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2
메뉴닫기 메뉴열기

2. 대답해 주실 것을 허락하심 3. 조용히 말씀을 기다림 2


【종밀주석】 次正說長行中이 四ㅣ니 壹은 標本擧數ㅣ오 二 正示觀門이오 三은 引例彰圓이오 四 校量顯勝이라 初二니 一은 約稱性之行以標本이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원각경언해 하2의1:7ㄴ

버거 正히 니샨 長行 주001)
장행(長行):
산문체의 경문(經文). 운문(韻文) 형식은 게송(偈頌)이라 한다. 원각경은 장행(長行)과 게(偈)로 구성됨. 게(偈)는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거나 장행에서 설한 교리를 요약적으로 제시된다.
中이 네히니 나 本본 標샤 數숭 드르샤미오 주002)
드르샤미오:
드시는 것이오. 「들-」. 어간 말음 ‘ㄹ’은 주체높임법 선어말어미 ‘시’ 앞에서는 탈락되지 않고 ‘/으’가 개입하여 ‘시/르시’식으로 발음되었다.
둘흔 觀관門몬 주003)
관문(觀門):
마음이나 부처, 정토 등의 경계를 지혜로써 비추어 보는 것. 이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觀門)이라 한다.
을 正히 뵈샤미오 세흔 例롕 주004)
혀:
끌어와[引]. 인용하여. 초기문헌에는 ‘’가 ‘혀’보다 우세했으나 점차 ‘혀’와 혼기되다가 원각경언해(1465)부터 ‘혀’로 통일됨. ¶爲引(정음해례:용자).  後에(법화2:206).  取호미(영가,하137ㄱ). 혀고 發티 아니샤(법화4:93ㄴ).
두려우믈 기샤미오 네흔 마초아 혜여 勝을 나토샤미라 처미 둘히니 나 性 주005)
성(性):
나면서부터 지닌 본연의 성품이나 그 자체.
에 마 行 자바 本본 標샤미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다음으로 올바르게 말씀하신 장행(長行)이 넷인데, 하나는 본보기를 표를 내시어 수(數)를 들어 올리신 것이고, 둘은 관문(觀門)을 올바르게 보이심이고, 셋은 예(例)를 끌어와 원만함을 밝히신 것이고, 넷은 맞추어 헤아려 승(勝=우수함)을 나타내신 것이다. 처음이 둘인데 하나는 성(性=본성)에 맞는 수행을 잡아 본보기를 표(標)를 하신 것이고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장행(長行):산문체의 경문(經文). 운문(韻文) 형식은 게송(偈頌)이라 한다. 원각경은 장행(長行)과 게(偈)로 구성됨. 게(偈)는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거나 장행에서 설한 교리를 요약적으로 제시된다.
주002)
드르샤미오:드시는 것이오. 「들-」. 어간 말음 ‘ㄹ’은 주체높임법 선어말어미 ‘시’ 앞에서는 탈락되지 않고 ‘/으’가 개입하여 ‘시/르시’식으로 발음되었다.
주003)
관문(觀門):마음이나 부처, 정토 등의 경계를 지혜로써 비추어 보는 것. 이것이 법문(法門)에 들어가는 것과 같으므로 관문(觀門)이라 한다.
주004)
혀:끌어와[引]. 인용하여. 초기문헌에는 ‘’가 ‘혀’보다 우세했으나 점차 ‘혀’와 혼기되다가 원각경언해(1465)부터 ‘혀’로 통일됨. ¶爲引(정음해례:용자).  後에(법화2:206).  取호미(영가,하137ㄱ). 혀고 發티 아니샤(법화4:93ㄴ).
주005)
성(性):나면서부터 지닌 본연의 성품이나 그 자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