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9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9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1:11ㄴ

今此 託法進修야 以成圓頓觀行이니 卽事理定慧ㅣ 俱無礙也ㅣ니

원각경언해 하2의1:12ㄱ

與論中엣 修習眞如三昧와 體相이 大同小異니 小異者 彼不開爲三也라 今初泯相文이 自

원각경언해 하2의1:12ㄴ

有三니 一은 標本이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1:13ㄴ

이제 이 法법을 브터 나 닷가 圓頓돈 주001)
원돈(圓頓):
모든 것을 빠짐없이 원만하게 갖추어 곧바로 깨달음에 다다름. 각 종파마다 구극(究極)으로 하는 가르침이나 수행을 이른다. 예컨대, 천태종에서는 원돈지관(圓頓止觀)이라 하고, 진종에서는 본원원돈일승(本願圓頓一乘)이라 한다.
觀관行 주002)
관행(觀行):
마음으로 진리를 비추어 보고 그 진리에 따라 실천함. 자기의 본 성품을 밝게 비추어 보는 방법.
 일우니 곧 事와 理링와 定과 慧왜 다

원각경언해 하2의1:14ㄱ

룜 업수미니【이제 이 아랜 正히 權꿘과 小왜 조차 몯호 기시니라 法법을 브투믄 갓 行門몬을 니교 오 圓은 權꿘과 小왓 두 敎 오 頓돈 四禪쎤 八定에 오 事理링 等은  頓돈中엣 理링예 븓들이니와 주003)
븓들이니와:
붙들린 사람과. ‘븓들이-’[局]+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와(조사). 어간 ‘븓들이-’는 어근 ‘븥들-’에 피동접사 ‘이’가 결합한 피동사로 분철하는 것이 원칙. “…에 잡히어 있다”는 뜻. 의존명사 ‘이’를 16세기 전반까지는 형식형태소로 인식했던지 연철(連綴)했으나, 실질형태소는 분철했다. ¶① 佛道求리(월석15:40ㄴ). ② 몸이[敬身](번소8:43ㄱ). ①에서 분석되는 ‘이’는 ‘者’인데 연철, ②는 ‘일’[事]로서 분철하였다.
漸쪔中엣 事애 븓들이닐 니 그럴 뫼화 結야 닐오 다 룜 업수미라】
論론中엣 眞진如 주004)
진여(眞如):
만유 제법의 실상(實相)을 가리키는 말. 만유의 본체로서 있는 그대로의 평등한 진리이자 깨달음 그 자체이며, 모든 법을 갖추고 있는 진실한 모습.
三삼昧 주005)
삼매(三昧):
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흩어짐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불교에서 삼매의 상태가 강조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하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깨달음을 얻기 위함이다.
修習씹홈과 體톙相 주006)
체상(體相):
체(體)는 모든 법 그 자체, 상(相)은 그 본질이 밖으로 나타난 현상(특질).
키 고 주007)
키 고:
크게는 같고[大同]. ‘키’는 ‘크-[大]+이(부사 파생접사)’로 분석되며 파생부사로, ‘킈’는 ‘크-(형용사 어간)+의(명사 파생접사)’로 분석되며 파생명사이다. ¶大集 키 모씨니(석상6:46ㄱ). 킈 쟈(석상24:8ㄱ).
져기 다니 주008)
져기 다니:
조금 다르니[小異]. ‘져기’는 ‘젹-’[小]에 부사 파생접사 ‘이’가 결합한 파생부사. 오늘날과는 달리 ‘小’[작다]와 ‘少’[적다]를 분간하지 않았다. ¶만히 듣고 져기 알(월석14:40ㄴ).
져기 달오 뎌 여러 세헤 디 아니라 이제 처 相 업게  文문이 제 세히 잇니 나 本본 標샤미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제 이것은 법(法)에 의지하여 나아가 닦아 원돈(圓頓) 관행(觀行)을 이루니, 곧 사(事=현상)와 이(理=진실)와 정(定=선정)과 혜(慧=지혜)가 모두 가림[=걸림]이 없는 것이니라.【이제 이 아래는 바르게 권(權=권교)과 소(小=소승)가 좇아 하지 못함을 밝히신 것이다. 법(法)에 의지한다 함은 한갓 행문(行門)을 익히는 것을 가려내고, 원(圓)은 권(權)과 소(小)의 두 가르침을 가려내고, 돈(頓)은 사선(四禪)·팔정(八定)을 가려내고, 사리(事理) 등은 또 돈(頓) 중의 이(理)에 붙들린 사람과 점(漸) 중에 사(事=현상)에 붙들린 사람을 가려내니, 그러므로 모아서 결론지어 모두 걸림이 없다고 말한 것이다.】 논(論) 가운데 있는 진여(眞如)·삼매(三昧)를 수습(修習)함과 체상(體相)은 크게 같고 조금은 다르니, 조금 다른 것은 저것은 열어서 3가지로 만들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지금 처음 상(相)을 없애는 경문이 셋이 있는데, 하나는 근본을 표하신 것이고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원돈(圓頓):모든 것을 빠짐없이 원만하게 갖추어 곧바로 깨달음에 다다름. 각 종파마다 구극(究極)으로 하는 가르침이나 수행을 이른다. 예컨대, 천태종에서는 원돈지관(圓頓止觀)이라 하고, 진종에서는 본원원돈일승(本願圓頓一乘)이라 한다.
주002)
관행(觀行):마음으로 진리를 비추어 보고 그 진리에 따라 실천함. 자기의 본 성품을 밝게 비추어 보는 방법.
주003)
븓들이니와:붙들린 사람과. ‘븓들이-’[局]+ㄴ(관형사형어미)#이(의존명사)+와(조사). 어간 ‘븓들이-’는 어근 ‘븥들-’에 피동접사 ‘이’가 결합한 피동사로 분철하는 것이 원칙. “…에 잡히어 있다”는 뜻. 의존명사 ‘이’를 16세기 전반까지는 형식형태소로 인식했던지 연철(連綴)했으나, 실질형태소는 분철했다. ¶① 佛道求리(월석15:40ㄴ). ② 몸이[敬身](번소8:43ㄱ). ①에서 분석되는 ‘이’는 ‘者’인데 연철, ②는 ‘일’[事]로서 분철하였다.
주004)
진여(眞如):만유 제법의 실상(實相)을 가리키는 말. 만유의 본체로서 있는 그대로의 평등한 진리이자 깨달음 그 자체이며, 모든 법을 갖추고 있는 진실한 모습.
주005)
삼매(三昧):들뜨거나 가라앉은 마음을 모두 떠나 평온한 마음을 견지하는 것. 흩어짐 없이 집중된 마음의 상태. 수행을 통해 얻고자 하는 지혜는 흩어짐 없이 편안하고 고요한 마음 상태에서 비롯되므로, 불교에서 삼매의 상태가 강조된다. 선원(禪院)에서 스님들이 좌선(坐禪)하거나 선정(禪定) 수행을 하는 것도 궁극적으로는 깨달음을 얻기 위함이다.
주006)
체상(體相):체(體)는 모든 법 그 자체, 상(相)은 그 본질이 밖으로 나타난 현상(특질).
주007)
키 고:크게는 같고[大同]. ‘키’는 ‘크-[大]+이(부사 파생접사)’로 분석되며 파생부사로, ‘킈’는 ‘크-(형용사 어간)+의(명사 파생접사)’로 분석되며 파생명사이다. ¶大集 키 모씨니(석상6:46ㄱ). 킈 쟈(석상24:8ㄱ).
주008)
져기 다니:조금 다르니[小異]. ‘져기’는 ‘젹-’[小]에 부사 파생접사 ‘이’가 결합한 파생부사. 오늘날과는 달리 ‘小’[작다]와 ‘少’[적다]를 분간하지 않았다. ¶만히 듣고 져기 알(월석14:40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