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②
  •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9
메뉴닫기 메뉴열기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9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9]
【이 열네찻 주001)
열네찻:
열네째의. 열[十]#네[四]+-찻(접미사).
無畏功德이라 楞嚴에 니

월인석보 19:31ㄱ

샤 이 大千界예 世間애 現住신 六十二億 河沙 菩薩이 겨샤 주002)
겨샤:
계시어. 겨시-[有]+-아.
法을 닷가 주003)
닷가:
닦아. -[脩]+-아.
法을 드리오샤 주004)
드리오샤:
드리우시어. 드리오-[垂]+-시-+-아. ‘수범(垂範)’은 ‘모범을 보이는 것’.
方便으로 衆生 利케 시니 일후믈 디녀 주005)
디녀:
지니어. 디니-[持]+-어.
供養면 無量福 得니 觀音 일후믈 디니면 그 福이 다 주006)
다:
같다. -[齊等]+-다.
시니 觀音이 眞實ㅅ 圓通 得샤 나콰 함괘 주007)
함괘:
많음이. 하-[多]+-암+-과+-ㅣ(주격 조사).
平等며 뎌와 나왜 둘 업스실 주008)
업스실:
없으신. 없-[無]+-으시+-ㄹ(관형사형 어미).
니라 주009)
니라:
까닭이다. [故]+ㅣ-(계사)+-니-+-라.
無盡意觀世音菩薩ㅅ 일후믈 受持면 주010)
이:
이와. 이[是]+∅(비교격 조사).

월인석보 19:31ㄴ

주011)
:
같은. -[如]+-ㄴ.
無量無邊 福德 利 得리라 【十四 無畏福 모도아 주012)
모도아:
모아. 모도-[摠]+-아.
結시니라 주013)
결(結)시니라:
결(結)하신 것이다. 완성하신 것이다. 결-+-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관세음보살의 명호를 수지하여 얻는 복덕과 지혜 29]
【이것은 열네째의 무외공덕(無畏功德)이다. 능엄(楞嚴)에 이르시되 “이 대천계에 세간에 현주(現住)하신 육십이억 하사(河沙) 보살이 계시어 법을 닦아 법을 드리우시어(모범을 보이시어) 방편으로 중생을 이롭게 하시니 이름을 지녀 공양하면 무량복(無量福)을 득하니 관음 이름을 지니면 그 복이 같다.” 하시니 관음이 진실의 원통(圓通)을 득하시어 하나와 많음이 평등하며 저것과 내가 둘 없으신 까닭이다.】
무진의여! 관세음보살의 이름을 수지하면 이와 같은 무량무변 복덕리(福德利)를 득할 것이다.【14 무외복을 모아 완성하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관련자료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자료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열네찻:열네째의. 열[十]#네[四]+-찻(접미사).
주002)
겨샤:계시어. 겨시-[有]+-아.
주003)
닷가:닦아. -[脩]+-아.
주004)
드리오샤:드리우시어. 드리오-[垂]+-시-+-아. ‘수범(垂範)’은 ‘모범을 보이는 것’.
주005)
디녀:지니어. 디니-[持]+-어.
주006)
다:같다. -[齊等]+-다.
주007)
함괘:많음이. 하-[多]+-암+-과+-ㅣ(주격 조사).
주008)
업스실:없으신. 없-[無]+-으시+-ㄹ(관형사형 어미).
주009)
니라:까닭이다. [故]+ㅣ-(계사)+-니-+-라.
주010)
이:이와. 이[是]+∅(비교격 조사).
주011)
:같은. -[如]+-ㄴ.
주012)
모도아:모아. 모도-[摠]+-아.
주013)
결(結)시니라:결(結)하신 것이다. 완성하신 것이다. 결-+-시-+-니-+-라.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