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⑦-7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⑦-7


[지장경 ⑦-7]
이 衆生히 生時 死時예 제 큰 利 得야 乃終내 惡道애 러디디 아니리니 다가 마 命終 주001)
명종(命終):
목숨을 마침. 명(命)이 다하는 것.
 사미 지븻 眷屬 주002)
권속(眷屬):
권고(眷顧)하는 예속(隷屬)이란 뜻. 곧 따라서 친히 예속한 것을 말함. 처자·도제(徒弟)·노복(奴僕) 또는 불·보살을 모시고 수종하는 제존(諸尊) 등을 말한다.
이  사미나

월인석보 21 하:137ㄱ

이 病 사 爲야 된소리 주003)
된소리:
‘큰소리’의 옛말.
로  부텻 일후믈 念면 이 命終 사미 五無間 주004)
오무간(五無間):
아비지옥(阿鼻地獄)을 말함. 아비지옥에는 5종의 무간(無間)이 있으므로 5무간이라 함. ① 취과무간(趣果無間). 이 지옥의 고과(苦果)를 받는 죄업은 순현업(順現業)이나 순생업(順生業)으로 조업(造業)과 수과(受果)의 사이에 결코 다른 생을 격(隔)함이 없는 것. ② 수고무간(受苦無間). 괴로움을 받는 데 간격이 없는 것. ③ 시무간(時無間). 괴로움 받는 시간이 끊임없는 것. ④ 명무간(命無間). 목숨이 항상 계속되어 끊임없는 것. ⑤ 형무간(形無間). 넓이 8만 유순 되는 지옥에 몸이 꽉 차서 조그만 빈틈이 없는 것.
큰 罪 딜오 주005)
딜오:
‘덜오’의 잘못. 덜고. 무량굴판에는 ‘덜오’로 되어 있다.
녀나 業報 주006)
업보(業報):
불교(佛敎)에서, 선악(善惡)의 행업으로 말미암은 과보(果報).
 다 消滅 주007)
소멸(消滅):
사라져 없어지거나, 또는 자취도 남지 않도록 없애 버림.
리니 이 五無間 큰 罪 비록 주008)
비록:
‘-ㄹ지라도’, ‘-지마는’과 같은 어미가 붙는 용언과 함께 쓰여, 아무리 그러하더라도.
至極 주009)
지극(至極):
어떠한 정도(程度)나 상태(狀態) 따위가 극도(極度)에 이르러 더할 나위 없음.
重야 들면 億劫 주010)
억겁(億劫):
셀 수 없이 긴 오랜 동안, 또는 그 세상(世上). 억천만겁.
을 디내야 간도 나디 몯건마 주011)
몯건마:
‘몯건마’에서 ‘’가 탈락한 형태. 어근의 말음이 ‘ㄱ, ㄷ’과 같은 폐쇄음일 경우에는 ‘’의 축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탈락한다. 어미 ‘-건마’은 양보를 나타낸다. 양보를 나타내는 어미로는 ‘-나’, ‘-’가 대표적이었으나, ‘-ㄴ’, ‘-거니와’, ‘-ㄹ뎡’, ‘-ㄹ션뎡’ 등도 양보를 나타내었다. 못 하건마는.
마

월인석보 21 하:137ㄴ

命終 제 미 爲야 부텻 일훔 稱念 주012)
칭념(稱念):
입으로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고 마음으로 아미타불을 생각함.
 다로 이 罪 中에  漸漸 주013)
점점(漸漸):
조금씩 더하거나 덜하여지는 모양(模樣). 점차. 차차. 초초(稍稍).
消滅리니 며 衆生이 제 일며 제 念호미니가 福 어두미 그지업서 그지업슨 罪 주014)
멸(滅):
(1) 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여기에 잠시멸(暫時滅)·구경멸(究竟滅)의 2종이 있다. (2) 멸상(滅相). (3) 멸제(滅諦). (4) 열반(涅槃).
리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⑦-7]
이 중생들이 생시 사시에 스스로 큰 공덕을 얻어 끝끝내 악도에 떨어지지 아니할 것이니 만일 이미 명종할 사람이 집에의 권속이 한 사람이나 이 아픈 사람을 위하여 큰 소리로 한 부처의 이름을 생각하면 이 명종한 사람이 오무간의 큰 죄를 덜고 여남은 업보들은 다 소멸할 것이니 이 오무간 큰 죄가 비록 지극히 중하여 들어가면 억겁을 지내어 잠깐도 나오지 못하건만 장차 명종할 때 남이 위하여 부처의 이름을 칭념한 탓으로 이 죄 중에 또 점점 소멸할 것이니 하물며 중생이 스스로 일컬으며 스스로 생각함이겠습니까? 복을 얻음이 끝이 없어 끝이 없는 죄를 멸할 것입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명종(命終):목숨을 마침. 명(命)이 다하는 것.
주002)
권속(眷屬):권고(眷顧)하는 예속(隷屬)이란 뜻. 곧 따라서 친히 예속한 것을 말함. 처자·도제(徒弟)·노복(奴僕) 또는 불·보살을 모시고 수종하는 제존(諸尊) 등을 말한다.
주003)
된소리:‘큰소리’의 옛말.
주004)
오무간(五無間):아비지옥(阿鼻地獄)을 말함. 아비지옥에는 5종의 무간(無間)이 있으므로 5무간이라 함. ① 취과무간(趣果無間). 이 지옥의 고과(苦果)를 받는 죄업은 순현업(順現業)이나 순생업(順生業)으로 조업(造業)과 수과(受果)의 사이에 결코 다른 생을 격(隔)함이 없는 것. ② 수고무간(受苦無間). 괴로움을 받는 데 간격이 없는 것. ③ 시무간(時無間). 괴로움 받는 시간이 끊임없는 것. ④ 명무간(命無間). 목숨이 항상 계속되어 끊임없는 것. ⑤ 형무간(形無間). 넓이 8만 유순 되는 지옥에 몸이 꽉 차서 조그만 빈틈이 없는 것.
주005)
딜오:‘덜오’의 잘못. 덜고. 무량굴판에는 ‘덜오’로 되어 있다.
주006)
업보(業報):불교(佛敎)에서, 선악(善惡)의 행업으로 말미암은 과보(果報).
주007)
소멸(消滅):사라져 없어지거나, 또는 자취도 남지 않도록 없애 버림.
주008)
비록:‘-ㄹ지라도’, ‘-지마는’과 같은 어미가 붙는 용언과 함께 쓰여, 아무리 그러하더라도.
주009)
지극(至極):어떠한 정도(程度)나 상태(狀態) 따위가 극도(極度)에 이르러 더할 나위 없음.
주010)
억겁(億劫):셀 수 없이 긴 오랜 동안, 또는 그 세상(世上). 억천만겁.
주011)
몯건마:‘몯건마’에서 ‘’가 탈락한 형태. 어근의 말음이 ‘ㄱ, ㄷ’과 같은 폐쇄음일 경우에는 ‘’의 축약이 이루어지지 않고 탈락한다. 어미 ‘-건마’은 양보를 나타낸다. 양보를 나타내는 어미로는 ‘-나’, ‘-’가 대표적이었으나, ‘-ㄴ’, ‘-거니와’, ‘-ㄹ뎡’, ‘-ㄹ션뎡’ 등도 양보를 나타내었다. 못 하건마는.
주012)
칭념(稱念):입으로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고 마음으로 아미타불을 생각함.
주013)
점점(漸漸):조금씩 더하거나 덜하여지는 모양(模樣). 점차. 차차. 초초(稍稍).
주014)
멸(滅):(1) 유위법(有爲法)이 없어지는 것. 여기에 잠시멸(暫時滅)·구경멸(究竟滅)의 2종이 있다. (2) 멸상(滅相). (3) 멸제(滅諦). (4) 열반(涅槃).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