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2
  • 8. 변음보살장(變音菩薩章)
  • 4. 세 관법을 닦는 순서를 밝혀주심
  •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가) 3관을 홑으로 닦는 방법 세 가지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2) 25종의 방법으로 결합되는 관법 가) 3관을 홑으로 닦는 방법 세 가지 3


【경】 由靜力故로 永斷煩惱야 究竟成就야

靜 히믈 브틀 煩뻔惱 永히 주001)
영(永)히:
영원히. 영영. 원문 ‘永斷’에서 ‘永’에 대한 번역. 후대 문헌에는 ‘영영’(은중경14), ‘영영히’(동국신속, 열2:13) 등으로도 번역하였다.
그처 究竟히 주002)
구경(究竟)히:
가장 지극하게. 번뇌를 완전히 없는 상태로. 오늘날에는 명사로 쓰여, “지극히 높은 경지, 모든 법의 실상(實相)” 등을 뜻한다. 지고(至高)한 목적이나 진리 등을 수식하는 말로 쓰인다.
成就야

정(靜=고요함)한 힘에 의거하므로 번뇌(煩惱)를 영원히 끊어 구경(究竟)하게 성취하여

【종밀주석】 由靜心之力야 覺身心의 空샤 暼念도 尙無ㅣ이니 煩惱ㅣ 何據ㅣ리오 煩惱不起ㅣ 卽是覺心故로 云究意成就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靜  히믈 브터 주003)
브터:
의거하여. 붙어[由]. 말미암아. 15세기 국어에는 ‘브터’가 동사 어간 ‘븥-’에 어미 ‘어’가 결합한 형식으로 선행 성분에 의존하지 않고 서술어로 기능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사로 쓰인 예도 보인다. ¶이브터(원각, 상2-1:1ㄱ).

원각경언해 하2의2:8ㄱ

身신心심의 空  아샤 믄득 주004)
닌:
일어난. 닐-[起]+ㄴ(관형사형어미). 어간 말음 ‘ㄹ’은 ‘ㄴ,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규칙이 있었다. ¶布施 제 뒷논 쳔로  주며 제 아논 法으로  칠씨오(월석2:25ㄱ). 適中은 기우디 아니야 가온 마씨라(월석13:24ㄴ).
念념 주005)
염(念):
생각. 경험한 일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마음 작용. 상념.
도 오히려 업거니 煩뻔惱 주006)
번뇌(煩惱):
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어듸 주007)
어듸:
어디. 어느 곳에. 어디에.
브트리오 煩뻔惱ㅣ 니디 아니샤미 곧 이 覺각心심 주008)
각심(覺心):
미망(迷妄)을 떠나 깨달아 있는 본래 마음. 본각(本覺)의 묘심(妙心)을 뜻함. 미망(迷妄)은 사리에 어두워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매거나 그런 상태.
일 니샤 究竟成就ㅣ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고요한 마음의 힘에 의거하여 신심(身心)이 공(空)하다는 것을 아시어(=깨달으시어) 문득 일어난 염(念)도 오히려 없거니와 〈그러니〉 번뇌(煩惱)가 어디에 붙겠는가? 번뇌가 일어나지 아니하심, 이것이 곧 각심(覺心)이므로 ‘구경성취(究竟成就)’라고 말씀하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영(永)히:영원히. 영영. 원문 ‘永斷’에서 ‘永’에 대한 번역. 후대 문헌에는 ‘영영’(은중경14), ‘영영히’(동국신속, 열2:13) 등으로도 번역하였다.
주002)
구경(究竟)히:가장 지극하게. 번뇌를 완전히 없는 상태로. 오늘날에는 명사로 쓰여, “지극히 높은 경지, 모든 법의 실상(實相)” 등을 뜻한다. 지고(至高)한 목적이나 진리 등을 수식하는 말로 쓰인다.
주003)
브터:의거하여. 붙어[由]. 말미암아. 15세기 국어에는 ‘브터’가 동사 어간 ‘븥-’에 어미 ‘어’가 결합한 형식으로 선행 성분에 의존하지 않고 서술어로 기능하고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보조사로 쓰인 예도 보인다. ¶이브터(원각, 상2-1:1ㄱ).
주004)
닌:일어난. 닐-[起]+ㄴ(관형사형어미). 어간 말음 ‘ㄹ’은 ‘ㄴ,ㄷ’으로 시작하는 어미 앞에서 탈락하는 규칙이 있었다. ¶布施 제 뒷논 쳔로  주며 제 아논 法으로  칠씨오(월석2:25ㄱ). 適中은 기우디 아니야 가온 마씨라(월석13:24ㄴ).
주005)
염(念):생각. 경험한 일을 잊지 않고 기억하는 마음 작용. 상념.
주006)
번뇌(煩惱):마음이나 몸을 괴롭히는 노여움이나 욕망 따위의 망념(妄念).
주007)
어듸:어디. 어느 곳에. 어디에.
주008)
각심(覺心):미망(迷妄)을 떠나 깨달아 있는 본래 마음. 본각(本覺)의 묘심(妙心)을 뜻함. 미망(迷妄)은 사리에 어두워 갈피를 잡지 못하고 헤매거나 그런 상태.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