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7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7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7]
그 뎌 부톄 妙莊嚴王 引導코져 시며  衆生 어엿비 주001)
어엿비:
불쌍히. 어엿브-[愍]+-ㅣ(부사 형성 접미사).
너기샤 주002)
너기샤:
여기시어. 너기-[念]+-시-+-아.
法華經니더

월인석보 19:76ㄱ

시니
주003)
니더시니:
이르시더니. 니-[說]+-더-+-시-+-니.
그 淨藏 淨眼 두 아리 어게 주004)
어게:
어머니에게. 어미[母]+-게[所].
주005)
가:
가. 가-[到]+∅.
가락 주006)
가락:
손가락[指]. 손+-ㅅ#가락.
마초아 주007)
마초아:
맞추어. 합하여. 마초-[合]+-아.
닐오 願 어마니미 주008)
어마니미:
어머님이. 어마님[母]+-이.
雲雷音宿王 華智佛 가쇼셔 우리도 뫼 주009)
뫼:
모시어. 뫼-[侍]+-아.
가 親近 供養 저지다 주010)
저지다:
절하고 싶습니다. 저-[禮拜]+-아지다.
엇뎨어뇨 주011)
엇뎨어뇨:
어째서냐. 엇뎨[何]+∅(계사)+-어-(‘-거-’의 이형태)+-뇨.
란 주012)
란:
할 것 같으면. -+-란.
이 부톄 一切 天人 衆 中에

월인석보 19:76ㄴ

法華經을 니시니 듣 주013)
듣:
들어. 듣-[聽]+--+-아.
受 주014)
受:
受하여야. 受-[受]+--+-아.
리다 주015)
리다:
할 것입니다. -+-리-+--+-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7]
그때에 저 부처묘장엄왕(妙莊嚴王)을 인도하고자 하시며 또 중생을 불쌍히 여기시어 이 법화경을 이르시더니 그때에 정장(淨藏) 정안(淨眼) 두 아들이 어머니에게 가 열 손가락 맞추어(합하여) 이르되 “원하건대 어머님이 운뢰음숙왕화지불(雲雷音宿王華智佛)께 가소서. 우리도 모시어 가 친근(親近) 공양하여 절하고 싶습니다. 어째서냐 할 것 같으면 이 부처가 일체 천인중(天人衆) 중에 법화경을 이르시니 들어 수하여야 할 것입니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어엿비:불쌍히. 어엿브-[愍]+-ㅣ(부사 형성 접미사).
주002)
너기샤:여기시어. 너기-[念]+-시-+-아.
주003)
니더시니:이르시더니. 니-[說]+-더-+-시-+-니.
주004)
어게:어머니에게. 어미[母]+-게[所].
주005)
가:가. 가-[到]+∅.
주006)
가락:손가락[指]. 손+-ㅅ#가락.
주007)
마초아:맞추어. 합하여. 마초-[合]+-아.
주008)
어마니미:어머님이. 어마님[母]+-이.
주009)
뫼:모시어. 뫼-[侍]+-아.
주010)
저지다:절하고 싶습니다. 저-[禮拜]+-아지다.
주011)
엇뎨어뇨:어째서냐. 엇뎨[何]+∅(계사)+-어-(‘-거-’의 이형태)+-뇨.
주012)
란:할 것 같으면. -+-란.
주013)
듣:들어. 듣-[聽]+--+-아.
주014)
受:受하여야. 受-[受]+--+-아.
주015)
리다:할 것입니다. -+-리-+--+-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