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①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6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6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6]

월인석보 19:12ㄱ

다 주001)
다:
다섯째는. 다섯은. 다+-.
薰聞야 成聞야 六根이 消復야 聲聽에  가질 能히 衆生 被害 當야셔 ≪被害 害 니블씨라≫ 갈히 주002)
갈히:
칼이. 갈ㅎ+-이.
귿그티 주003)
귿그티:
도막 도막. 조각 조각. 귿(‘긑’의 팔종성 표기)[段]+#긑[段]+-이(부사 형성 접미사).
야디여 주004)
야디여:
허물어져. 무너져. 야디-+-여.
兵잠개 주005)
병(兵)잠개:
병기(兵器)가. 병잠개+∅(주격 조사).
버히 주006)
버히:
베듯. 버히-+-.
며  光明 부 주007)
부:
불듯. 부-(‘불-’의 이형태)+-.
야 性이 뮈유미 주008)
뮈유미:
움직임이. 뮈-+-윰(‘-옴’의 이형태)+-이.
업게 며 ≪聞慧로 聞根 熏야 주009)
훈(熏)야:
훈(熏)하여. 그을리어.
圓聞을 일우시니 주010)
일우시니:
이루시니. 일-+-우(사동 접사)+-시-+-니.
一根이 마 주011)
마:
이미. 벌써.
圓시면 六根이 消復호미 聲聽 야 외야 주012)
외야:
다시.

월인석보 19:12ㄴ

얼굴 주013)
얼굴:
모습. 형체(形體).
마고미 주014)
마고미:
막음이. 막-+-옴(명사형 어미)+-이.
업스실 믈 버히며 光明 부 니라 ≫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6]
다섯째는 훈문(熏聞)하여 성문(成聞)하여 육근(六根)이 소복(消復)하여 성청(聲聽)과 한가지이므로 능히 중생이 피해를 당하여서≪피해는 해를 입는 것이다.≫ 칼이 도막 도막 허물어져 병기(兵器)가 물 베듯 하며 또 광명(光眀) 불듯 하여 성(性)이 움직임이 없게 하며≪문혜(聞慧)로 문근(聞根)을 훈(熏)하여 원문(圓聞)을 이루시니 일근(一根)이 이미 원(圓)하시면 육근(六根)이 소복(消復)함이 성청(聲聽) 같아 다시 모습 막음이 없으시므로 물 베며 광명 불듯 한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다:다섯째는. 다섯은. 다+-.
주002)
갈히:칼이. 갈ㅎ+-이.
주003)
귿그티:도막 도막. 조각 조각. 귿(‘긑’의 팔종성 표기)[段]+#긑[段]+-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04)
야디여:허물어져. 무너져. 야디-+-여.
주005)
병(兵)잠개:병기(兵器)가. 병잠개+∅(주격 조사).
주006)
버히:베듯. 버히-+-.
주007)
부:불듯. 부-(‘불-’의 이형태)+-.
주008)
뮈유미:움직임이. 뮈-+-윰(‘-옴’의 이형태)+-이.
주009)
훈(熏)야:훈(熏)하여. 그을리어.
주010)
일우시니:이루시니. 일-+-우(사동 접사)+-시-+-니.
주011)
마:이미. 벌써.
주012)
외야:다시.
주013)
얼굴:모습. 형체(形體).
주014)
마고미:막음이. 막-+-옴(명사형 어미)+-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