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②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5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5]
無盡意觀世音菩薩 摩訶薩ㅅ 威神力이 巍巍

월인석보 19:27ㄱ

호미
주001)
외외(巍巍)호미:
외외(巍巍)함이. 높고 큼이.
주002)
이:
이와. 이[是]+∅(비교격 조사).
니라
다가 衆生이 婬慾이 만야도 주003)
만야도:
많아도. 만-[多]+-야도.
녜 주004)
녜:
늘[常].
觀世音菩薩 念야 恭敬면 곧 婬慾 여희리라 【이 熏聞〔〕〔샤〕 〔塵〕〔을〕 〔여〕〔희〕〔샤〕 비치 주005)
비치:
빛이. 빛[色]+-이.
劫 디 주006)
겁(劫)디:
위협하지. 겁(劫)하지. 겁-[劫]+-디.
〔몯〕〔〕〔〕 〔히〕〔믈〕 〔더〕〔으〕〔시〕〔니〕 〔衆〕生 欲 〔習〕〔씹〕〔으〕〔로〕 〔塵〕〔띤〕〔에〕 ##〔어울〕 주007)
어울:
합쳐지므로. 어우-(‘어울-’의 이형태)[合]+-ㄹ.
色 劫 〔호〕〔미〕 〔〕〔외〕〔〕〔니〕 〔〕〔번〕 〔妙〕〔〕力을 닙 〔〕〔오〕〔면〕 〔欲愛〕 주008)
욕애(欲愛):
욕애(欲愛)가. 욕애+∅(주격 조사).
〔라〕 주009)
라:
말라. ㄹ-(‘-’의 이형태)+-아.
〔이우니〕 주010)
이우니:
시드니. 이우-(‘이울-’의 이형태)[枯]+-니.
根과 〔境〕〔〕〔괘〕 〔〕 주011)
:
짝[偶].
〔아〕〔니〕〔〕〔외〕〔야〕 〔비〕〔록〕 〔妖〕色 〔이〕

월인석보 19:27ㄴ

〔이〕〔셔〕〔도〕 〔能〕〔〕〔히〕 〔劫〕〔겁〕〔〕〔야〕 〔뮈〕 우디 몯 〔〕〔〕 〔곧〕〔欲〕〔욕〕〔여〕〔희〕〔요〕〔〕 〔得〕〔득〕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5]
무진의(無盡意)여! 관세음보살마하살의 위신력(威神力)이 외외(巍巍)함이
(높고 큼이)
이와 같다.
만일 중생이 음욕(婬慾)이 많아도 늘 관세음보살을 염하여 공경하면 곧 음욕을 떠날 것이다.【이것은 훈문(熏聞)하시어 진(塵)을 떠나시어 빛이 위협하지 못하는 힘을 더하시니 중생은 욕습(欲習)으로 진에 합쳐지므로 색의 위협함이 되니 한 번 묘력(妙力)을 입으면 욕애(欲愛)가 말라 시드니 근(根)과 경(境)이 짝 안 되어 비록 요색(妖色)이 있어도 능히 위협하여 움직이지 못하므로 곧 욕(慾) 떠남을 득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외외(巍巍)호미:외외(巍巍)함이. 높고 큼이.
주002)
이:이와. 이[是]+∅(비교격 조사).
주003)
만야도:많아도. 만-[多]+-야도.
주004)
녜:늘[常].
주005)
비치:빛이. 빛[色]+-이.
주006)
겁(劫)디:위협하지. 겁(劫)하지. 겁-[劫]+-디.
주007)
어울:합쳐지므로. 어우-(‘어울-’의 이형태)[合]+-ㄹ.
주008)
욕애(欲愛):욕애(欲愛)가. 욕애+∅(주격 조사).
주009)
라:말라. ㄹ-(‘-’의 이형태)+-아.
주010)
이우니:시드니. 이우-(‘이울-’의 이형태)[枯]+-니.
주011)
:짝[偶].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