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②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6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6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6]
〔〕〔다〕〔가〕 〔嗔恚 주001)
진에(嗔恚):
진에(嗔恚)가. 성냄이. 진에+∅(주격 조사).
〕 〔만야도 주002)
만야도:
많아도. 만-[多]+-야도.
〕 녜 觀〔世〕〔音〕〔菩〕〔薩〕〔〕 〔念〕야 恭敬〔〕〔면〕 곧 嗔心을 여희리라 【이 根境이 두려 주003)
두려:
둥글게. 두-[圓]+-이.
노가 주004)
노가:
녹아. 녹-[融]+-아.
能所對 주005)
능소대(能所對):
능소대(能所對)가. 능소대+∅(주격 조사).
업슨 주006)
업슨:
없는. 없-[無]+-은.
히믈 더으시니 嗔 情에 어긔요로 주007)
어긔요로:
어김으로 말미암아. 어의-[違]+-욤+-로.
닐며 주008)
닐며:
일어나며. 닐-[起]+-며.
境을 對야 나니 주009)
나니:
나니. 나-[生]+--+-니.
두려 노면 어긔요미 업고 對 업스면 嗔心 아니리라】
다가 愚癡 주010)
우치(愚癡):
우치(愚癡)가. 어리석음이. 우치+∅(주격 조사).

월인석보 19:28ㄱ

야도
주011)
만야도:
많아도. 만-[多]+-야도.
녜 觀世音菩薩 念야 恭敬면 주012)
곧:
곧[便].
癡 여희리라 주013)
여희리라:
떠날 것이다. 여희-[離]+-리-+-라.
【이 塵 消야 주014)
소(消)야:
소(消)하여. 없애.
明에 도라가 주015)
도라가:
돌아가. 도라가-[旋]+∅.
기 주016)
기:
맑게. -[朗]+-이.
차 주017)
차:
통하여. -[徹]+-아.
마 주018)
마:
막은. 막-[礙]+-.
주019)
:
데가. +∅(주격 조사).
업슨 주020)
업슨:
없는. 없-[無]+-은.
히믈 주021)
히믈:
힘을. 힘[力]+-을.
더으시니
【癡 주022)
더으시니:
더하시니. 더으-[加]+-시-+-니.
거츤 주023)
거츤:
허황한. 거츠-(‘거츨-’의 이형태)[妄]+-ㄴ.
드트레 주024)
드트릐:
티끌의. 드틀[塵]+-의(속격 조사).
〔리며〕 〔無明의〕 둡논 주025)
둡논:
덮는. 둡(‘둪-’의 이형태)[覆]+--+-오-+-ㄴ.
다시니 주026)
다시니:
탓이니. 닷[由]+이-+-니.
〔塵〕〔〕 〔消면〕 〔료미 주027)
료미:
가림이. 리-+-옴-+-이.
업고 주028)
업고:
없고.
기 주029)
기:
맑게. -[朗]+-이.
〔면〕 주030)
면:
통하면. -[徹]+-면.
〔두푸미〕 주031)
두푸미:
덮음이. 둪-[覆]+-움+-이.
〔업슬〕 〔能〕히 眞實〔ㅅ〕 주032)
진실(眞實)ㅅ:
진실(眞實)의. 진실+-ㅅ.
〔고메〕 주033)
고메:
밝음에. -[明]+-옴+-애.
〔도라가〕 주034)
도라가:
돌아가. 도라가-[旋復]+∅.
〔기리〕 주035)
기리:
길이. 길-[永]+-이.
〔癡〕暗 〔여희니라〕 주036)
여희니라:
떠난 것이다. 여희-[離]+-니-+-라.
〔안햇〕 주037)
안햇:
안에 있는. 안ㅎ[內]+-애(처소격 조사)+-ㅅ(속격 조사).
〔業이〕 〔열히〕로 주038)
열히로:
열이되. 열ㅎ[十]+이-(계사)+-로.
〔신〕〔야〕 〔료〕 주039)
야료:
헐어 버림은. 야리-[壞滅]+-옴+-.
〔婬怒〕癡 주040)
음노치(婬怒癡):
음노치(婬怒癡)가. 음노치+∅(주격 조사).
〔니〕 〔그럴〕 〔세흘〕 주041)
세흘:
셋을. 세ㅎ[三]+-.
〔드르샤〕 주042)
드르샤:
드시어. 들-[擧]+-으시+-아.
〔나〕니 주043)
나니:
남은 것을. 남-[餘]+-#이(의존명사)+-(대격 조사).
兼〔시니라〕 주044)
겸(兼)시니라:
겸(兼)하신 것이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6]
만일 진에(嗔恚)가 많아도 늘 관세음보살을 염하여 공경하면 곧 진심(嗔心)을 떠날 것이다.【이것은 근경(根境)이 둥글게 녹아 능소대(能所對)가 없는 힘을 더하시니 진(嗔)은 정(情)에 어김으로 말미암아 일어나며 경(境)을 대하여 나니 둥글게 녹으면 어김이 없고 대가 없으면 진심 아니할 것이다.】
만일 우치(愚癡)가 많아도 늘 관세음보살을 염하여 공경하면 곧 치(癡)를 떠날 것이다.【이것은 진을 소(消)하여 명(眀)에 돌아가 맑게 통하여 막은 데가 없는 힘을 더하시니 허황한 티끌의 가리며 무명(無明)의 덮는 탓이니 진을 소하면 가림이 없고 맑게 통하면 덮음이 없으므로 능히 진실의 밝음에 돌아가 길이 치암(癡暗)을 떠난 것이다. 안에 있는 업이 열이되 법신(法身) 헐어 버림은 음노치(婬怒癡)가 심하니 그러므로 셋을 드시어 남은 것을 겸하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진에(嗔恚):진에(嗔恚)가. 성냄이. 진에+∅(주격 조사).
주002)
만야도:많아도. 만-[多]+-야도.
주003)
두려:둥글게. 두-[圓]+-이.
주004)
노가:녹아. 녹-[融]+-아.
주005)
능소대(能所對):능소대(能所對)가. 능소대+∅(주격 조사).
주006)
업슨:없는. 없-[無]+-은.
주007)
어긔요로:어김으로 말미암아. 어의-[違]+-욤+-로.
주008)
닐며:일어나며. 닐-[起]+-며.
주009)
나니:나니. 나-[生]+--+-니.
주010)
우치(愚癡):우치(愚癡)가. 어리석음이. 우치+∅(주격 조사).
주011)
만야도:많아도. 만-[多]+-야도.
주012)
곧:곧[便].
주013)
여희리라:떠날 것이다. 여희-[離]+-리-+-라.
주014)
소(消)야:소(消)하여. 없애.
주015)
도라가:돌아가. 도라가-[旋]+∅.
주016)
기:맑게. -[朗]+-이.
주017)
차:통하여. -[徹]+-아.
주018)
마:막은. 막-[礙]+-.
주019)
:데가. +∅(주격 조사).
주020)
업슨:없는. 없-[無]+-은.
주021)
히믈:힘을. 힘[力]+-을.
주022)
더으시니:더하시니. 더으-[加]+-시-+-니.
주023)
거츤:허황한. 거츠-(‘거츨-’의 이형태)[妄]+-ㄴ.
주024)
드트릐:티끌의. 드틀[塵]+-의(속격 조사).
주025)
둡논:덮는. 둡(‘둪-’의 이형태)[覆]+--+-오-+-ㄴ.
주026)
다시니:탓이니. 닷[由]+이-+-니.
주027)
료미:가림이. 리-+-옴-+-이.
주028)
업고:없고.
주029)
기:맑게. -[朗]+-이.
주030)
면:통하면. -[徹]+-면.
주031)
두푸미:덮음이. 둪-[覆]+-움+-이.
주032)
진실(眞實)ㅅ:진실(眞實)의. 진실+-ㅅ.
주033)
고메:밝음에. -[明]+-옴+-애.
주034)
도라가:돌아가. 도라가-[旋復]+∅.
주035)
기리:길이. 길-[永]+-이.
주036)
여희니라:떠난 것이다. 여희-[離]+-니-+-라.
주037)
안햇:안에 있는. 안ㅎ[內]+-애(처소격 조사)+-ㅅ(속격 조사).
주038)
열히로:열이되. 열ㅎ[十]+이-(계사)+-로.
주039)
야료:헐어 버림은. 야리-[壞滅]+-옴+-.
주040)
음노치(婬怒癡):음노치(婬怒癡)가. 음노치+∅(주격 조사).
주041)
세흘:셋을. 세ㅎ[三]+-.
주042)
드르샤:드시어. 들-[擧]+-으시+-아.
주043)
나니:남은 것을. 남-[餘]+-#이(의존명사)+-(대격 조사).
주044)
겸(兼)시니라:겸(兼)하신 것이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