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 월인석보 제19

  • 역주 월인석보
  • 역주 월인석보 제19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2
메뉴닫기 메뉴열기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2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2]
그제 두 아리 父母 오 됴실쎠 주001)
됴실쎠:
좋으시구나. 둏-[善]+-시-+-ㄹ쎠(감탄형 종결어미).
父母하 주002)
부모(父母)하:
부모(父母)이시여!. 부모+-하.
願 이제 雲雷音宿王 華智佛가샤 주003)
가샤:
가시어. 가-[往]+-시-+-아.
親近 供養쇼셔 엇뎨어뇨 주004)
엇뎨어뇨:
어째서냐. 엇뎨[何]+∅(계사)+-어-+-뇨.
란 주005)
란:
할 것 같으면. -+-란.
부톄 주006)
부톄:
부처가. 부텨[佛]+-ㅣ(주격 조사).
難히 맛나미 주007)
맛나미:
만남이. 맛나-[値]+--+-옴+-이.
優曇鉢羅華

월인석보 19:80ㄴ

며 주008)
며:
같으며. -[如]+-며.
  눈 가진 거부비 주009)
거부비:
거북이. 거붑[龜]+-이.
주010)
:
뜬. -[浮]+-ㄴ.
나못 구무 주011)
구무:
구멍[孔].
맛나미 주012)
맛나미:
만남과. 맛나-[値]+-암+-이(비교격 조사).
니 주013)
니:
같으니. -[如]+-니.
우리 아 주014)
아:
이전의. 아[宿]+-ㅅ.
福이 깁고 주015)
깁고:
깊고. 깁-(‘깊-’의 이형태)[深]+-고.
##둗터 주016)
두터:
두터우므로. 두-[厚]+-을.
生애 佛法을 맛나니 주017)
맛나니:
만나니. 맛나-[値]+--+-오-(의도법 선어말어미, 1인칭과 호응함)+-니.
이럴 父母ㅣ 우리 出家케 쇼셔 엇뎨어뇨 란 諸佛이 맛나미 어려며 時節도 맛나미 주018)
맛나미:
만남이. 맛나-[遇]+-암+-이(주격 조사).
어려니다 주019)
어려니다:
어렵습니다. 어-[難]+-으니-+--+-다.
阿含애 닐

월인석보 19:81ㄱ

오 妙高山下 海中에  눈 가진 거붑과 주020)
거붑과:
거북과. 거붑[龜]+-과(접속 조사).
 구무 가진 남기 주021)
남기:
나무가. [木]+-이.
잇니 주022)
잇니:
있으니. 잇-[有]+--+-니.
거부비 나못 주023)
나못:
나무의. 나모[木]+-ㅅ.
굼글 주024)
굼글:
구멍을. [孔]+-을.
어더 주025)
어더:
얻어야. 얻-[得]+-어.
모 주026)
모:
잠김을. -[沉溺]+-옴+-.
免니 주027)
면(免)니:
면(免)하니. 면-+--+-니.
그러나 그 남기 須彌山흘러 주028)
흘러:
흘러. 흘ㄹ-(‘흐르-’의 이형태)[流]+-어.
도로 주029)
도로:
감돌되. 돌-[遶]+-오.
三千 年에  번 서르 맛나니라 니   누로 주030)
누로:
눈으로. 눈[眼]+-로[以].
굼긔 주031)
굼긔:
구멍에. [孔]+-의(처소격 조사).
가미 주032)
가미:
감이. 가-[趨]+-암+-이.
至極 어려로 佛法 맛남 어려믈 가비시니라】
Ⓒ 필자 | 세조(조선) / 1447년(세조 5)

[화덕보살의 전신인 묘장엄왕이 법화경을 수지하고 많은 공덕을 쌓은 인연 12]
그때에 두 아들이 부모께 이르되 “좋으시구나. 부모이시여! 원하건대 이제 운뢰음숙왕화지불께 가시어 친근히 공양하소서. 어째서냐 할 것 같으면 부처가 어렵게 만남이 우담바라화(優曇鉢羅華)와 같으며 또 한 눈 가진 거북이 뜬 나무의 구멍 만남과 같으니 우리가 이전의 복이 깊고 두터우므로 생에 불법(佛法)을 만나니 이러므로 부모가 우리를 출가하게 하소서. 어째서냐 할 것 같으면 제불 만남이 어려우며 시절도 만남이 어렵습니다.”아함(阿含)에 이르되 묘고산(妙高山) 아래 해중(海中)에 한 눈 가진 거북과 한 구멍 가진 나무가 있으니 거북이 나무의 구멍을 얻어야 잠김을 免하니 그러나 그 나무가 수미산(須彌山)에 흘러 감돌되 삼천년에야 한 번 서로 만난다 하니 한 눈으로 한 구멍에 감이 지극히 어려움으로 불법(佛法) 만남 어려움을 비유하신 것이다.】
Ⓒ 역자 | 남성우 / 2008년 12월 20일

원본이미지
이 기사는 전체 3개의 원본 이미지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주석
주001)
됴실쎠:좋으시구나. 둏-[善]+-시-+-ㄹ쎠(감탄형 종결어미).
주002)
부모(父母)하:부모(父母)이시여!. 부모+-하.
주003)
가샤:가시어. 가-[往]+-시-+-아.
주004)
엇뎨어뇨:어째서냐. 엇뎨[何]+∅(계사)+-어-+-뇨.
주005)
란:할 것 같으면. -+-란.
주006)
부톄:부처가. 부텨[佛]+-ㅣ(주격 조사).
주007)
맛나미:만남이. 맛나-[値]+--+-옴+-이.
주008)
며:같으며. -[如]+-며.
주009)
거부비:거북이. 거붑[龜]+-이.
주010)
:뜬. -[浮]+-ㄴ.
주011)
구무:구멍[孔].
주012)
맛나미:만남과. 맛나-[値]+-암+-이(비교격 조사).
주013)
니:같으니. -[如]+-니.
주014)
아:이전의. 아[宿]+-ㅅ.
주015)
깁고:깊고. 깁-(‘깊-’의 이형태)[深]+-고.
주016)
두터:두터우므로. 두-[厚]+-을.
주017)
맛나니:만나니. 맛나-[値]+--+-오-(의도법 선어말어미, 1인칭과 호응함)+-니.
주018)
맛나미:만남이. 맛나-[遇]+-암+-이(주격 조사).
주019)
어려니다:어렵습니다. 어-[難]+-으니-+--+-다.
주020)
거붑과:거북과. 거붑[龜]+-과(접속 조사).
주021)
남기:나무가. [木]+-이.
주022)
잇니:있으니. 잇-[有]+--+-니.
주023)
나못:나무의. 나모[木]+-ㅅ.
주024)
굼글:구멍을. [孔]+-을.
주025)
어더:얻어야. 얻-[得]+-어.
주026)
모:잠김을. -[沉溺]+-옴+-.
주027)
면(免)니:면(免)하니. 면-+--+-니.
주028)
흘러:흘러. 흘ㄹ-(‘흐르-’의 이형태)[流]+-어.
주029)
도로:감돌되. 돌-[遶]+-오.
주030)
누로:눈으로. 눈[眼]+-로[以].
주031)
굼긔:구멍에. [孔]+-의(처소격 조사).
주032)
가미:감이. 가-[趨]+-암+-이.
책목차이전페이지다음페이지페이지상단이동글자확대글자축소다운로드의견 보내기