佛 주005)
무량제불(無量諸佛):
한량없이 많은 여러 부처님들.
맛나 주006)
맛나:
기본형은 ‘만나다’. 맛나++아. 만나.
머리 녀 授記시리다  過去에 부톄 世間애 냇더시니 號ㅣ 拘留孫佛 주007)
구류손불(拘留孫佛):
구루손(拘樓孫)·구루진(拘樓秦)·가라구타(迦羅鳩馱)·가라가손제(迦羅迦孫提)·가라구촌타(迦羅鳩忖馱)·가라구손타(迦羅鳩飡陀)·구손나(拘孫那). 번역하여 성취미묘(成就美妙)·정결(頂結)·소응단이단(所應斷已斷). 과거 7불(佛)의 하나. 현겁(賢劫) 천불(千佛)의 하나. 바라문종족, 성은 가섭(迦葉). 아버지는 예득(禮得), 어머니는 선지(善枝). 인수(人壽) 4만세 때에 안화성(安和城)에 나서 시리수(尸利樹) 아래서 성불. 제1회 설법에 4만의 비구를 교화하였다.
이러시니 다가 男子 女人이 이 부텻 일훔 듣고 至極 로 라 저거나 주008)
저거나:
기본형은 ‘저다’. ‘저쑵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저-’으로 나타난다. 신이나 부처에게 절하다. 절하거나.
시혹 주009)
시혹:
‘혹시’의 옛말.
 讚歎

월인석보 21 하:133ㄴ

면 이 사미 賢劫 주010)
현겁(賢劫):
발타겁(跋陀劫)·파타겁(波陀劫)이라 음역하고, 현시분(賢時分)·선시분(善時分)이라 번역. 3겁의 하나. 세계는 인수(人壽) 8만 4천세 때부터 백년을 지낼 때마다 1세씩을 줄어들어 인수 10세에 이르고, 여기서 다시 백년마다 1세씩 늘어나서 인수 8만 4천세에 이르며, 이렇게 1증(增) 1감(減)하는 것을 20회 되풀이하는 동안, 곧 20증감(增減) 하는 동안에 세계가 성립되고[成], 다음 20증감하는 동안에 머물러[住] 있고, 다음 20증감하는 동안에 무너지고[壞], 다음 20증감하는 동안은 텅 비어[空] 있다. 이렇게 세계는 성(成)·주(住)·괴(壞)·공(空)을 되풀이하니, 이 성·주·괴·공의 4기(期)를 대겁(大劫)이라 함. 과거의 대겁을 장엄겁(莊嚴劫), 현재의 대겁을 현겁(賢劫), 미래의 대겁을 성수겁(星宿劫). 현겁의 주겁(住劫) 때에는 구류손불(拘留孫佛)·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가섭불(迦葉佛)·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등의 1천 부처님이 출현하여 세상 중생을 구제하는데 이렇게 많은 부처님이 출현하는 시기이므로 현겁이라 이름.
千佛 주011)
천불(千佛):
① 현겁에 나타나는 일천 부처. ② 장엄겁, 성수겁, 현겁의 삼겁에 각각 나타나는 일천 부처.
會中에 大梵王 주012)
대범왕(大梵王):
대범천왕. 범왕(梵王). 색계 초선천 중의 화려한 고루 거각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차지한 천왕. 키는 1유순. 반. 수명은 1겁 반이라 한다.
이 외야 上記 심기샤 주013)
심기샤:
심기+시+옴+. 기본형은 ‘심기다’. 주다. 전하다. 전하심을.
得리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⑦-3]
또 과거의 불가설 불가설 아승기겁에 부처가 세간에 나시더니 호가 사자후여래시더니 만일 남자와 여인이 이 부처의 이름을 듣고 한 생각을 귀의하면 이 사람이 무량제불을 만나 머리 만져 수기하실 것입니다. 또 과거에 부처가 세간에 나셨더니, 호가 구류손불이시더니, 만일 남자 여인이 이 부처의 이름을 듣고 지극한 마음으로 바라보고 절을 하거나 혹시 또 찬탄하면, 이 사람이 현겁 천불 회중에 대범왕이 되어 상기를 전하심을 얻을 것입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불가설(不可說):참된 이치는 체득할 수 있을 뿐, 말로는 설명할 수 없음. 말로 이야기할 수 없다는 뜻. 또 대수(大數)의 이름.
주002)
아승기겁(阿僧祇劫):끝이 없는 시간. 무량겁(無量劫). 아승기(阿僧祇)는 표현할 수 없는 가장 많은 수 또는 그런 시간을 뜻한다. 승기(僧祇)·아증기·아승기야라고도 한다. 달리 항하사(恒河沙)의 만 배가 되는 수. 또는 그런 수의. 즉 10⁵⁶을 이른다. 예전에는 항하사의 억 배가 되는 수를 이르던 말, 즉 10¹⁰⁴을 뜻하기도 하였다.
주003)
사자후(師子吼):부처의 위엄 있는 설법을, 사자의 울부짖음에 모든 짐승이 두려워하여 굴복하는 것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주004)
귀의(歸依):부처와 불법(佛法)과 승가(僧伽)로 돌아가 의지하여 구원을 청함. 불교 신앙의 근본이 되는 신조이다.
주005)
무량제불(無量諸佛):한량없이 많은 여러 부처님들.
주006)
맛나:기본형은 ‘만나다’. 맛나++아. 만나.
주007)
구류손불(拘留孫佛):구루손(拘樓孫)·구루진(拘樓秦)·가라구타(迦羅鳩馱)·가라가손제(迦羅迦孫提)·가라구촌타(迦羅鳩忖馱)·가라구손타(迦羅鳩飡陀)·구손나(拘孫那). 번역하여 성취미묘(成就美妙)·정결(頂結)·소응단이단(所應斷已斷). 과거 7불(佛)의 하나. 현겁(賢劫) 천불(千佛)의 하나. 바라문종족, 성은 가섭(迦葉). 아버지는 예득(禮得), 어머니는 선지(善枝). 인수(人壽) 4만세 때에 안화성(安和城)에 나서 시리수(尸利樹) 아래서 성불. 제1회 설법에 4만의 비구를 교화하였다.
주008)
저거나:기본형은 ‘저다’. ‘저쑵다’의 옛말.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는 ‘저-’으로 나타난다. 신이나 부처에게 절하다. 절하거나.
주009)
시혹:‘혹시’의 옛말.
주010)
현겁(賢劫):발타겁(跋陀劫)·파타겁(波陀劫)이라 음역하고, 현시분(賢時分)·선시분(善時分)이라 번역. 3겁의 하나. 세계는 인수(人壽) 8만 4천세 때부터 백년을 지낼 때마다 1세씩을 줄어들어 인수 10세에 이르고, 여기서 다시 백년마다 1세씩 늘어나서 인수 8만 4천세에 이르며, 이렇게 1증(增) 1감(減)하는 것을 20회 되풀이하는 동안, 곧 20증감(增減) 하는 동안에 세계가 성립되고[成], 다음 20증감하는 동안에 머물러[住] 있고, 다음 20증감하는 동안에 무너지고[壞], 다음 20증감하는 동안은 텅 비어[空] 있다. 이렇게 세계는 성(成)·주(住)·괴(壞)·공(空)을 되풀이하니, 이 성·주·괴·공의 4기(期)를 대겁(大劫)이라 함. 과거의 대겁을 장엄겁(莊嚴劫), 현재의 대겁을 현겁(賢劫), 미래의 대겁을 성수겁(星宿劫). 현겁의 주겁(住劫) 때에는 구류손불(拘留孫佛)·구나함모니불(拘那含牟尼佛)·가섭불(迦葉佛)·석가모니불(釋迦牟尼佛) 등의 1천 부처님이 출현하여 세상 중생을 구제하는데 이렇게 많은 부처님이 출현하는 시기이므로 현겁이라 이름.
주011)
천불(千佛):① 현겁에 나타나는 일천 부처. ② 장엄겁, 성수겁, 현겁의 삼겁에 각각 나타나는 일천 부처.
주012)
대범왕(大梵王):대범천왕. 범왕(梵王). 색계 초선천 중의 화려한 고루 거각에 있으면서 사바세계를 차지한 천왕. 키는 1유순. 반. 수명은 1겁 반이라 한다.
주013)
심기샤:심기+시+옴+. 기본형은 ‘심기다’. 주다. 전하다. 전하심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