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8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8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1:11ㄱ

二 正示觀門이 三이니 一은 泯相澄神觀이오 二 起幻銷塵觀이오 三은 絶待靈心觀이라 然이나 禪觀綱領은 已具懸譚커니와 修習菩提 非此ㅣ면 不證리니

원각경언해 하2의1:11ㄴ

但以敎隨機異야 展轉殊途야 邪正과 凡聖과 大小와 權實와 事理와 漸頓괘 有共不共니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1:12ㄴ

둘흔 觀관門몬 주001)
관문(觀門):
마음이나 부처, 정토 등의 경계를 지혜로써 비추어 보는 것. 이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觀門)’이라고 한다.
을 正히 뵈샤미 세히니 나 相 업게 야 神씬을 기 주002)
기:
맑게 하는. 맑히는. 어간 ‘기-’는 ‘-’[澄]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된 사동사. 사동접사 ‘히’가 결합된 ‘키-, 키-’형이 별행록절요언해(1522)에 나타난다. ¶므를 키며[澄之](82ㄴ). 定과 慧와 키시고[明定慧시고](86ㄴ).
觀관이오【相 업게 호 經에 니샨 身신과 心심과 客塵띤 주003)
객진(客塵):
‘번뇌’를 가리킴. 고정되어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지혜로 인해 사라지는 것이므로 객(客)이라 하고, 마치 먼지와도 같이 미세하고 무수하기 때문에 진(塵)이라고 함.
이 이 브터 永히 滅홈 히오 神씬을 교 靜을 取츙야 念념을 교미라 觀관 미 觀관논 境에 어우러 외야 주004)
외야:
다시[更]. 중세국어 문헌에는 이 밖에도 외(월석4:65ㄱ), 외여(내훈2:66ㄱ), 노외야(두초25:53ㄱ), 노의여(박초, 상37ㄱ) 등도 사용되었다.
다  緣티 아니호미라】
둘흔 幻 니르와다 塵띤을 노기 觀관이오 세흔 기드륨 그츤 靈  觀관이라【기드륨 그츤 靈  眞진과 妄과애 븓디 아니며 有와 空과애 對됭 아니라 바 靈知딩 주005)
영지(靈知):
신령스럽게 아는 것.
 비취요로 觀관行 사니 文문

원각경언해 하2의1:13ㄱ

에 니샤 幻化황 주006)
환화(幻化):
실체가 없는 것이 현재 있는 것처럼 됨. 만물이 환상같이 변하는 일.
와 한 靜 相 取츙티 아니타 시며  니샤 룜과 룜 업슨 境을 건너 디나다 시며  니샤 煩뻔惱와 涅槃빤 주007)
열반(涅槃):
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경지.
이 서르 리디 아니타 시니 다 기드륨 그츤 디라 니샨 知딩覺각 주008)
지각(知覺):
추측하고 사유하여 그릇되게 판단하는 것. 분별하여 아는 것. 생각하는 것.
업슨 明 주009)
명(明):
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지혜.
은 곧 靈 미라】
그러나 禪쎤觀관 주010)
선관(禪觀):
인연으로 생겨난 일체를 관찰하는 방법. 좌선(坐禪) 수행으로써 불법을 깨닫는 방법.
綱領 주011)
강령(綱領):
일이나 행동의 중요한 지침.
은 마 懸譚땀 주012)
현담(懸譚):
현담(懸談)으로도 씀. 정식으로 경(經)의 본문에 들어가기에 앞서 제목이나 지은이, 대의 같은 것을 설명한 글. 또는 그것을 엮은 책.
거니와 주013)
거니와:
갖추어졌거니와. ‘-’[具]에 ‘-거니와’의 통합형. ‘-거니와’는 앞 절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관련된 다른 사실을 이어주는 연결어미. ‘거니와→거니와’ 표기는 8종성가족용법에 따라 ‘’의 ‘ㅈ’을 그와 동일 서열의 ‘ㅅ’으로 표기한 결과임.
菩뽕提똉 修習씹호 이 아니면 證티 몯리니 오직 敎ㅣ 機긩 조차 달아 올며 올마 길히 달아 邪썅正 주014)
사정(邪正):
그릇됨과 올바름. 정사(正邪).
과 凡뻠聖과 大땡小와 權꿘實 주015)
권실(權實):
방편(方便)과 진실(眞實). 유의어로 진가(眞假) 즉 참과 거짓. 또는 권교(權敎)와 실교(實敎).
事理링 주016)
사리(事理):
변화하는 현상과 그 배후에 있는 불변하는 진리.
와 漸쪔頓돈괘 조차 홈과 조차 몯홈괘 잇니【邪썅正等은 이제 한 敎 잡건댄 마 제 差창別이 잇니 다가 뫼화 자면 邪썅定과 正定 주017)
정정(正定):
팔정도의 하나. 번뇌하여 어지러운 생각을 버리고 마음을 안정하는 일.
에 여희디 아니니 正中에  三삼界갱 주018)
삼계(三界):
생사 유전하는 미혹의 세계를 3단계로 구분한 것.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內뇡옛 凡뻠夫붕 禪쎤定 주019)
선정(禪定):
좌선에 의해 몸과 마음이 깊이 통일된 상태. 마음의 평정.
이 이

원각경언해 하2의1:13ㄴ

시며  여희여 나 無뭉漏 주020)
무루(無漏):
번뇌가 없게 된 경지. 부처나 아라한의 깨달음의 지혜는 번뇌를 모두 끊고 있기 때문에 ‘무루’임.
에 가 드 定이 이실 일후미 聖이라 여희여 난 中에 나가  小乘 주021)
소승(小乘):
대승(大乘) 대비되는, 경전에 대한 주석 연구가 중심을 이룬 흐름의 경향. 대승이 발달한 뒤 대승 사상가들이 그들의 사상적 경향과 대비하여 대·소를 구분한 것이다. 현재 소승을 신봉하는 국가에서는 폄하된 명칭이라 하여 상좌부(上座部) 불교라 칭한다.
大땡乘 주022)
대승(大乘):
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와 이상, 목적 등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라 하여 이렇게 말한다. 보다 많은 사람을 구제할 수 있는 이타적(利他的)인 보살도의 실천을 강조한다.
이 이시며 大땡乘中에 나가  權꿘敎 주023)
권교(權敎):
부처님께서 진실을 나타내시기 위한 교법. 중생들의 근기(根機)에 알맞게 방편을 설하여 중생들로 하여금 진실하고 참된 이치(眞理)를 깨닫게 하기 위하여 가설(假說)하신 수단.
의 니시논 禪쎤定과 實敎 주024)
실교(實敎):
석가모니가 세상에 오신 참뜻을 말한 대승(大乘)의 진실한 가르침.
 니시논 禪쎤定이 잇니 慧 잇 定과 慧 업슨 定괘라 實敎中에 나가  理링定과 事定과 頓돈修 주025)
돈수(頓修):
오랜 수행 기간이나 단계를 거치지 아니하고 일시에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을 함.
 定과 漸쪔修 주026)
점수(漸修):
차례와 위계를 거쳐 수행하고 득도하는 일.
 定괘 잇니라 조차 호 四禪쎤 주027)
사선(四禪):
3계(界) 중에서 욕계(欲界)의 번뇌를 모두 벗어나서 색계(色界)에 나게 되는 4단계의 선정. 초선(初禪)·제2선·제3선·제4선 등.
八定 주028)
팔정(八定):
색계(色界)의 4선정(禪定)과 무색계(無色界)의 4공정(空定). 선정(禪定)을 통해 청정하게 된 마음이 점점 더 심화되어가는 과정을 8단계로 나눈 것.
이 凡뻠과 聖과 大땡와 小와 權꿘과 實와 通호미오 조차 몯호   門몬이니 닐오 外道 주029)
외도(外道):
불교 이외의 교학이나 종파를 가리키는 말. 석가모니 당시에 인도에서 성했던 6사(師) 외도 또는 95종의 외도 등이 불전에 거론되고 있다.
ㅣ 佛敎애 조차 몯홈 히오  實敎ㅣ 理링 아라 닷고 二乘이 조차 몯호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둘은 관문(觀門)을 바르게 보이심이 셋이니, 하나는 상(相=모양)을 없게 하여 정신을 맑게 하는 관(觀=관문)이고,【상(相)을 없게 한다는 것은 경(經)에서 이르시는 몸[身]과 마음[心]과 객진(客塵=번뇌)이 이에 의거해 영원히 멸함 같은 것이고, 정신을 맑게 한다는 것은 정(靜=고요함)을 취하여 염(念=생각)을 맑게 한다는 것이다. 관(觀)은 마음이 관찰하는 경지와 어울려 다시 다른 곳에 결과를 맺지 않는 것이다.】 둘은 환(幻)을 일으켜 진(塵=번뇌)을 녹이는 관(觀)이고, 셋은 기다림[待=대상]을 끊은 신령한 마음의 관(觀)이다.【기다림을 끊은 신령한 마음이란 진(眞=진성(眞性))과 망(妄=망념(妄念))에 의지하지 아니하며, 유(有)와 공(空)에 대상이 아니다. 바로 영지(靈知)를 비추는 것으로 관행(觀行)을 삼으니, 경문(經文)에 이르시되 환화(幻化)와 많은 고요한 상(相)을 취하지 아니한다 하시며, 또 이르시길 가림[=막힘/걸림]과 가림이 없는 경계를 건너 지난다 하시며, 또 이르시길 번뇌와 열반이 서로 가리지[=막히지] 아니한다 하시니, 모두 기다림을 끊었다[=절대(絶待)]는 뜻이다. 말씀하신 지각(知覺=분별하여 앎)이 없는 명(明=밝고 바르게 아는 지혜)이 곧 신령한 마음이다.】 그러나 선관(禪觀)의 강령(綱領)은 이미 현담(懸譚)에 갖추어졌거니와 보리(菩提)를 닦고 익힘은 이것이 아니면 증(證=증득(證得))하지 못할 것이니 오직 가르침은 근기(根機)에 따라 다르고, 옮으며 옮아 길이 달라 사정(邪正=그릇됨과 올바름)과 범성(凡聖=범인과 성인)과 대소(大小=대승과 소승)와 권실(權實=방편과 진실)과 사리(事理=현상과 진리)와 점돈(漸頓=차차 깊이 깨달음과 문득 깨달음)이 좇아서 함과 좇아서 하지 못함이 있나니라.【사정(邪正) 등등은 이제 많은 가르침을 잡건댄, 이미 스스로 차별이 있나니 만약 그것을 모아 잡으면 사정(邪定=바르지 못한 선정)과 정정(正定=바른 선정)에서 여의지[=떠나지] 않으니, 정정(正定) 가운데 또 삼계(三界) 안에 범부(凡夫)의 선정(禪定)이 있으며, 또 여의고 나와 무루(無漏)에 가서 드는 선정이 있는데 그 이름이 성(聖)이다. 여의고 나온 가운데로 나아가 또 소승(小乘)과 대승(大乘)이 있으며, 대승(大乘) 중에 나아가 또 권교(權敎)에서 이르시는 선정(禪定)과 실교(實敎)에서 이르시는 선정이 있나니, 지혜가 있는 선정(禪定)과 지혜가 없는 선정(禪定)이 그것이다. 실교(實敎) 중에 나아가 또 이정(理定)과 사정(事定)과 돈수(頓修)하는 정(定=선정)과 점수(漸修)하는 정(定)이 있느니라. 좇아 함은 사선(四禪)과 팔정(八定)이 범(凡)과 성(聖), 대(大)와 소(小), 권(權)과 실(實)에 통하는 것이고, 좇아 하지 못한다는 말은 마음 쓰는 관문(觀門)이니 이르되 외도(外道)는 불교(佛敎=부처의 가르침)를 좇아 하지 못하는 것 등이고, 또 실교(實敎)가 이(理=진리)를 깨우쳐 닦는 것을 소승과 대승이 좇아 하지 못하는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관문(觀門):마음이나 부처, 정토 등의 경계를 지혜로써 비추어 보는 것. 이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觀門)’이라고 한다.
주002)
기:맑게 하는. 맑히는. 어간 ‘기-’는 ‘-’[澄]에 사동접미사 ‘이’가 결합된 사동사. 사동접사 ‘히’가 결합된 ‘키-, 키-’형이 별행록절요언해(1522)에 나타난다. ¶므를 키며[澄之](82ㄴ). 定과 慧와 키시고[明定慧시고](86ㄴ).
주003)
객진(客塵):‘번뇌’를 가리킴. 고정되어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지혜로 인해 사라지는 것이므로 객(客)이라 하고, 마치 먼지와도 같이 미세하고 무수하기 때문에 진(塵)이라고 함.
주004)
외야:다시[更]. 중세국어 문헌에는 이 밖에도 외(월석4:65ㄱ), 외여(내훈2:66ㄱ), 노외야(두초25:53ㄱ), 노의여(박초, 상37ㄱ) 등도 사용되었다.
주005)
영지(靈知):신령스럽게 아는 것.
주006)
환화(幻化):실체가 없는 것이 현재 있는 것처럼 됨. 만물이 환상같이 변하는 일.
주007)
열반(涅槃):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경지.
주008)
지각(知覺):추측하고 사유하여 그릇되게 판단하는 것. 분별하여 아는 것. 생각하는 것.
주009)
명(明):모든 번뇌의 얽매임에서 벗어나고, 진리를 깨달아 불생불멸의 법을 체득한 지혜.
주010)
선관(禪觀):인연으로 생겨난 일체를 관찰하는 방법. 좌선(坐禪) 수행으로써 불법을 깨닫는 방법.
주011)
강령(綱領):일이나 행동의 중요한 지침.
주012)
현담(懸譚):현담(懸談)으로도 씀. 정식으로 경(經)의 본문에 들어가기에 앞서 제목이나 지은이, 대의 같은 것을 설명한 글. 또는 그것을 엮은 책.
주013)
거니와:갖추어졌거니와. ‘-’[具]에 ‘-거니와’의 통합형. ‘-거니와’는 앞 절의 사실을 인정하면서 관련된 다른 사실을 이어주는 연결어미. ‘거니와→거니와’ 표기는 8종성가족용법에 따라 ‘’의 ‘ㅈ’을 그와 동일 서열의 ‘ㅅ’으로 표기한 결과임.
주014)
사정(邪正):그릇됨과 올바름. 정사(正邪).
주015)
권실(權實):방편(方便)과 진실(眞實). 유의어로 진가(眞假) 즉 참과 거짓. 또는 권교(權敎)와 실교(實敎).
주016)
사리(事理):변화하는 현상과 그 배후에 있는 불변하는 진리.
주017)
정정(正定):팔정도의 하나. 번뇌하여 어지러운 생각을 버리고 마음을 안정하는 일.
주018)
삼계(三界):생사 유전하는 미혹의 세계를 3단계로 구분한 것. 욕계(欲界), 색계(色界), 무색계(無色界).
주019)
선정(禪定):좌선에 의해 몸과 마음이 깊이 통일된 상태. 마음의 평정.
주020)
무루(無漏):번뇌가 없게 된 경지. 부처나 아라한의 깨달음의 지혜는 번뇌를 모두 끊고 있기 때문에 ‘무루’임.
주021)
소승(小乘):대승(大乘) 대비되는, 경전에 대한 주석 연구가 중심을 이룬 흐름의 경향. 대승이 발달한 뒤 대승 사상가들이 그들의 사상적 경향과 대비하여 대·소를 구분한 것이다. 현재 소승을 신봉하는 국가에서는 폄하된 명칭이라 하여 상좌부(上座部) 불교라 칭한다.
주022)
대승(大乘):중생을 제도하여 부처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불교. 그 교리와 이상, 목적 등이 모두 크고 깊으며 그것을 받아들이는 중생의 능력도 큰 그릇이라 하여 이렇게 말한다. 보다 많은 사람을 구제할 수 있는 이타적(利他的)인 보살도의 실천을 강조한다.
주023)
권교(權敎):부처님께서 진실을 나타내시기 위한 교법. 중생들의 근기(根機)에 알맞게 방편을 설하여 중생들로 하여금 진실하고 참된 이치(眞理)를 깨닫게 하기 위하여 가설(假說)하신 수단.
주024)
실교(實敎):석가모니가 세상에 오신 참뜻을 말한 대승(大乘)의 진실한 가르침.
주025)
돈수(頓修):오랜 수행 기간이나 단계를 거치지 아니하고 일시에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을 함.
주026)
점수(漸修):차례와 위계를 거쳐 수행하고 득도하는 일.
주027)
사선(四禪):3계(界) 중에서 욕계(欲界)의 번뇌를 모두 벗어나서 색계(色界)에 나게 되는 4단계의 선정. 초선(初禪)·제2선·제3선·제4선 등.
주028)
팔정(八定):색계(色界)의 4선정(禪定)과 무색계(無色界)의 4공정(空定). 선정(禪定)을 통해 청정하게 된 마음이 점점 더 심화되어가는 과정을 8단계로 나눈 것.
주029)
외도(外道):불교 이외의 교학이나 종파를 가리키는 말. 석가모니 당시에 인도에서 성했던 6사(師) 외도 또는 95종의 외도 등이 불전에 거론되고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