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석존의 게송
  • 석존의 게송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석존의 게송 4


[석존의 게송 4]
시혹 王難苦 맛나 주001)
맛나:
만나. 맛나-[遭]+∅(보조적 연결어미 ‘-아’).
刑罰호 주002)
형벌(刑罰)호:
형벌(刑罰)함을. 형벌-[刑]+-옴+-.
臨야 목숨 주003)
목숨:
목숨[壽].
 주004)
:
마칠. -[終]+-(관형사형 어미).
주005)
제:
적에. 때에.
주006)
뎌:
저[彼].
觀音力을 念면

월인석보 19:44ㄴ

갈히 주007)
갈히:
칼이. 갈ㅎ[刀]+-이.
귿그티 주008)
귿그티:
도막 도막. 귿[段]+(‘긑’의 팔종성표기)#긑[段]+-이.
야디며 주009)
야디며:
허물어지며. 야디-[壞]+-며.
시혹 가텨 주010)
가텨:
갇히어. 가티-[囚禁]+-어.
주011)
갈:
칼. 형구(形具)의 일종.
메며 주012)
메며:
메며. 메-+-며. ‘枷’가 ‘갈 메다’로 번역됨.
솨줄 주013)
솨줄:
쇠사슬. ‘鎖’가 ‘쇠사슬 메다’로 번역됨.
메며 손바래 주014)
손바래:
손발에. 손[手]+#발[足]+-애.
杻械 야도 주015)
추계(杻械)야도:
쇠고랑 채워도. ‘추계(杻械)’는 ‘쇠고랑’이다.
뎌 觀音力을 念면 훤히 주016)
훤히:
개운하게[釋然].
버서나 주017)
버서나:
벗어남을. 버서나-[解脫]+-암+.
得며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석존의 게송 4]
또 왕난고(王難苦)를 만나 형벌(刑罰)함에 임하여 목숨 마칠 때에 저 관음력(觀音力)을 염(念)하면 칼이 도막 도막 허물어지며
또 갇히어 칼 메며 쇠사슬 메며 손발에 쇠고랑 채워도 저 관음력을 염하면 개운하게 벗어남을 득하며,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맛나:만나. 맛나-[遭]+∅(보조적 연결어미 ‘-아’).
주002)
형벌(刑罰)호:형벌(刑罰)함을. 형벌-[刑]+-옴+-.
주003)
목숨:목숨[壽].
주004)
:마칠. -[終]+-(관형사형 어미).
주005)
제:적에. 때에.
주006)
뎌:저[彼].
주007)
갈히:칼이. 갈ㅎ[刀]+-이.
주008)
귿그티:도막 도막. 귿[段]+(‘긑’의 팔종성표기)#긑[段]+-이.
주009)
야디며:허물어지며. 야디-[壞]+-며.
주010)
가텨:갇히어. 가티-[囚禁]+-어.
주011)
갈:칼. 형구(形具)의 일종.
주012)
메며:메며. 메-+-며. ‘枷’가 ‘갈 메다’로 번역됨.
주013)
솨줄:쇠사슬. ‘鎖’가 ‘쇠사슬 메다’로 번역됨.
주014)
손바래:손발에. 손[手]+#발[足]+-애.
주015)
추계(杻械)야도:쇠고랑 채워도. ‘추계(杻械)’는 ‘쇠고랑’이다.
주016)
훤히:개운하게[釋然].
주017)
버서나:벗어남을. 버서나-[解脫]+-암+.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