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21(하)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21(하권)
  • 지장경
  • 지장경 ⑨-6
메뉴닫기 메뉴열기

지장경 ⑨-6


[지장경 ⑨-6]
다가 未來世 中에 善男子 善女人

월인석보 21 하:152ㄴ

이 菩薩 供養며 이 經을 닐구 오직 地藏本願經 주001)
지장본원경(地藏本願經):
지장보살본원경은 줄여서 ‘지장경’이라 부르기도 하고 지장신앙의 기본경전이다. 지장보살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중생을 교화하고자 노력하여, 죄를 짓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까지도 평등하게 구제하고자 하는 큰 뜻을 담고 있다.
이브터 주002)
이브터:
이로부터. ‘브터’는 동사 ‘븥-’[附]에서 온 특수조사이다. 중세국어의 특수조사들은 이렇듯 동사에서 기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를 나타낸 특수조사로 동사 ‘두-’[置]의 부동사형인 ‘두고’라든가 ‘이시-’[有]의 부동사형에서 기원한 ‘셔’, ‘더블-’에서 온 ‘더브러’, ‘좇-’[隨]에서 온 ‘조차’와 ‘조초’, ‘조치-’[兼]에서 온 ‘조쳐’ 등이 그들이다. 이러한 특수조사들은 경우에 따라 격조사 ‘을/를, 로’ 등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修行 주003)
수행(修行):
부처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불도를 닦는 데 힘씀. 교법대로 실천 궁행(躬行)함. 처음에 발심하고, 뒤에 과(果)를 받는 것은 실천 수행한 값.
 사미라도 네 本神力으로 擁護야 一切 災害 주004)
재해(災害):
이상적인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인 사고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회적·경제적 피해.
如意티 주005)
여의(如意)티:
여의디. 일이 마음먹은 대로 되다. 여의하지.
몯 이리 귀예 주006)
귀예:
귀+예. 귀에.
들이디 아니케 라 며 受케 호미녀 오직 주007)
네:
너+이. 인칭대명사에서 ‘너’(2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네’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었다. 2인칭 대명사 ‘너’의 성조형은 주격형 ‘네’(상성)와 속격형 ‘네’(평성)로 실현되었다. 여기서는 상성으로 주격형이다.
오 주008)
오:
혼자. 홀로. 용비어천가에는 ‘’의 형태로 나타난다.

월인석보 21 하:153ㄱ

이 사 擁護 미 아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지장경 ⑨-6]
만일 미래세 중에 선남자 선여인이 보살을 공양하며 이 경전을 읽되 다만 지장본원경한 이로부터 수행할 사람이라도 네가 본신력으로 옹호하여 모든 재해와 여의하지 못한 일이 귀에 들리지 않게 하라. 하물며 받게 함이랴. 오직 네가 혼자 이 사람을 옹호할 따름이 아니다.
Ⓒ 역자 | 한재영 / 2010년 11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지장본원경(地藏本願經):지장보살본원경은 줄여서 ‘지장경’이라 부르기도 하고 지장신앙의 기본경전이다. 지장보살이 여러 가지 모습으로 중생을 교화하고자 노력하여, 죄를 짓고 지옥에서 고통받는 중생들까지도 평등하게 구제하고자 하는 큰 뜻을 담고 있다.
주002)
이브터:이로부터. ‘브터’는 동사 ‘븥-’[附]에서 온 특수조사이다. 중세국어의 특수조사들은 이렇듯 동사에서 기원하는 경우가 많았다. 비교를 나타낸 특수조사로 동사 ‘두-’[置]의 부동사형인 ‘두고’라든가 ‘이시-’[有]의 부동사형에서 기원한 ‘셔’, ‘더블-’에서 온 ‘더브러’, ‘좇-’[隨]에서 온 ‘조차’와 ‘조초’, ‘조치-’[兼]에서 온 ‘조쳐’ 등이 그들이다. 이러한 특수조사들은 경우에 따라 격조사 ‘을/를, 로’ 등과 함께 나타나기도 한다.
주003)
수행(修行):부처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불도를 닦는 데 힘씀. 교법대로 실천 궁행(躬行)함. 처음에 발심하고, 뒤에 과(果)를 받는 것은 실천 수행한 값.
주004)
재해(災害):이상적인 자연현상 또는 인위적인 사고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사회적·경제적 피해.
주005)
여의(如意)티:여의디. 일이 마음먹은 대로 되다. 여의하지.
주006)
귀예:귀+예. 귀에.
주007)
네:너+이. 인칭대명사에서 ‘너’(2인칭 단수)는 주격형과 속격형이 ‘네’였으나 성조에 차이가 있었다. 2인칭 대명사 ‘너’의 성조형은 주격형 ‘네’(상성)와 속격형 ‘네’(평성)로 실현되었다. 여기서는 상성으로 주격형이다.
주008)
오:혼자. 홀로. 용비어천가에는 ‘’의 형태로 나타난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