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①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7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7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7]
여스슨 주001)
여스슨:
여섯째는. 여섯은. 여슷+-은.
聞熏이 精明야 고미 주002)
고미:
밝음이. -+-옴+-이.
法界예 야 여러 가짓 어드미 주003)
어드미:
어두움이. 어-+-움(명사형 어미)+-이.
性이 能히 오디 주004)
오디:
온전하지. 오-(‘올-’의 이형태)+-디.
몯 能히 衆生을 藥叉 주005)
약차(藥叉):
󰇄yakṣa의 음역. 야차(夜叉).
羅刹 주006)
나찰(羅刹):
악귀(惡鬼)의 일종. 통력(通力)에 의해 사람을 홀리고 또 먹는다고 한다.
鳩槃茶鬼 주007)
구반다귀(鳩槃茶鬼):
󰇄kumbhāṇḍa. 사람의 정기(精氣)를 먹는 귀신.
毗舍遮 주008)
비사차(毗舍遮):
󰇄piśāca. 식육귀(食肉鬼). 시육(屍肉)을 먹는 악귀.
富單那 주009)
부단나(富單那):
󰇄pūtana. 귀신의 일종.
等이 비록 그 겨틔 주010)
겨틔:
곁에. 곁+-의(처소격 조사).
갓가도 주011)
갓가도:
가까워도. 갓-+-아도.
누느로 能히 몯 보게 며 ≪聞熏이 精明야 어드 주012)
어드:
어두운. 어-+-은.
주013)
:
데를. +-ㄹ(대격 조사).
비취실 주014)
비취실:
비추시므로. 비취-+-시-+-ㄹ.
能히 보디 몯니라 ≫】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7]
여섯째는 문훈(聞熏)이 정명(精眀)하여 밝음이 법계에 가득하여 여러 가지의 어두움이 성(性)이 능히 온전하지 못하므로 능히 중생을 약차(藥叉) 나찰(羅刹)구반다귀(鳩槃茶鬼)비사차(毗舍遮)부단나(富單那) 등이 비록 그 곁에 가까워도 눈으로 능히 못 보게 하며≪문훈이 정명하여 어두운 데를 비추시므로 능히 보지 못한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여스슨:여섯째는. 여섯은. 여슷+-은.
주002)
고미:밝음이. -+-옴+-이.
주003)
어드미:어두움이. 어-+-움(명사형 어미)+-이.
주004)
오디:온전하지. 오-(‘올-’의 이형태)+-디.
주005)
약차(藥叉):󰇄yakṣa의 음역. 야차(夜叉).
주006)
나찰(羅刹):악귀(惡鬼)의 일종. 통력(通力)에 의해 사람을 홀리고 또 먹는다고 한다.
주007)
구반다귀(鳩槃茶鬼):󰇄kumbhāṇḍa. 사람의 정기(精氣)를 먹는 귀신.
주008)
비사차(毗舍遮):󰇄piśāca. 식육귀(食肉鬼). 시육(屍肉)을 먹는 악귀.
주009)
부단나(富單那):󰇄pūtana. 귀신의 일종.
주010)
겨틔:곁에. 곁+-의(처소격 조사).
주011)
갓가도:가까워도. 갓-+-아도.
주012)
어드:어두운. 어-+-은.
주013)
:데를. +-ㄹ(대격 조사).
주014)
비취실:비추시므로. 비취-+-시-+-ㄹ.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