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4
메뉴닫기 메뉴열기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4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4]
그 勇施菩薩부텨 샤 世尊나도 주001)
나도:
나도. 나[我]+-도.
주002)
:
또[亦].
法華經 讀誦 受持

월인석보 19:60ㄴ

 사 擁護야 陁羅尼 니노니 주003)
니노니:
이르니. 니-[說]+ --+-오-+-니.
다가 이 法師ㅣ 이 陁羅尼 得면 夜叉ㅣ어나 羅刹이어나 富單那ㅣ어나 주004)
부단나(富單那)ㅣ어나:
부단나(富單那)이거나. 부단나+ㅣ어나(선택의 보조사).
吉蔗ㅣ어나 주005)
길자(吉蔗)ㅣ어나:
길자(吉蔗)이거나. 길자+-ㅣ어나.
鳩槃茶ㅣ어나 주006)
구반다(鳩槃茶)ㅣ어나:
구반다(鳩槃茶)이거나. 구반다+-ㅣ어나.
餓鬼 等이어나 短 주007)
단(短):
단(短)을. 짧은 데를. 단+-.
엿 주008)
엿:
엿보아. 엿-[伺]+-아.
求야도 【短 뎌를씨라】

월인석보 19:61ㄱ

便을 주009)
편(便)을:
편안(便安)을. 편+-을.
得디 몯리다 주010)
몯리다:
못할 것입니다. 몯-[無]+-리-+--+-다.
시고 즉재 부텻 알 주011)
알:
앞에. 앒[前]+-[於].
呪를 니샤 痤[誓螺]隸써리[一] 摩訶痤隸뭐허써리[二] 郁枳[音紙三] 目枳뭏[四] 阿隸리[五] 阿羅婆第러뿨띠[六] 涅隸第리띠[七] 涅隸多婆第리더뿨띠[八] 伊緻[豬里]柅니[女紙九]韋緻柅니[十] 旨緻柅니[十一] 涅隸墀柅리니[十二] 涅

월인석보 19:61ㄴ

犁墀婆底리뿨디[十三]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약왕보살 등이 법화경을 수지하는 중생을 호지하는 다라니를 말함 4]
그때에 용시보살(勇施菩薩)부처께 이르시되 “세존이시여! 나도 또 법화경 독송 수지할 사람을 옹호하여 다라니를 이르니 만일 법사가 이 다라니를 득하면 야차(夜叉)이거나 나찰이거나 부단나(富單那) 주012)
부단나(富單那):
󰇄pūtana. 귀신의 일종.
이거나 길자(吉蔗) 주013)
길자(吉蔗):
기시귀(起屍鬼).
이거나 구반다(鳩槃茶) 주014)
구반다(鳩槃茶):
󰇄kumbhāṇḍa. 일종의 악귀. 사람의 정기(精氣)를 먹는 귀신.
이거나 아귀(餓鬼) 등이거나 단(短)을 엿보아 구하여도【단(短)은 짧은 것이다】 능히 편안을 득하지 못할 것입니다.” 하시고 즉시 부처의 앞에 呪를 이르시되, 〈※ 이하 주술〉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4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나도:나도. 나[我]+-도.
주002)
:또[亦].
주003)
니노니:이르니. 니-[說]+ --+-오-+-니.
주004)
부단나(富單那)ㅣ어나:부단나(富單那)이거나. 부단나+ㅣ어나(선택의 보조사).
주005)
길자(吉蔗)ㅣ어나:길자(吉蔗)이거나. 길자+-ㅣ어나.
주006)
구반다(鳩槃茶)ㅣ어나:구반다(鳩槃茶)이거나. 구반다+-ㅣ어나.
주007)
단(短):단(短)을. 짧은 데를. 단+-.
주008)
엿:엿보아. 엿-[伺]+-아.
주009)
편(便)을:편안(便安)을. 편+-을.
주010)
몯리다:못할 것입니다. 몯-[無]+-리-+--+-다.
주011)
알:앞에. 앒[前]+-[於].
주012)
부단나(富單那):󰇄pūtana. 귀신의 일종.
주013)
길자(吉蔗):기시귀(起屍鬼).
주014)
구반다(鳩槃茶):󰇄kumbhāṇḍa. 일종의 악귀. 사람의 정기(精氣)를 먹는 귀신.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