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4. 수행에는 크게 세 종류의 관법이 있음
  •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3
메뉴닫기 메뉴열기

4-1) 도착 지점은 하나이나 가는 길은 여럿 3


【경】 於諸修行애 實無有二컨마

한 修行애 實로 둘 업건마

모든 수행(修行)에 실제로 둘이 없건마는

【종밀주석】

원각경언해 하2의1:9ㄱ

能稱之行也ㅣ니 卽如前二空觀門어 根塵이 普淨며 貧愛俱寂며 悲智雙行며 離相離心야 常無所得이니 一切菩薩이 無不如斯시니 隨事雖差나 此意 無二故ㅣ라 二 約隨機之行以擧數ㅣ라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能히 마 行이니 곧 알 二이空 주001)
이공(二空):
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을 가리킴. ‘아공’은 중생의 신체는 5온이 화합한 것일 뿐 거기에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유일한 주체나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다는 것이고, ‘법공’은 모든 법은 자성(自性)이 없기 때문에 공(空)하다는 것이다.
觀관門몬에 根 주002)
근(根):
감각을 일으키는 기관과 능력을 모두 일컫는 말. 육근(六根).
塵띤 주003)
진(塵):
대상. 세간에서 인식의 대상이 되는 모든 것. 번뇌. 육진(六塵).
괘 너비 조며 貪탐과 愛왜 다 괴외며 주004)
괴외며:
고요하며[寂].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24:55)로도 변하고, ‘j’음이 생략돼 ‘고요’[ko·jo](두중2:16)로도 썼다. 중세어에서 ‘ㅚ’는 단모음이 아니라 하향이중모음 [oj]이었다.
悲빙 주005)
비(悲):
자비심. 남의 고통을 보고 측은히 여기고 그 고통을 덜어 주고자 하는 마음.
와 智딩와 둘흘 行며 相 여희며  여희여 녜 得득홈 업숨 니 一切촁 菩뽕薩이 이 디 아니홈 업스시니 이 조차 비록 다나 이 든 둘 업슨 쳔라 둘흔 機긩를 조 行 자샤 數숭를 드르샤미라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능히 맞는 행(行
수행
)이니, 곧 이공(二空)의 관문(觀門)에 근(根)과 진(塵)이 널리 깨끗하며 탐(貪=탐욕)과 애(愛=애욕)가 모두 고요하며, 비(悲
자비심
)와 지(智
지혜
) 두 가지를 행하며, 상(相)을 여의며 마음을 여의어 항상 얻음이 없는 것 같으니 일체 보살이 이와 같지 아니함이 없으시니, 일에 따라서 비록 다르지만 그 뜻은 둘이 없기 때문이다. 둘은 근기(根機)를 좇아 행하는 것(=방편)을 〈어림〉잡으시어 숫자를 들으신 것이다.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이공(二空):아공(我空)과 법공(法空)을 가리킴. ‘아공’은 중생의 신체는 5온이 화합한 것일 뿐 거기에는 영원하고 불변하는 유일한 주체나 실체로서의 자아가 없다는 것이고, ‘법공’은 모든 법은 자성(自性)이 없기 때문에 공(空)하다는 것이다.
주002)
근(根):감각을 일으키는 기관과 능력을 모두 일컫는 말. 육근(六根).
주003)
진(塵):대상. 세간에서 인식의 대상이 되는 모든 것. 번뇌. 육진(六塵).
주004)
괴외며:고요하며[寂]. 어근 ‘괴외-’의 발음은 [koj·oj]. 순행동화로 ‘괴’[koj·joj](두중24:55)로도 변하고, ‘j’음이 생략돼 ‘고요’[ko·jo](두중2:16)로도 썼다. 중세어에서 ‘ㅚ’는 단모음이 아니라 하향이중모음 [oj]이었다.
주005)
비(悲):자비심. 남의 고통을 보고 측은히 여기고 그 고통을 덜어 주고자 하는 마음.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