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
無盡意菩薩부텻긔 주001)
부텻긔:
부처께. 부텨[佛]+-ㅅ긔(존칭 여격 조사). ‘-ㅅ긔’는 ‘-ㅅ(속격 조사)#긔(대명사)’가 문법화한 것이다.
샤 주002)
샤:
사뢰시되. -[白…言]+-시-+-아(‘-오’의 이형태).
世尊觀世音菩薩엇뎨 주003)
엇뎨:
어째서[云何].
이 娑婆世界예 노니시며 주004)
노니시며:
놀고 다니시며. 노니-[遊]+-시-+-며. 어간 ‘노니-’는 ‘노-(’놀-‘의 이형태)’와 ‘니-’의 비통사적 합성이다.
엇뎨 衆生 爲야 說法시며 方便力은

월인석보 19:32ㄱ

이리 주005)
이리:
일이. 일[事]+-이.
엇뎨고 주006)
엇뎨고:
어째서입니까. 엇뎨[云何]+∅(계사)+--(공손 선어말어미)+-고(설명의문문 의문보조사).
【곧 三十二 應이시니라 觀音楞嚴會上걔 주007)
걔:
스스로[自].
니샤 주008)
녜:
옛날에[昔].
觀音如來 供養니 나 如幻聞熏聞脩金剛三昧 심기샤 주009)
심기샤:
주시어. 심기-[授]+-시-+-아.
佛如來와 慈力이 혼 주010)
혼:
같은. -[同]+-오-+-ㄴ.
젼로 주011)
젼로:
까닭에. 까닭으로. 젼[故]+-로.
내 모미 三十二 應이러 주012)
이러:
이루어져. 일-[成]+-어.
諸國土애 드노다 주013)
드노다:
듭니다. 드-(‘들-’의 이형태)[入]+--+-오-+--+-다.
시니 ≪幻人 주014)
환인(幻人):
환인(幻人)의. 환인+-(속격 조사).
지미 주015)
지미:
지음이. -+-움+-이.
지 업수메 根源 如幻三昧라 시니) 이 三昧 브터 주016)
브터:
말미암아. 븥-+-어.
緣을 조차 應化샤미 곡도 주017)
곡도:
곡두. 허깨비.
 

월인석보 19:32ㄴ

미라
주018)
미라:
+이-(계사)+-라.
佛身브터 주019)
불신(佛身)브터:
불신부터. 불신+-브터.
人 非人 等에 니르리 주020)
니르리:
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 형성 접미사).
三十二라 다 無作妙力으로 自在 주021)
자재(自在):
자재(自在). 자재(自在)히.
成就샤미라 주022)
성취(成就)샤미라:
성취(成就)하심이다. 이루심이다.
지 업슨 智 브트샤 주023)
브트샤:
말미암으시어. 븥-+-으시-+-아.
큰 神用 니와샤미 주024)
니와샤미:
일으키심이. 니왇-+-시-+-암+-이.
일후미 妙力이오 지 업스며 욤 주025)
욤:
함. 하염. -+-욤.
업스샤 緣을 조차 너비 주026)
너비:
널리.
應샤미 일후미 自在히 일우샤미라 주027)
일우샤미라:
이루심이다. 일우-+-시-+-암+이-(계사)+-라.
≫】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관세음보살이 중생을 제도하는 방편 1]
무진의보살부처께 사뢰시되 “세존이시여! 관세음보살이 어째서 이 사바세계에 놀고 다니시며 어째서 중생 위하여 설법하시며 방편력(方便力)은 그 일이 어째서입니까?”【곧 32응(應)이십니다. 관음능엄회상(楞嚴會上)에 스스로 이르시되 “내가 옛날에 관음여래를 공양하오니 나에게 여환(如幻) 문훈(聞熏) 문수
(聞修: 환 같은 문을 훈하여 문을 수한)
금강삼매를 주시어 불여래와 자력(慈力)이 같은 까닭에 나의 몸이 삼십이응이 이루어져 제국토(諸國土)에 듭니다.” 하시니≪환인(幻人)의 지음이 지음 없음에 근원(根源)하므로 여환삼매(如幻三昧)라 하시니 이 삼매로 말미암아 연을 좇아 응화하심이 곡두 같을 따름이다.≫ 불신(佛身)부터 인(人) 비인(非人) 등에 이르도록 32이다. 다 무작
(無作: 지음 없으신)
묘력(妙力)으로 자재히 성취하심이다.≪지음 없는 지(智)로 말미암으시어 큰 신용(神用)을 일으키심이 이름이 묘력이고, 지음 없으며 함 없으시되 연을 좇아 널리 응하심이 이름이 자재히 이루심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부텻긔:부처께. 부텨[佛]+-ㅅ긔(존칭 여격 조사). ‘-ㅅ긔’는 ‘-ㅅ(속격 조사)#긔(대명사)’가 문법화한 것이다.
주002)
샤:사뢰시되. -[白…言]+-시-+-아(‘-오’의 이형태).
주003)
엇뎨:어째서[云何].
주004)
노니시며:놀고 다니시며. 노니-[遊]+-시-+-며. 어간 ‘노니-’는 ‘노-(’놀-‘의 이형태)’와 ‘니-’의 비통사적 합성이다.
주005)
이리:일이. 일[事]+-이.
주006)
엇뎨고:어째서입니까. 엇뎨[云何]+∅(계사)+--(공손 선어말어미)+-고(설명의문문 의문보조사).
주007)
걔:스스로[自].
주008)
녜:옛날에[昔].
주009)
심기샤:주시어. 심기-[授]+-시-+-아.
주010)
혼:같은. -[同]+-오-+-ㄴ.
주011)
젼로:까닭에. 까닭으로. 젼[故]+-로.
주012)
이러:이루어져. 일-[成]+-어.
주013)
드노다:듭니다. 드-(‘들-’의 이형태)[入]+--+-오-+--+-다.
주014)
환인(幻人):환인(幻人)의. 환인+-(속격 조사).
주015)
지미:지음이. -+-움+-이.
주016)
브터:말미암아. 븥-+-어.
주017)
곡도:곡두. 허깨비.
주018)
미라:+이-(계사)+-라.
주019)
불신(佛身)브터:불신부터. 불신+-브터.
주020)
니르리:이르도록. 니를-[至]+-이(부사 형성 접미사).
주021)
자재(自在):자재(自在). 자재(自在)히.
주022)
성취(成就)샤미라:성취(成就)하심이다. 이루심이다.
주023)
브트샤:말미암으시어. 븥-+-으시-+-아.
주024)
니와샤미:일으키심이. 니왇-+-시-+-암+-이.
주025)
욤:함. 하염. -+-욤.
주026)
너비:널리.
주027)
일우샤미라:이루심이다. 일우-+-시-+-암+이-(계사)+-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