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6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6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6]
주001)
제:
때에. 제[時]+∅(처소격 조사).
妙莊嚴王과 夫人괘 모 주002)
모:
목에 있는. 목[頸]+-애+-ㅅ.
眞珠 瓔珞이 갑시 주003)
갑시:
값이. 값[價]+-이.
百千 니 주004)
니:
상당한 것을. -[直]+-ㄴ#이(의존명사)+-.
글어 주005)
글어:
풀어. 글-(‘그르-’의 이형태)[解]+-어.
부텻 주006)
부텻:
부처의. 부텨[佛]+-ㅅ.
우희 주007)
우희:
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비흐니 주008)
비흐니:
뿌리니. 빟-[散]+-으니.
虛空 中에 네 주009)
긷:
기둥[柱].
寶臺 주010)
보대(寶臺):
보대(寶臺)가. 보대+∅(주격 조사).
외

월인석보 19:84ㄱ

주011)
외니:
되니. 외-[化成]+-니.
臺中에 큰 寶牀이 이쇼 주012)
이쇼:
있으되. 이시-[有]+-오.
百千萬 天衣 랫거늘 주013)
랫거늘:
깔고 있거늘. -[敷]+-아#잇-+-거늘.
그 우희 부톄 結加趺坐샤 큰 光明을 펴시니 주014)
펴시니:
펴시니. 펴-[放]+-시-+-니.
施 주015)
시(施):
보시(布施)한. 시-+--+-(관형사형 어미).
구슬 瓔珞이 法空座와 柔忍衣와 寶覺體 외요 주016)
외요:
됨은. 외-[化成]+-욤+-(대조의 보조사).
佛力으로 나토아 주017)
나토아:
나타내어. 나토-[現]+-아.
뵈샤 주018)
뵈샤:
보이시어. 뵈-[示]+-시-+-아.
正念을 發케 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6]
그때에 묘장엄왕과 부인(夫人)이 목에 있는 진주영락(眞珠瓔珞)이 값이 백천에 상당한 것을 풀어 부처의 위에 뿌리니
허공 중에 네 기둥 보대(寶臺)가 되니 대 중에 큰 보상(寶牀)이 있되 백천만 천의(天衣)를 깔고 있거늘 그 위에 결가부좌(結加趺坐)하시어 큰 광명을 펴시니【보시한 구슬 영락이 법공좌(法空座)와 유인의(柔忍衣)와 보각체(寶覺體)가 됨은 불력(佛力)으로 나타내어 보이시어 정념을 발하게 하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2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제:때에. 제[時]+∅(처소격 조사).
주002)
모:목에 있는. 목[頸]+-애+-ㅅ.
주003)
갑시:값이. 값[價]+-이.
주004)
니:상당한 것을. -[直]+-ㄴ#이(의존명사)+-.
주005)
글어:풀어. 글-(‘그르-’의 이형태)[解]+-어.
주006)
부텻:부처의. 부텨[佛]+-ㅅ.
주007)
우희:위에. 우ㅎ[上]+-의(처소격 조사).
주008)
비흐니:뿌리니. 빟-[散]+-으니.
주009)
긷:기둥[柱].
주010)
보대(寶臺):보대(寶臺)가. 보대+∅(주격 조사).
주011)
외니:되니. 외-[化成]+-니.
주012)
이쇼:있으되. 이시-[有]+-오.
주013)
랫거늘:깔고 있거늘. -[敷]+-아#잇-+-거늘.
주014)
펴시니:펴시니. 펴-[放]+-시-+-니.
주015)
시(施):보시(布施)한. 시-+--+-(관형사형 어미).
주016)
외요:됨은. 외-[化成]+-욤+-(대조의 보조사).
주017)
나토아:나타내어. 나토-[現]+-아.
주018)
뵈샤:보이시어. 뵈-[示]+-시-+-아.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