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그제 雲雷音宿王 華智佛이 四衆

월인석보 19:85ㄱ

려 니샤 너희 주001)
너희:
너희가. 너희[汝等]+∅(주격 조사).
妙莊嚴王 주002)
내:
내. 나의. 나[我]+-ㅣ(속격 조사).
알 주003)
알:
앞에. 앒[前]+-[於].
合掌야 솃 주004)
솃:
서 있는. 셔-[立]+∅(보조적 연결어미 ‘-어’)#잇-+--+-ㄴ.
주005)
: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보다 주006)
보다:
보느냐. 보-[見]+--+-ㄴ다(의문형 종결어미).
이 王이 내 法中에 比丘ㅣ 외야 주007)
외야:
되어. 외-[作]+-야.
助佛道法을 精勤야 닷가 주008)
닷가:
닦아. -[脩]+-아.
니겨 주009)
니겨:
익혀. 니기-[習]+-어.
다 주010)
다:
반드시[當].
부톄 주011)
부톄:
부처가. 부텨[佛]+-ㅣ.
외야 주012)
외야:
되어. 외-[作]+-야.
號ㅣ 娑羅樹王이오 나랏 주013)
나랏:
나라의. 나라[國]+-ㅅ.
일후믄 주014)
일후믄:
이름은. 일훔[名]+-은.
大光이오 劫

월인석보 19:85ㄴ

ㅅ 일후믄 大高王이리니 주015)
대고왕(大高王)이리니:
대고왕(大高王)일 것이니. 대고왕+이-(계사)+-리-+-니.
娑羅樹王佛이 無量 菩薩 衆과  無量 聲聞을 두고 주016)
두고:
두고. 두-[有]+-고.
나라히 주017)
나라히:
나라가. 나라ㅎ[國]+-이.
平正야 功德이 주018)
이:
이와. 이[是]+∅(비교격 조사).
리라 주019)
리라:
같을 것이다. -[如]+-리-+-라.
【佛號 群生 너비 주020)
너비:
널리. 넙-[廣]+-이(부사 형성 접미사).
두푸믈 주021)
두푸믈:
덮음을. 둪-[蔭]+-움+-을.
取시고 나랏 일후믄 여러 주022)
여러:
여러.
가짓 주023)
가짓:
가지의. 가지+-ㅅ.
邪暗 허로믈 주024)
허로믈:
헐어 버림을. 헐-[破]+-옴+-을.
取시고 주025)
取시고:
取하시고. 取-[取]+-시-+-고.
劫 일후믄 여러 가짓 貴코 주026)
귀(貴)코:
귀(貴)하고. 귀-+-고.
노포매 주027)
노포매:
높음에. 높-[高]+-옴+-애.
걷내요 주028)
걷내요:
건너뜀을. 걷내-[超]+-욤+-.
取시니 다 因行애 마

월인석보 19:86ㄱ

니라
주029)
마니라:
맞은 것이다. 맞-[符]+-니-+-라.
 念 조히 주030)
조히:
깨끗이. 좋-[淨]+-이(부사 형성 접미사).
信호로 주031)
신(信)호로:
신(信)함으로. 신-+-옴+-로[以].
臣妾을 風化야 다 法利 得게 주032)
득(得)게:
득(得)하게. 득-+-게.
샤미 너비 둡논 주033)
둡논:
덮는. 둡-(‘둪-’의 이형태)[蔭]+--+-오-+-ㄴ.
行이며 邪 야 리 주034)
야리:
헐어 버리는. 야리-[破]+--+-ㄴ.
行이라 일로브터 주035)
일로브터:
이로부터. 이[是]+-로부터[由].
王位 리고 佛位 得샤미 여러 가짓 貴高 걷내샤미라 주036)
걷내샤미라:
건너뛰심이다. 건내-[超]+-시-+-암+이-(계사)+-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8]
그 적에 운뢰음숙왕화지불이 사중(四衆)에게 이르시되 “너희가 이 묘장엄왕이 내 앞에 합장하여 서 있는 것을 보느냐 못 보느냐? 이 王이 내 법 중에 비구가 되어 조불도법(助佛道法: 불도 돕는 법)을 정근하여 닦아 익혀 반드시 부처가 되어 호(號)가 사라수왕(娑羅樹王)이고 나라의 이름은 대광(大光)이고 겁(劫)의 이름은 대고왕(大高王)일 것이니 그 사라수왕불이 무량 보살중과 무량 성문(聲聞)을 두고 그 나라가 평정하여 공덕이 이와 같을 것이다.【불호는 군생(羣生)을 널리 덮음을 취하시고 나라의 이름은 여러 가지의 사암(邪暗) 헐어 버림을 취하시고 겁 이름은 여러 가지의 귀하고 높음을 건너뜀을 취하시니 다 인행(因行)에 맞은 것이다. 한 념 깨끗이 신함으로 신첩(臣妾)을 풍화(風化)하여 다 법리(法利)를 득하게 하심이 널리 덮는 행이며 사를 헐어 버리는 행이다. 이로부터 왕위를 버리고 불위(佛位)를 득하심이 여러 가지의 귀고(貴高)를 건너뛰심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너희:너희가. 너희[汝等]+∅(주격 조사).
주002)
내:내. 나의. 나[我]+-ㅣ(속격 조사).
주003)
알:앞에. 앒[前]+-[於].
주004)
솃:서 있는. 셔-[立]+∅(보조적 연결어미 ‘-어’)#잇-+--+-ㄴ.
주005)
:것을. (의존명사)+-ㄹ(대격 조사).
주006)
보다:보느냐. 보-[見]+--+-ㄴ다(의문형 종결어미).
주007)
외야:되어. 외-[作]+-야.
주008)
닷가:닦아. -[脩]+-아.
주009)
니겨:익혀. 니기-[習]+-어.
주010)
다:반드시[當].
주011)
부톄:부처가. 부텨[佛]+-ㅣ.
주012)
외야:되어. 외-[作]+-야.
주013)
나랏:나라의. 나라[國]+-ㅅ.
주014)
일후믄:이름은. 일훔[名]+-은.
주015)
대고왕(大高王)이리니:대고왕(大高王)일 것이니. 대고왕+이-(계사)+-리-+-니.
주016)
두고:두고. 두-[有]+-고.
주017)
나라히:나라가. 나라ㅎ[國]+-이.
주018)
이:이와. 이[是]+∅(비교격 조사).
주019)
리라:같을 것이다. -[如]+-리-+-라.
주020)
너비:널리. 넙-[廣]+-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21)
두푸믈:덮음을. 둪-[蔭]+-움+-을.
주022)
여러:여러.
주023)
가짓:가지의. 가지+-ㅅ.
주024)
허로믈:헐어 버림을. 헐-[破]+-옴+-을.
주025)
取시고:取하시고. 取-[取]+-시-+-고.
주026)
귀(貴)코:귀(貴)하고. 귀-+-고.
주027)
노포매:높음에. 높-[高]+-옴+-애.
주028)
걷내요:건너뜀을. 걷내-[超]+-욤+-.
주029)
마니라:맞은 것이다. 맞-[符]+-니-+-라.
주030)
조히:깨끗이. 좋-[淨]+-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31)
신(信)호로:신(信)함으로. 신-+-옴+-로[以].
주032)
득(得)게:득(得)하게. 득-+-게.
주033)
둡논:덮는. 둡-(‘둪-’의 이형태)[蔭]+--+-오-+-ㄴ.
주034)
야리:헐어 버리는. 야리-[破]+--+-ㄴ.
주035)
일로브터:이로부터. 이[是]+-로부터[由].
주036)
걷내샤미라:건너뛰심이다. 건내-[超]+-시-+-암+이-(계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