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③ 사마타-삼마발제-선나 4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나) 3관을 조합해서 닦는 방법 21가지 ③ 사마타-삼마발제-선나 4


【경】 此菩薩者 名이 先修奢摩他고 中修三摩

원각경언해 하2의2:19ㄱ

鉢提고 後修禪那ㅣ라

이 菩뽕薩은 일후미 奢샹摩망他탕 몬져 닷고 三삼摩망鉢提뎽 가온 닷고 禪쎤那낭 後에 닷고미라

이 보살은 이름이 사마타를 먼저 닦고 삼마발제를 중간에 닦고 선나를 나중에 닦는다고 하느니라.

【종밀주석】 結名시니라 四 三點齊修觀이니 三點者 梵之伊ㅈ字ㅣ니 慤意예 云호 一人이 具修三觀 卽名爲齊언 非謂同時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일후믈 結시니라 네흔 세 點뎜을 기 주001)
기:
가지런히. 정제(整齊)하게. [齊]+이(부사 파생접사). ¶比丘ㅣ 옷 니부믈 기 아니야 外道ㅣ 譏弄호 婬女 며(월석25:27ㄴ). 니 오  시고 샤(석상21:46ㄴ).
닷 觀관이니 세 點뎜은 梵뻠엣 주002)
범(梵)엣:
범어(梵語)의. 범어에 나오는. 범어는 고대 인도의 표준 문장어로 불경을 기록하는 데에 쓰임.
伊ㅈ字 주003)
이자(伊ㅈ字):
범어의 ‘伊’라는 글자[∴]. 3점이 균형 있게 찍힌 것을 토대로, 3관을 가지런히[=균형 있게] 닦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伊ㅈ字’에서 ‘ㅈ’은 ‘사이시옷’으로 훈민정음언해(1447-59)에서는 ‘ㆆ’으로 표기되었다. 정음 창제 초기문헌에서 [표기=표준발음]이었음을 이해하면, 뒤의 ‘字’ 자를 된소리[경음]로 발음하도록 초성과 같은 ‘ㅈ’ 자를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훈민정음언해 표기와는 다르며, 이 같은 표기는 법화경언해(1463)부터 나타난다. ¶彌밍ㆆ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훈언6ㄴ). 叵 드위 可ㅈ字 從니(법화2:49ㄴ). 梵書엣 伊ㅈ字ㅣ 두 點이 우희 이쇼(영가, 하15ㄱ).
ㅣ니 慤

원각경언해 하2의2:19ㄴ

칵의 데 닐오  사미 세 觀관을 초 닷 곧 일후미 호미언 주004)
호미언:
‘가지런함’이지. ‘가지런함’일지언정. ‘-이언’은 앞 사실을 인정(가정)하되 뒤의 사실이 그에 매이지 않음을 나타내는 어미. ¶그리메와 봄괘 다 眚이언 眚 보닌 病 아니니(능엄2:83ㄱ).
주005)
:
때를. [時]+ㄹ(목적격조사). ‘’는 ‘+의(처소부사격조사)’로서 ‘’는 “함께”라는 뜻이고, ‘’는 ‘+이(주격조사)’로, ‘니’는 오늘날 “끼니”[時]의 15세기 소급형. ¶ 세 로 香湯애 沐浴야(월석10:120ㄴ). 모 弟子와  禮數고(석상23:42ㄴ). 이  부텻 나히 닐흔 나히러시니(석상13:1ㄱ). 니며 고디며 가 낟디 아니  업스니[無時無處而不明顯也니](금삼3:19ㄴ).
닐오미 아니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이름을 결정하신 것이다. 〈칠륜 중에서〉 네 번째는 세 점(點)을 가지런히 닦는 관(觀)인데, 세 점은 범어(梵語)의 이자(伊字)이다. 〈원각경의 주석서에서〉 유각(惟慤)의 뜻풀이에 이르되, 한 사람이 세 관(觀
사마타·삼마발제·선나
)을 갖추어 닦으므로 곧 이름이 ‘가지런함’일지언정 ‘한[=같은] 때’를 말한 것은 아니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기:가지런히. 정제(整齊)하게. [齊]+이(부사 파생접사). ¶比丘ㅣ 옷 니부믈 기 아니야 外道ㅣ 譏弄호 婬女 며(월석25:27ㄴ). 니 오  시고 샤(석상21:46ㄴ).
주002)
범(梵)엣:범어(梵語)의. 범어에 나오는. 범어는 고대 인도의 표준 문장어로 불경을 기록하는 데에 쓰임.
주003)
이자(伊ㅈ字):범어의 ‘伊’라는 글자[∴]. 3점이 균형 있게 찍힌 것을 토대로, 3관을 가지런히[=균형 있게] 닦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伊ㅈ字’에서 ‘ㅈ’은 ‘사이시옷’으로 훈민정음언해(1447-59)에서는 ‘ㆆ’으로 표기되었다. 정음 창제 초기문헌에서 [표기=표준발음]이었음을 이해하면, 뒤의 ‘字’ 자를 된소리[경음]로 발음하도록 초성과 같은 ‘ㅈ’ 자를 쓴 것임을 알 수 있다. 훈민정음언해 표기와는 다르며, 이 같은 표기는 법화경언해(1463)부터 나타난다. ¶彌밍ㆆ字 처 펴아 나 소리 니라(훈언6ㄴ). 叵 드위 可ㅈ字 從니(법화2:49ㄴ). 梵書엣 伊ㅈ字ㅣ 두 點이 우희 이쇼(영가, 하15ㄱ).
주004)
호미언:‘가지런함’이지. ‘가지런함’일지언정. ‘-이언’은 앞 사실을 인정(가정)하되 뒤의 사실이 그에 매이지 않음을 나타내는 어미. ¶그리메와 봄괘 다 眚이언 眚 보닌 病 아니니(능엄2:83ㄱ).
주005)
:때를. [時]+ㄹ(목적격조사). ‘’는 ‘+의(처소부사격조사)’로서 ‘’는 “함께”라는 뜻이고, ‘’는 ‘+이(주격조사)’로, ‘니’는 오늘날 “끼니”[時]의 15세기 소급형. ¶ 세 로 香湯애 沐浴야(월석10:120ㄴ). 모 弟子와  禮數고(석상23:42ㄴ). 이  부텻 나히 닐흔 나히러시니(석상13:1ㄱ). 니며 고디며 가 낟디 아니  업스니[無時無處而不明顯也니](금삼3:19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