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⑧ 삼마발제-사마타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⑧ 삼마발제-사마타 4


【종밀주석】 二 功成退職觀이니 菩薩이 發慧利物은 卽是功成이오 習寂內修 名爲退職이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둘흔 功 주001)
공(功):
일을 마치거나 그 목적을 이룬 결과로서의 공적.
일우고 벼슬 마 주002)
마:
그만두는. 말-[退]+(관형사형어미). 어간 말음 ‘ㄹ’이 ‘ㄴ,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음운규칙의 적용을 받은 결과임. 동사 ‘말다’는 행동의 주체가 “…을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지 않거나 그만두다.”는 뜻이다. ‘벼슬 말-’은 ‘退職(퇴직)’에 대한 번역으로서 중세국어 문헌에 여러 용례가 보인다. ¶이 지그기 효도로아 벼슬 말오 本鄕의 가 어미를 孝養더니(속삼, 효14ㄱ). 萬石君 石奮이 늘거 벼슬 말오 집의 와 사더니(번소9:83ㄱ).
觀관이니 菩뽕薩이 慧 發벓야 物 주003)
물(物):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실재적 사물. 중생(衆生).
을 利링케 샤 곧 이 功 일우미오 주004)
일우미오:
이루는 것이고. ‘일우-’[成]는 어근 ‘일-’에 사동접미사 ‘우’가 결합한 파생동사. 일우-[成]+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어미 ‘고’의 이형태).
寂쪅을 니겨 안로 닷샤 일후미 벼슬 마로미라 주005)
마로미라:
그만두는 것이다. 여기 ‘말-’은 오늘날의 ‘은퇴(隱退)하다’ 정도에 대응된다. 말-[退]+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어미).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삼마발제를 머리로 삼아 닦는 칠륜 중에서〉 두 번째 윤(輪)은 공(功)을 이루고 벼슬을 그만두는 관(觀)이니, 보살(菩薩)이 지혜를 발(發)하여 물(物=중생)을 이롭게 하심은 이것이 곧 공(功)을 이루는 것이고, 적(寂)을 익혀 안으로 닦으심은 이름이 벼슬을 그만두는 것[退職]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공(功):일을 마치거나 그 목적을 이룬 결과로서의 공적.
주002)
마:그만두는. 말-[退]+(관형사형어미). 어간 말음 ‘ㄹ’이 ‘ㄴ, 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음운규칙의 적용을 받은 결과임. 동사 ‘말다’는 행동의 주체가 “…을어떤 일이나 행동을 하지 않거나 그만두다.”는 뜻이다. ‘벼슬 말-’은 ‘退職(퇴직)’에 대한 번역으로서 중세국어 문헌에 여러 용례가 보인다. ¶이 지그기 효도로아 벼슬 말오 本鄕의 가 어미를 孝養더니(속삼, 효14ㄱ). 萬石君 石奮이 늘거 벼슬 말오 집의 와 사더니(번소9:83ㄱ).
주003)
물(物):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있는 실재적 사물. 중생(衆生).
주004)
일우미오:이루는 것이고. ‘일우-’[成]는 어근 ‘일-’에 사동접미사 ‘우’가 결합한 파생동사. 일우-[成]+움(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오(어미 ‘고’의 이형태).
주005)
마로미라:그만두는 것이다. 여기 ‘말-’은 오늘날의 ‘은퇴(隱退)하다’ 정도에 대응된다. 말-[退]+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조사)+라(어미).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