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그 普賢菩薩이 自在 神通力 威德名聞으로 大菩薩 無量無邊 不可稱數와로 東方로셔 주001)
동방(東方)로셔:
동방(東方)으로부터. 동방+-로셔[從].
오시니 普賢이 事法界 統샤 주002)
통(統)샤:
거느리시어. 통-+-시-+-아.
萬行이 두려 주003)
두려:
둥글게. 두-[圓]+-이.
샤 주004)
샤:
갖추어져 있으시어. -[具]+-시-+-아.
이레 주005)
이레:
일에. 일[事]+-에.
나가 眞샤 그 應身이 아니 겨신  업스샤

월인석보 19:99ㄱ

주006)
업스샤:
없으시되. 없-[無]+-으시-+-아.
法會ㅅ 乃終에 東方 브터 주007)
브터:
부터[從].
오 주008)
오:
옴을. 오-[來]+-옴+-.
뵈샤 주009)
뵈샤:
보이심은. 뵈-[示]+-시-+-암+-.
東方 震帝의 주010)
난:
난. 나-[出]+-ㄴ.
히니 주011)
히니:
곳이니. ㅎ[所]+이-+-니.
帝 하히 萬物 내야 주012)
내야:
내어. 내-+-야.
일우기 주013)
일우기:
이루기. 일우-+-기(명사형 어미).
아실 주014)
아실:
주관하실. 주관하시는. 알-+-시-+-ㄹ(관형사형 어미).
씨라 주015)
씨라:
것이다. (의존명사)+ㅣ-(계사)+-라.
震 東方이니 時節론 보미니 주016)
보미니:
봄이니. 봄+이-+-니.
봄브터 萬物이 날 帝 나다 주017)
나다:
나다. 나-+-다.
니라
法會 이 주018)
이:
여기에[此].
니르러 주019)
니르러:
이르러. 니를-[至]+-어.
因地智圓며 果地覺이 滿야 주020)
만(滿)야:
가득하여. 만-+-야.
十一 地 妙圓行이 시면 進修 功이 마 주021)
마:
이미. 벌써[已].
다아 주022)
다아:
다하여. 다-[盡]+-아.
妙覺體 마 일 주023)
일:
이루어지므로. 이-(‘일-’의 이형태)[成]+-ㄹ.
이제 功用 업슨 行 브터 주024)
브터:
의거하여. 븥-[依]+-어.
震로셔 주025)
나:
나. 나-[出]+∅.

월인석보 19:99ㄴ

利실 주026)
이(利)실:
이(利)롭게 하시므로. 이-+-시-+-ㄹ.
東녀로브터 주027)
동(東)녀로브터:
동녘으로부터. 東녁+-로브터[從].
오 뵈시니 華嚴十一 地 디나 주028)
디나:
지나. 디나-[過]+∅.
佛海 功德 닐어 주029)
닐어:
일러. 닐-[說]+-어.
시고 주030)
시고:
마치시고. -[終]+-시-+-고.
즉재 如來 出現샤 世間 利시 行 니샤미 주031)
니샤미:
이르심이. 니-[說]+-시-+-암+-이.
곧 이 디라 주032)
디라:
뜻이다. [意]+이-(계사)+-라.
常行 여희디 주033)
여희디:
떠나지. 여희-[離]+-디.
아니샤 욤 주034)
욤:
함. 하는 것. -[爲]+-욤.
업시 주035)
업시:
없이. 없-[無]+-이.
物을 應실 自在神通이라 니라 德이 遍티 주036)
편(遍)티:
가득하지. 편-+-디.
몯 주037)
몯:
못한. 몯-[不]+-ㄴ.
 업스시며 일후미 주038)
일후미:
이름이. 일훔[名]+-이.
들이디 주039)
들이디:
들리지. 들이-[聞]+-디.
몯  업스실 威德名聞이라 니라 無邊菩薩 주040)
:
함께[俱].
오샤 萬行이 圓히 주041)
원(圓)히:
둥글게[圓].
攝호미 주042)
섭(攝)호미:
잡힘이. 섭-+-옴+-이.
無盡호 뵈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현보살이 무량보살과 함께 법화경을 듣기 위해 기사굴산에 옴 1]
그때에 보현보살이 자재신통력 위덕명문으로 대보살 무량무변 불가칭수와 더불어 동방으로부터 오시니보현이 사법계(事法界)를 다스리시어 만행이 둥글게 갖추어져 있으시어 일에 나아가 진(眞)하시어 그 응신이 안 계신 데가 없으시되 법회의 마지막에 동방으로부터 옴을 보이심은 동방진은 제(帝)의 난 곳이니≪제는 하늘이 만물 내어 이루기 주관하시는 것이다. 진(震)은 동방이니 시절로는 봄이니 봄부터 만물이 나므로 제가 나다 한 것이다.≫
법회가 여기에 이르러 인지지가 원하며 과지각이 가득하여 십일지 묘원행이 갖추어져 있으시면 진수하는 공이 이미 다하여 묘각체가 이미 이루어지므로 이제 공용 없는 행에 의거하여 진으로부터 나 물을 이롭게 하시므로 동녘으로부터 옴을 보이시니 화엄11지(十一地) 지나 불해공덕 일러 마치시고 즉시 여래가 출현하시어 세간 이롭게 하시는 행 이르심이 곧 이 뜻이다. 상행을 떠나지 아니하시어 함 없이 물을 응하시므로 자재신통이라 한 것이다. 덕이 가득하지 못한 데가 없으시며 이름이 들리지 못한 데가 없으시므로 위덕 명문이라 한 것이다. 무변보살과 함께 오심은 만행이 둥글게 잡힘이 무진함을 보이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동방(東方)로셔:동방(東方)으로부터. 동방+-로셔[從].
주002)
통(統)샤:거느리시어. 통-+-시-+-아.
주003)
두려:둥글게. 두-[圓]+-이.
주004)
샤:갖추어져 있으시어. -[具]+-시-+-아.
주005)
이레:일에. 일[事]+-에.
주006)
업스샤:없으시되. 없-[無]+-으시-+-아.
주007)
브터:부터[從].
주008)
오:옴을. 오-[來]+-옴+-.
주009)
뵈샤:보이심은. 뵈-[示]+-시-+-암+-.
주010)
난:난. 나-[出]+-ㄴ.
주011)
히니:곳이니. ㅎ[所]+이-+-니.
주012)
내야:내어. 내-+-야.
주013)
일우기:이루기. 일우-+-기(명사형 어미).
주014)
아실:주관하실. 주관하시는. 알-+-시-+-ㄹ(관형사형 어미).
주015)
씨라:것이다. (의존명사)+ㅣ-(계사)+-라.
주016)
보미니:봄이니. 봄+이-+-니.
주017)
나다:나다. 나-+-다.
주018)
이:여기에[此].
주019)
니르러:이르러. 니를-[至]+-어.
주020)
만(滿)야:가득하여. 만-+-야.
주021)
마:이미. 벌써[已].
주022)
다아:다하여. 다-[盡]+-아.
주023)
일:이루어지므로. 이-(‘일-’의 이형태)[成]+-ㄹ.
주024)
브터:의거하여. 븥-[依]+-어.
주025)
나:나. 나-[出]+∅.
주026)
이(利)실:이(利)롭게 하시므로. 이-+-시-+-ㄹ.
주027)
동(東)녀로브터:동녘으로부터. 東녁+-로브터[從].
주028)
디나:지나. 디나-[過]+∅.
주029)
닐어:일러. 닐-[說]+-어.
주030)
시고:마치시고. -[終]+-시-+-고.
주031)
니샤미:이르심이. 니-[說]+-시-+-암+-이.
주032)
디라:뜻이다. [意]+이-(계사)+-라.
주033)
여희디:떠나지. 여희-[離]+-디.
주034)
욤:함. 하는 것. -[爲]+-욤.
주035)
업시:없이. 없-[無]+-이.
주036)
편(遍)티:가득하지. 편-+-디.
주037)
몯:못한. 몯-[不]+-ㄴ.
주038)
일후미:이름이. 일훔[名]+-이.
주039)
들이디:들리지. 들이-[聞]+-디.
주040)
:함께[俱].
주041)
원(圓)히:둥글게[圓].
주042)
섭(攝)호미:잡힘이. 섭-+-옴+-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