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보현보살권발품 제28 해설
  • 보현보살권발품 제28 해설 7
메뉴닫기 메뉴열기

보현보살권발품 제28 해설 7


[보현보살권발품 제28 해설 7]
삼가디 주001)
삼가디:
삼가지. 삼가-[慎]+-디.
아니리여 주002)
아니리여:
아니하리요. 아니할 것인가. 아니-[不]+-리여.
부텨  주003)
:
배울. 호-[學]+-ㅭ.
사미 다 무적 주004)
무적:
흙무더기[塊].
좃 주005)
좃:
좇는. 좃-(‘좇-’의 이형태)+--+-ㄴ.
주006)
물:
무리[流].
야 주007)
야:
같아. -[如]+-야.
敎 구지며 주008)
구지며:
꾸짖으며. 구짖-[呵]+-며.
俗 자바 주009)
자바:
잡아. 잡-[執]+-아.
智 리며 주010)
리며:
버리며. 리-[棄]+-며.
行 그처 주011)
그처:
그쳐. 긏-[絶]+-어.
갓 주012)
갓:
한갓[直].
修ㅣ 업다 면 妙法 始終을  엇뎨 주013)
엇뎨:
어떻게[何].
기며 주014)
기며:
밝히며. 기-[明]+-며.
大事 因緣이  업소매 주015)
업소매:
없음에. 없-[息]+-옴+-애[乎].
거리라 주016)
거리라:
거의일 것이다. 거[幾]+∅(계사)+-리-+-라.
그러면 부텻 知見에 비르서 주017)
비르서:
비롯하여. 시작하여. 비릇-[始]+-어.
普賢常行애 시니 주018)
시니:
마치시니. [終]+-시-+_니.
至極히 뵈샤 敎애 겨시고 초 주019)
초:
갖추어. 초-[備]+∅(부사 형성 접미사).
證호 사게 잇니 通達 사 盡心디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보현보살권발품 제28 해설 7]
삼가지 아니할 것인가? 부처 배울 사람이 다 흙무더기 좇는 무리 같아 교(敎)를 꾸짖으며 속(俗)을 잡아 지(智)를 버리며 행(行)을 그치어 한갓 수(修)가 없다고 하면 묘법(妙法) 시종을 또 어떻게 밝히며 대사인연(大事因緣)이 또 없음에 거의일 것이다. 그러면 부처의 지견(知見)에서 비롯하여 보현상행(普賢常行)에서 마치시니 지극히 보이심은 교에 계시고 갖추어 증명함은 사람에게 있으니 통달한 사람은 진심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1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삼가디:삼가지. 삼가-[慎]+-디.
주002)
아니리여:아니하리요. 아니할 것인가. 아니-[不]+-리여.
주003)
:배울. 호-[學]+-ㅭ.
주004)
무적:흙무더기[塊].
주005)
좃:좇는. 좃-(‘좇-’의 이형태)+--+-ㄴ.
주006)
물:무리[流].
주007)
야:같아. -[如]+-야.
주008)
구지며:꾸짖으며. 구짖-[呵]+-며.
주009)
자바:잡아. 잡-[執]+-아.
주010)
리며:버리며. 리-[棄]+-며.
주011)
그처:그쳐. 긏-[絶]+-어.
주012)
갓:한갓[直].
주013)
엇뎨:어떻게[何].
주014)
기며:밝히며. 기-[明]+-며.
주015)
업소매:없음에. 없-[息]+-옴+-애[乎].
주016)
거리라:거의일 것이다. 거[幾]+∅(계사)+-리-+-라.
주017)
비르서:비롯하여. 시작하여. 비릇-[始]+-어.
주018)
시니:마치시니. [終]+-시-+_니.
주019)
초:갖추어. 초-[備]+∅(부사 형성 접미사).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