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5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5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5]
카 주001)
카:
날카로운. -[利]+-.
智로 觀 닷고 주002)
닷고:
닦되. -[脩]+-오.
주003)
다:
다[凡].
三七日로 期約야 주004)
기약(期約)야:
기약(期約)하여. 기약-+-야.
感應을 求 三七日이 면 주005)
면:
차면. -[滿]+-면.
普賢이 즉재 現시리라 楞嚴에 니샤 비록 주006)
비록:
비록[縱].
주007)
뎨:
저것이. 뎌[彼]+-ㅣ(주격 조사).
障이 기퍼 주008)
기퍼:
깊어. 깊-[深]+-어.
나 주009)
나:
나를. 나[我]+-.
보디 주010)
보디:
보지. 보-[見]+-디.
몯야도 주011)
몯야도:
못하여도. 몯-[未]+-야도.
주012)
내:
내가. 나[我]+-ㅣ(주격 조사).
사과 주013)
사과:
사람과. 사[人]+-과[與].
暗中에 주014)
암중(暗中)에:
암중(暗中)에. 어두운 중에.
바기 주015)
바기:
정수리를. 바기[頂]+-.
져 주016)
져:
만져. 지-[摩]+-어.
擁護야 便安케 주017)
편안(便安)케:
편안(便安)하게. 편안-+-게.
慰勞노라 주018)
위로(慰勞)노라:
위로(慰勞)하노라. 위로-+--+-오-(의도법 선어말어미. 1인칭과 호응)+-라.
시니 주019)
시니:
하시니. -+-시-+-니.
녜며 주020)
녜며:
옛날이며. 녜[古]+-며(접속 조사).
이제 주021)
이제:
지금에. 이제[今]+∅(처소격 조사).
닷가 주022)
닷가:
닦아. -[修]+-아.
조 주023)
조:
자조. -[屢]+-오(부사 형성 접미사).
瑞應이 겨시며 주024)
겨시며:
계시며. 겨시-[有]+-며(대등적 연결어미).
 

월인석보 19:109ㄱ

조 應 업스샤 시혹 주025)
시혹:
또[或].
精誠 몯며 시혹 카 주026)
카:
날카로운. -[利]+-.
아닐 주027)
아닐:
아닐. 아니[非]+∅(계사)+-ㄹ.
니라 주028)
니라:
까닭이다. [故]+ㅣ-(계사)+-니-+-라.
楞嚴에 니샤 道場애 안딘댄 주029)
안딘댄:
앉을 것 같으면. 앉-[坐]+-오-+-ㅭ딘댄.
몬져 주030)
몬져:
먼저[先].
조 주031)
조:
깨끗한. 좋-[淨]+-.
戒 디녀 주032)
디녀:
지녀. 디니-[持]+-어.
조 주033)
옷:
옷[衣].
닙고 주034)
닙고:
입고. 닙-+-고.
 주035)
:
마음을. [心]+-.
디니 주036)
디니:
맑게 할 것이니. 기-[淸]+-오-+-ㅭ#(의존명사)+-ㅣ-(계사)+-니.
다가 주037)
다가:
만일[若].
믿 주038)
믿:
밑. 믿(‘밑’의 팔종성 표기)[本].
戒師와 주039)
계사(戒師)와:
계사(戒師)와. 계사+-와(접속 조사). ‘계사’는 계(戒)를 주는 스승이다.
주040)
:
한. 같은[同].
會中에 나히나 주041)
나히나:
하나이나. 나ㅎ[一]+-이나(선택의 보조사).
淸淨티 몯면 주042)
이:
이와. 이[是]+∅.
티 주043)
티:
같이. -[如]+-이.
道場이 乃終내 이디 주044)
이디:
이루어지지. 이-(‘일-’의 이형태)[成就]+-디.
몯리라 시며 圓覺애 니샤 鈍根이 일우디 주045)
일우디:
이루어지지. 일우-[成]+-디.
몯 주046)
몯:
못하는. 몯-[未]+--+-ㄴ.
사 주047)
사:
사람은. 사[人]+-.
녜 주048)
녜:
늘[常].
반기 브즈런 주049)
브즈런:
부지런한. 브즈런-[勤]+-ㄴ.
로 주050)
로:
마음으로. [心]+-로.
懺디니 諸障이 消滅면 佛境이 알 주051)
알:
앞에. 앒[前]+-(처소격 조사).
現리라 주052)
현(現)리라:
현(現)할 것이다. 나타날 것이다. 현-+-리-+-라.
시니라】
「阿檀地 딴째 宅解一 檀陀婆地

월인석보 19:109ㄴ

딴떠뿨띠 二ㅅ 檀陀婆帝 딴떠뿨디 三 檀陀鳩舍隸딴떠셔리 四 檀陀修陀隸 딴떠떠리 五 修陀隸 떠리 六 修陀羅婆底 떠러뿨디 七 佛馱波羶禰 ᄬᅳᇂ떠붜션니 八 薩婆陀羅尼阿婆多尼 떠뿨떠러니뿨더니 九 薩婆婆沙阿婆多尼 뿨뿨사뿨더니 十 修阿婆多

월인석보 19:110ㄱ

尼 뿨더니 十一 僧伽婆履叉尼 꺄뿨리차니 十二 僧伽涅伽陀尼 꺄꺄떠니 十三 阿僧祇 끼 十四 僧伽波伽地 꺄뿨꺄띠 十五 帝隸阿惰僧伽兜略盧遮阿羅帝婆羅帝 디리떠꺄려러디붜러디 十六 薩婆僧伽三摩地伽蘭地 뿨꺄띠삼뭐띠꺄란띠 十七 薩

월인석보 19:110ㄴ

婆達磨修波利剎帝 뿨뭐붜리디 十八 薩婆薩埵樓馱憍舍略阿㝹伽地 뿨더떠셔랴ᇦ느ᇢ꺄띠 十九 辛阿毘吉利地帝 신삐리띠디 二十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현보살이 법화경을 널리 유통시킬 것을 맹세함 5]
【날카로운 지(智)로 관(觀) 닦되 다 三七日로 기약하여 감응(感應)을 구하므로 삼칠일이 차면 보현(普賢)이 즉시 현하실 것이다. 능엄(楞嚴)에 이르시되 “비록 저것이 장(障)이 깊어 나를 보지 못하여도 내가 그 사람과 어두운 중에 정수리를 만져 옹호하여 편안하게 위로하노라.” 하시니 옛날이며 지금에 관 닦아 자주 서응(瑞應)이 계시며 또 자주 응(應) 없으심은 또 정성 못하며 또 날카로운 지(智)가 아닌 까닭이다. 능엄에 이르시되 “도량에 앉을 것 같으면 먼저 깨끗한 계를 지녀 깨끗한 옷 입고 마음을 맑게 할 것이니 만일 밑 계사(戒師)와 한 회중(會中)에 하나이나 청정하지 못하면 이와 같이 도량이 끝끝내 이루어지지 못할 것이다.” 하시며 원각(圓覺)에 이르시되 “둔근(鈍根)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사람은 늘 반드시 부지런한 마음으로 참회할 것이니 제장(諸障)이 소멸하면 불경(佛境)이 앞에 나타날 것이다.” 하신 것이다.】
〔역자 주〕〈※ 주술〉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5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카:날카로운. -[利]+-.
주002)
닷고:닦되. -[脩]+-오.
주003)
다:다[凡].
주004)
기약(期約)야:기약(期約)하여. 기약-+-야.
주005)
면:차면. -[滿]+-면.
주006)
비록:비록[縱].
주007)
뎨:저것이. 뎌[彼]+-ㅣ(주격 조사).
주008)
기퍼:깊어. 깊-[深]+-어.
주009)
나:나를. 나[我]+-.
주010)
보디:보지. 보-[見]+-디.
주011)
몯야도:못하여도. 몯-[未]+-야도.
주012)
내:내가. 나[我]+-ㅣ(주격 조사).
주013)
사과:사람과. 사[人]+-과[與].
주014)
암중(暗中)에:암중(暗中)에. 어두운 중에.
주015)
바기:정수리를. 바기[頂]+-.
주016)
져:만져. 지-[摩]+-어.
주017)
편안(便安)케:편안(便安)하게. 편안-+-게.
주018)
위로(慰勞)노라:위로(慰勞)하노라. 위로-+--+-오-(의도법 선어말어미. 1인칭과 호응)+-라.
주019)
시니:하시니. -+-시-+-니.
주020)
녜며:옛날이며. 녜[古]+-며(접속 조사).
주021)
이제:지금에. 이제[今]+∅(처소격 조사).
주022)
닷가:닦아. -[修]+-아.
주023)
조:자조. -[屢]+-오(부사 형성 접미사).
주024)
겨시며:계시며. 겨시-[有]+-며(대등적 연결어미).
주025)
시혹:또[或].
주026)
카:날카로운. -[利]+-.
주027)
아닐:아닐. 아니[非]+∅(계사)+-ㄹ.
주028)
니라:까닭이다. [故]+ㅣ-(계사)+-니-+-라.
주029)
안딘댄:앉을 것 같으면. 앉-[坐]+-오-+-ㅭ딘댄.
주030)
몬져:먼저[先].
주031)
조:깨끗한. 좋-[淨]+-.
주032)
디녀:지녀. 디니-[持]+-어.
주033)
옷:옷[衣].
주034)
닙고:입고. 닙-+-고.
주035)
:마음을. [心]+-.
주036)
디니:맑게 할 것이니. 기-[淸]+-오-+-ㅭ#(의존명사)+-ㅣ-(계사)+-니.
주037)
다가:만일[若].
주038)
믿:밑. 믿(‘밑’의 팔종성 표기)[本].
주039)
계사(戒師)와:계사(戒師)와. 계사+-와(접속 조사). ‘계사’는 계(戒)를 주는 스승이다.
주040)
:한. 같은[同].
주041)
나히나:하나이나. 나ㅎ[一]+-이나(선택의 보조사).
주042)
이:이와. 이[是]+∅.
주043)
티:같이. -[如]+-이.
주044)
이디:이루어지지. 이-(‘일-’의 이형태)[成就]+-디.
주045)
일우디:이루어지지. 일우-[成]+-디.
주046)
몯:못하는. 몯-[未]+--+-ㄴ.
주047)
사:사람은. 사[人]+-.
주048)
녜:늘[常].
주049)
브즈런:부지런한. 브즈런-[勤]+-ㄴ.
주050)
로:마음으로. [心]+-로.
주051)
알:앞에. 앒[前]+-(처소격 조사).
주052)
현(現)리라:현(現)할 것이다. 나타날 것이다. 현-+-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