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覺 能히 決定히 알오 正은 能히 모도잡니 주001)
모도잡니:
모아 잡으니. 모도-[愡]#잡-[攝]+--+-니.
다 서르 因야 시니라 주002)
시니라:
만드신 것이다. -[設]+-시-+-니-+-라.
주003)
:
마음의. [心]+-ㅅ.
性은 大地 주004)
대지(大地):
대지(大地)와. 대지+∅(비교격 조사).
거든 주005)
거든:
같거든. -[如]+-거든.
念處 種子 고 주006)
고:
같고. -[如]+-고.
正勤은 주007)
:
씨[種].
심구미 주008)
심구미:
심음과. -[植]+-움+-이(비교격 조사).
고 神足 주009)
엄:
싹[芽].
나미 주010)
나미:
남과. 나-[抽]+-암+-이.
고 五根 불휘 고 五力 줄기 고 七覺 주011)
곳:
꽃[花].
고 八正은 果 니 주012)
니:
같으니. -[如]+-니.
두 아

월인석보 19:75ㄱ

리 다 시니 주013)
시니:
갖추어져 있으니. -[具]+-시-+-니.
니논 주014)
니논:
이른바.
具體시니샷다 주015)
구체(具體)시니샷다:
구체(具體)하신 사람이도다. 구체-+-시-+-ㄴ#이[者]+∅(계사)+-샷다. ‘-샷다’는 ‘-시-+-옷-(감동법 선어말어미)+-다’로 분석될 수 있다.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5]
각은 능히 결정히 알고 정은 능히 모아 잡으니 다 서로 인하여 만드신 것이다. 마음의 성(性)은 대지(大地)와 같거든 염처(念處)는 종자(種子) 같고 정근(正勤)은 씨 심음과 같고 신족(神足)은 싹 남과 같고 오근(五根)은 뿌리와 같고 오력(五力)은 줄기와 같고 칠각(七覺)은 꽃 같고 팔정(八正)은 열매 같으니 두 아들이 다 갖추어져 있으시니 이른바 구체(具體)하신 사람이시도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모도잡니:모아 잡으니. 모도-[愡]#잡-[攝]+--+-니.
주002)
시니라:만드신 것이다. -[設]+-시-+-니-+-라.
주003)
:마음의. [心]+-ㅅ.
주004)
대지(大地):대지(大地)와. 대지+∅(비교격 조사).
주005)
거든:같거든. -[如]+-거든.
주006)
고:같고. -[如]+-고.
주007)
:씨[種].
주008)
심구미:심음과. -[植]+-움+-이(비교격 조사).
주009)
엄:싹[芽].
주010)
나미:남과. 나-[抽]+-암+-이.
주011)
곳:꽃[花].
주012)
니:같으니. -[如]+-니.
주013)
시니:갖추어져 있으니. -[具]+-시-+-니.
주014)
니논:이른바.
주015)
구체(具體)시니샷다:구체(具體)하신 사람이도다. 구체-+-시-+-ㄴ#이[者]+∅(계사)+-샷다. ‘-샷다’는 ‘-시-+-옷-(감동법 선어말어미)+-다’로 분석될 수 있다.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