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 역주 원각경언해
  • 역주 원각경언해 제8집 하2의1
  • 7. 위덕자재보살장(威德自在菩薩章)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3
메뉴닫기 메뉴열기

1. 부처님께 드리는 질문 3


【경】 令諸菩薩로 覺心의 光明야 承佛圓音와 不因修習야 而得善利게 시니

諸졍菩뽕薩로  光明 주001)
광명(光明):
부처나 보살의 지혜 작용. 미혹의 어둠을 타파하는 진리의 빛. 자기 본래의 면목.
을 아라 부텻 두려우신 주002)
두려우신:
원만하신. ‘圓音’에서 ‘圓’에 대한 번역. ‘두렵다’는 “둥글다”[원(圓)], ‘두립다’는 “두렵다”[구(懼)]의 뜻이다. ¶圓音은 두려 소리라(월석10:56ㄱ). 사 업슨 두리 해(월석14:74ㄴ).
소리 받와 주003)
받와:
받들어. ‘받-’은 대체로 ‘바치다’[獻]의 뜻으로 썼으나 여기서는 ‘奉’을 살려 ‘받들다’로 옮긴다. ¶그 삿기 머겨 禮 님금 받 놋다(두초17:3ㄴ).
즈믄 長存샬 藥이라 받노다(악학:동동).
닷가 니교 因티 아니야 善쎤 利링 得득게 시니

여러 보살들로 〈하여금〉 마음의 광명을 알게[=깨닫게] 하여 부처님의 원만하신 소리[=원음(圓音)] 주004)
원음(圓音):
부처님의 음성. 부처님의 지혜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가르침]. 일음(一音)이라고도 함.
를 받아서 닦아 익힘을 인하지 않고도 〈빠르게〉 좋은 이익을 얻게 하시니

【종밀주석】 領前엣 忘心頓證이니 暫聞고 已得善利

원각경언해 하2의1:4ㄴ

콘 況勤而行之여 二 請後ㅣ니 文二니 一은 問所修ㅣ오 二 明所爲라 初中二니 一은 立理오
Ⓒ 구결 | 세조(조선) / 1465년(세조 11)

알  니저 다 證호 아샤미니 주005)
아샤미니:
아심이니. 알-[覺]+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니(어미). 주체높임의 ‘시’는 자음 어미 앞에서는 ‘시’, 모음 어미 앞에서는 ‘샤’로 실현된다. 어간에 말음이 있을 경우에는 모음의 종류에 따라 ‘/으’가 선택되되 반드시 개입되었다.
간 듣고 주006)
듣고:
듣고. 여기서 ‘’은 객체(客體) ―일반적으로는 부사어 명사와 목적어 명사를 합친 뜻으로 씀―에 해당하는 ‘부처님 말씀’에 대한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환경에 따라 여러 이형태가 쓰였다. ① ‘--’은 선행 동사 어간 말음이 ‘ㄷ, ㅈ, ㅊ’일 때, ② ‘--’은 어간 말음이 모음이거나 ‘ㄴ, ㄹ, ㅁ’일 때, ③ 그 밖의 경우에는 ‘--’으로 표기되었다. 이 선어말어미 뒤에 모음 어미나 매개모음을 가지는 어미가 통합될 때는 각각 ‘, , ’으로 교체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때의 ‘ㅸ’도 능엄경언해(1461)부터는 모두 ‘오/우/ㅇ’로 바뀌었다.
마 善쎤 利링 得득곤 주007)
득(得)곤:
얻었거늘. 얻었는데. ‘-곤(온)’은 ‘…-곤(-온)…며…녀(-려, -리오)’와 같은 문장 구조와 호응하는 것이 원칙이다. ¶너비 善根 시므디 아니닌 일훔도 듣디 몯리온 며 보미녀(영험5). 여기서는 “마 善 利 得곤…며…行호미여”와 같은 문장 구조로 표현된 것이다.
며 브즈러니 行호미여 주008)
행(行)호미여:
수행함이겠는가? 부지런히 수행하면 더욱 善한 利益을 얻을 수 있다는 말.
둘흔 後를 請샤미니 文문이 둘히니 나 닷고 묻오샤미오 둘흔 爲윙 고 기샤미라 주009)
기샤미라:
밝히신 것이다. 15세기 문헌에는 ‘-’에 사동접사 ‘-이-’가 결합한 ‘기-’형만 쓰이나, 16세기에 들면 ‘키-(유합, 하42)≈키-(번소10:14)’가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사동접미사 ‘-히-’가 선택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처 中이 둘히니 나 理링 주010)
이(理):
경험적 인식을 초월해 언제나 바뀌지 않으며 보편적이고 평등한 진여(眞如). 이치.
셰샤미오 주011)
셰샤미오:
세우시는 것이고. 셰-[使立]+샤(주체높임 선어말)+옴(명사형)+이(서술격)+오(어미 ‘고’의 음운론적 이형태). 어간 ‘셰-’는 ‘셔-’[立]에 사동접미사 ‘-ㅣ-’가 결합한 파생동사. 사동사 어간 ‘셰-’에 다시 사동의 ‘-오-’를 결합시킨 이중사동 ‘셰오-’가 〈가례언해〉(1632)에 보인다. ¶가廟 西京의다가 셰오고(가례1:8ㄱ). 이 같은 구조로 된 용언에 ‘우-’(월석18:56ㄴ), ‘오-’(석상11:29ㄱ) 등이 있다.
Ⓒ 언해 | 세조(조선) 명찬 / 1465년(세조 11)

앞에서 말씀한 마음을 잊고 모두 증(證)함을 아심이니, 〈부처님의 말씀을〉 잠깐 듣고도 이미 좋은 이익을 얻었거늘 하물며 〈법문을〉 부지런히 수행하면 〈두말할 나위 있겠는가?〉 둘은 뒤 내용을 청(請)하심이니 문(文)이 둘인데, 하나는 닦음에 대해 물으시는 것이고, 둘은 위한 바를 밝히신 것이다. 처음의 것이 둘이니 하나는 이(理)를 세우시는 것이고
Ⓒ 역자 | 정우영 / 2006년 12월 27일

주석
주001)
광명(光明):부처나 보살의 지혜 작용. 미혹의 어둠을 타파하는 진리의 빛. 자기 본래의 면목.
주002)
두려우신:원만하신. ‘圓音’에서 ‘圓’에 대한 번역. ‘두렵다’는 “둥글다”[원(圓)], ‘두립다’는 “두렵다”[구(懼)]의 뜻이다. ¶圓音은 두려 소리라(월석10:56ㄱ). 사 업슨 두리 해(월석14:74ㄴ).
주003)
받와:받들어. ‘받-’은 대체로 ‘바치다’[獻]의 뜻으로 썼으나 여기서는 ‘奉’을 살려 ‘받들다’로 옮긴다. ¶그 삿기 머겨 禮 님금 받 놋다(두초17:3ㄴ).
즈믄 長存샬 藥이라 받노다(악학:동동).
주004)
원음(圓音):부처님의 음성. 부처님의 지혜의 입에서 나오는 말씀[=가르침]. 일음(一音)이라고도 함.
주005)
아샤미니:아심이니. 알-[覺]+샤(주체높임 선어말어미)+옴(명사형어미)+이(서술격)+니(어미). 주체높임의 ‘시’는 자음 어미 앞에서는 ‘시’, 모음 어미 앞에서는 ‘샤’로 실현된다. 어간에 말음이 있을 경우에는 모음의 종류에 따라 ‘/으’가 선택되되 반드시 개입되었다.
주006)
듣고:듣고. 여기서 ‘’은 객체(客體) ―일반적으로는 부사어 명사와 목적어 명사를 합친 뜻으로 씀―에 해당하는 ‘부처님 말씀’에 대한 존대를 나타내는 선어말어미. 환경에 따라 여러 이형태가 쓰였다. ① ‘--’은 선행 동사 어간 말음이 ‘ㄷ, ㅈ, ㅊ’일 때, ② ‘--’은 어간 말음이 모음이거나 ‘ㄴ, ㄹ, ㅁ’일 때, ③ 그 밖의 경우에는 ‘--’으로 표기되었다. 이 선어말어미 뒤에 모음 어미나 매개모음을 가지는 어미가 통합될 때는 각각 ‘, , ’으로 교체 표기되었다. 그러나 이때의 ‘ㅸ’도 능엄경언해(1461)부터는 모두 ‘오/우/ㅇ’로 바뀌었다.
주007)
득(得)곤:얻었거늘. 얻었는데. ‘-곤(온)’은 ‘…-곤(-온)…며…녀(-려, -리오)’와 같은 문장 구조와 호응하는 것이 원칙이다. ¶너비 善根 시므디 아니닌 일훔도 듣디 몯리온 며 보미녀(영험5). 여기서는 “마 善 利 得곤…며…行호미여”와 같은 문장 구조로 표현된 것이다.
주008)
행(行)호미여:수행함이겠는가? 부지런히 수행하면 더욱 善한 利益을 얻을 수 있다는 말.
주009)
기샤미라:밝히신 것이다. 15세기 문헌에는 ‘-’에 사동접사 ‘-이-’가 결합한 ‘기-’형만 쓰이나, 16세기에 들면 ‘키-(유합, 하42)≈키-(번소10:14)’가 공존하는 것으로 보아 사동접미사 ‘-히-’가 선택되기 시작했음을 알 수 있다.
주010)
이(理):경험적 인식을 초월해 언제나 바뀌지 않으며 보편적이고 평등한 진여(眞如). 이치.
주011)
셰샤미오:세우시는 것이고. 셰-[使立]+샤(주체높임 선어말)+옴(명사형)+이(서술격)+오(어미 ‘고’의 음운론적 이형태). 어간 ‘셰-’는 ‘셔-’[立]에 사동접미사 ‘-ㅣ-’가 결합한 파생동사. 사동사 어간 ‘셰-’에 다시 사동의 ‘-오-’를 결합시킨 이중사동 ‘셰오-’가 〈가례언해〉(1632)에 보인다. ¶가廟 西京의다가 셰오고(가례1:8ㄱ). 이 같은 구조로 된 용언에 ‘우-’(월석18:56ㄴ), ‘오-’(석상11:29ㄱ) 등이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